본고는 중세 국어의 특징으로 설명하는 ‘어간형 부사’의 설정 가능성을 검토한 것이다. 선행 연구와 국어 고어 사전에서 ‘어간형 부사’로 설정이 가능한 어휘 목록을 추출하고 이에 대...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7747144
2021
-
중세 국어 ; 부사 ; 어간형 부사 ; 파생 부사 ; 성조 ; Middle Korean ; Adverb ; Adverb of Stem Type ; derived Adverb ; tone
KCI등재
학술저널
165-196(32쪽)
1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고는 중세 국어의 특징으로 설명하는 ‘어간형 부사’의 설정 가능성을 검토한 것이다. 선행 연구와 국어 고어 사전에서 ‘어간형 부사’로 설정이 가능한 어휘 목록을 추출하고 이에 대...
본고는 중세 국어의 특징으로 설명하는 ‘어간형 부사’의 설정 가능성을 검토한 것이다. 선행 연구와 국어 고어 사전에서 ‘어간형 부사’로 설정이 가능한 어휘 목록을 추출하고 이에 대한 분석을 진행했다. 특히 이 과정에서 국어의 접미사 ‘-이’, ‘-오/우’와 어미 ‘-아/어’의 결합 가능성에 대해 분석했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실제로 선행 연구에서 제시한 ‘어간형 부사’ 중에서 분석을 통해 ‘어간형 부사’로 인정할 만한 단어는 많지 않았다.
둘째, 검토한 어휘 목록 중에서 ‘및, 맛, 비릇, 일, 그르/그□, 바□, □브르/□브□’ 등의 일부 단어를 제외하면 나머지 단어들은 모두 접미사나 어미의 결합에 의해 형성된 것으로 설명이 가능하다.
셋째, 단어 형성 과정에서의 성조 문제를 고려하면 ‘바로, 횟도로, 휫두루, □외, 츼’ 등도 어간형 부사로 인정될 수 있는 여지가 있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examines the validity of the setting for the vocabulary list of ‘adverb of stem type’ described as a characteristic of the middle Korean language. We extracted the related list of the vocabulary from previous studies and the archaic Kor...
This paper examines the validity of the setting for the vocabulary list of ‘adverb of stem type’ described as a characteristic of the middle Korean language. We extracted the related list of the vocabulary from previous studies and the archaic Korean dictionaries and analyzed it. In particular, we analyzed the possibility of combining ‘-이’, ‘-오/우’ and ‘-아/어’ that are the Korean postposition.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1.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n this study, there were not many words that could actually be recognized as a typical “stem type adverb” among the list of “stem type adverbs” suggested in previous studies.
2. Except for words such as ‘및, 맛, 비릇, 일, 그르/그□, 바□, □브르/□브□’, the rest of words from the vocabulary list can be described as being formed by the combination of the stem and ‘-이, -오/우, -아/어’ of the postposition.
3. Considering the change of a tone in the word construction process, the words such as ‘바로, 횟도로, 휫두루; □외, 츼’ have room for recognition as adverb of stem type.
참고문헌 (Reference)
1 유필재, "후기중세국어 부사파생접미사 ‘-이’의 형태음운론" 국어학회 (49) : 3-31, 2007
2 구본관, "한국어 문법 총론Ⅱ" 집문당 2016
3 고영근, "표준중세국어문법론" 탑출판사 1987
4 박희식, "중세국어의 부사에 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1984
5 박석문, "중세국어 부사 형성 방법과 그 제약에 대하여" 3 : 67-86, 1991
6 이동석, "중세국어 부사 파생법의 연구 성과와 과제" 국어사학회 (21) : 95-153, 2015
7 이문규, "중세국어 부사 파생 접사 ‘-이’의 성조 문제와 ‘상징어식 성조형’" 한글학회 (283) : 31-62, 2009
8 구본관, "중세국어 ‘X■- + -이’ 부사 형성" 국어국문학회 (136) : 105-134, 2004
9 이진호, "중세 국어의 성조 축약 양상과 제약" 국어학회 (75) : 59-83, 2015
10 劉昌惇, "이조어사전" 연세대출판부 1964
1 유필재, "후기중세국어 부사파생접미사 ‘-이’의 형태음운론" 국어학회 (49) : 3-31, 2007
2 구본관, "한국어 문법 총론Ⅱ" 집문당 2016
3 고영근, "표준중세국어문법론" 탑출판사 1987
4 박희식, "중세국어의 부사에 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1984
5 박석문, "중세국어 부사 형성 방법과 그 제약에 대하여" 3 : 67-86, 1991
6 이동석, "중세국어 부사 파생법의 연구 성과와 과제" 국어사학회 (21) : 95-153, 2015
7 이문규, "중세국어 부사 파생 접사 ‘-이’의 성조 문제와 ‘상징어식 성조형’" 한글학회 (283) : 31-62, 2009
8 구본관, "중세국어 ‘X■- + -이’ 부사 형성" 국어국문학회 (136) : 105-134, 2004
9 이진호, "중세 국어의 성조 축약 양상과 제약" 국어학회 (75) : 59-83, 2015
10 劉昌惇, "이조어사전" 연세대출판부 1964
11 유창돈, "이조어사전" 연세대출판부 1964
12 "우리말샘"
13 한글학회, "우리말 큰사전 4 -옛말과 이두" 어문각 1992
14 허 웅, "우리 옛말본-15세기 국어 형태론" 샘문화사 1975
15 민현식, "열므나 이응호 박사 회갑논총" 373-399, 1987
16 구본관, "국어의 시대별 변천‧실태 연구 1" 56-113, 1996
17 심재기, "국어 어휘론" 집문당 1982
18 남광우, "교학 고어사전" ㈜교학사 1997
19 劉昌惇, "語彙史硏究" 二友出化社 1980
20 이기문, "國語史槪說" 塔出版社 1972
21 민현식, "中世國語의 語幹型副詞에 대하여" 16 : 254-266, 1988
22 金完鎭, "中世國語聲調의 硏究" 塔出版社 1982
23 李崇寧, "中世國語文法-15世紀語를 주로 하여" 乙酉文化社 1961
24 안병희, "中世國語文法論" 學硏社 1990
25 구본관, "15세기 국어 파생법에 대한 연구" 서울大學校 大學院 1996
26 김유범, "15세기 국어 문법형태소의 형태론과 음운론" 고려대학교 대학원 2001
27 高正儀, "15世紀 國語의 副詞硏究" 단국대학교 대학원 1981
디지털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 개선을 위한 국어과 교육과정 현황 분석
사회연결망 분석(Social Network Analysis)을 활용한 예비 국어 교사들의 비동시적 온라인 토론 참여 양상 연구
작중인물의 체험된 신체에 의한 장소화 이해를 위한 소설교육
문학의 가치에 대한 고등학생 학습자의 인식과 문학 태도 교육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7-10-12 | 학술지명변경 | 외국어명 : Journal of CheongRam Korean Language Educatiln -> Journal of CheongRam Korean Language Education | ![]() |
2017-05-18 | 학회명변경 | 영문명 : Journal Of Cheongram Korean Language Education -> Cheongram Korean Language Education Association | ![]()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3-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6-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4-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1.07 | 1.07 | 1.17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1.04 | 1.04 | 1.728 | 0.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