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중부지역에서 호밀, 트리티케일과 두과 사료작물 혼파에 따른 생산성, 사료가치 및 가축사육능력 비교 = Comparison of Dry Matter Yield, Feed Value and Stock Carrying Capacity at Mixture of Rye, Triticale and Legume in Central Region of Korea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73266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실험은 중부 지방에서 Rye(곡우)와 Triticale(신영)의 단, 혼파 실험을 통하여 생산성, 사료가치 및 가축사육능력을 조사하여 중부지방에 적합한 초종을 선별하고자 하였으며, 결과를 요약하...

      본 실험은 중부 지방에서 Rye(곡우)와 Triticale(신영)의 단, 혼파 실험을 통하여 생산성, 사료가치 및 가축사육능력을 조사하여 중부지방에 적합한 초종을 선별하고자 하였으며,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동계 사료작물의 건물수량은 밭토양에서는 R+R이 5.20ton/ha로 가장 많았으나 R, T+R과 유의한 차이는 없었고, 논토양에서는 R+H가 5.20ton/ha로 가장 많았지만 T+H, R과의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또한 모든 시험구에서 단파구에 대한 혼파구의 상대수량이 1.00보다 높아 혼파효과가 입증되었다. 상대사료가치는 밭토양, 논토양 모두 Triticale 혼파구에서 다른 시험구와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가축사육능력은 $K_{CP}$와 $K_{TDN}$의 평균값으로 비교해 보았을 때, 밭토양에서는 R+R이 2.75, 논토양에서는 T+H가 2.84로서 가장 높은 값을 보였다. 이상의 결과로 볼 때 중부 지방에서 동계 사료작물 생산에 있어서 가장 적합한 초종은 밭토양에서는 Rye+Red clover 혼파이며, 논토양에서는 Triticale+Hairy vetch 혼파라고 판단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experiments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n growth of rye, triticale with legume and investigated their productivity, feed value and stock carrying capacity in order to select the appropriate forage species in the central region of ...

      This experiments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n growth of rye, triticale with legume and investigated their productivity, feed value and stock carrying capacity in order to select the appropriate forage species in the central region of Korea. In the results, Rye+Red clover showed 5.2ton/ha of dry matter yield.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with Triticale+Red clover and Rye in upland field. In paddy field, Rye+Hairy vetch showed 5.2ton/ha,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with Triticale+Hairy vetch and Rye. Mixture effects with Rye, Triticale and Red clover, Hairy vetch by relative yield were more than 1.00 compared to monoculture, and their mixture effect was recognized in upland and paddy field. Relative feed value was highest in the applications of Triticale mixture in upland and paddy field. The average value of $K_{CP}$ and $K_{TDN}$ showed the highest one as 2.75head/ha/yr in Rye+Red clover in upland field and 2.84head/ ha/yr in Triticale+Hairy vetch in paddy field. According to the results, Rye+Red clover in upland field and Triticale+Hairy vetch in paddy field were considered to be the most appropriate winter forage crops for the central region of Korea in terms of productivity, feed value and stock carrying capacity.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축산과학원, "한국가축사양표준(한우)" 2007

      2 농업과학기술원, "토양 및 식물체 분석법" 2000

      3 주정일, "중부지역에서 총체맥류의 예취시기별 사료가치 변화" 한국초지조사료학회 29 (29): 187-196, 2009

      4 박준혁, "중부지역에서 유기조사료 생산을 위한 작부체계 확립" 한국유기농업학회 19 (19): 373-384, 2011

      5 윤세형, "중부지역에서 유기조사료 생산에 적합한 작부체계에 관한 연구" 한국초지조사료학회 27 (27): 275-280, 2007

      6 이주삼, "조사료 생산 및 이용확대를 위한 연구" 한국축산경영연구원 2009

      7 이주삼, "자원 순환형 농업을 위한 유기경종(자원순환형 유기농업 표준 모델 개발)" 농림부 2006

      8 조익환, "유휴 논토양에서 가축분뇨의 시용이 Tall fescue의 잠재생산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유기농업학회 14 (14): 69-83, 2006

      9 조익환, "유휴 논토양에서 가축분뇨의 시용이 Tall fescue의 잠재생산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유기농업학회 14 (14): 69-83, 2006

      10 서성, "권역별 답리작 사료작물 최대 생산을 위한 적작목(품종) 선발. 1. 중부지방(수원)을 중심으로." 한국초지조사료학회 24 (24): 207-216, 2004

      1 축산과학원, "한국가축사양표준(한우)" 2007

      2 농업과학기술원, "토양 및 식물체 분석법" 2000

      3 주정일, "중부지역에서 총체맥류의 예취시기별 사료가치 변화" 한국초지조사료학회 29 (29): 187-196, 2009

      4 박준혁, "중부지역에서 유기조사료 생산을 위한 작부체계 확립" 한국유기농업학회 19 (19): 373-384, 2011

      5 윤세형, "중부지역에서 유기조사료 생산에 적합한 작부체계에 관한 연구" 한국초지조사료학회 27 (27): 275-280, 2007

      6 이주삼, "조사료 생산 및 이용확대를 위한 연구" 한국축산경영연구원 2009

      7 이주삼, "자원 순환형 농업을 위한 유기경종(자원순환형 유기농업 표준 모델 개발)" 농림부 2006

      8 조익환, "유휴 논토양에서 가축분뇨의 시용이 Tall fescue의 잠재생산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유기농업학회 14 (14): 69-83, 2006

      9 조익환, "유휴 논토양에서 가축분뇨의 시용이 Tall fescue의 잠재생산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유기농업학회 14 (14): 69-83, 2006

      10 서성, "권역별 답리작 사료작물 최대 생산을 위한 적작목(품종) 선발. 1. 중부지방(수원)을 중심으로." 한국초지조사료학회 24 (24): 207-216, 2004

      11 유인수, "가축분 시용량에 따른 작물의 수량반응과 시비량 절감효과" 32 (32): 232-238, 1999

      12 SAS, "Statistical Analysis System ver. 9.2" SAS Institute INC. 2002

      13 Anon, "Rondup(R) herbicids formulation of isopropylamine salt of glyphosate (N-phosphonomethglycine). Postmergence herbicide" Monsanto Agric. Div. 1973

      14 Martin, J. H., "Principle of field crop production" Collier MacMillan Pub 1976

      15 Holland, C., "Pioneer Forage Manual : A Nutritional Guide" Pioneer Hi-Bred International, Inc 1-55, 1990

      16 Osman, A. E., "Performance of mixtures of cereal and legume forages under irrigation in the Sudan" 98 : 17-21, 1982

      17 A.O.A.C, "Official Methods of analysis(15th Ed.)" Association of Official Analytical Chemists 1990

      18 Briggle, L. W., "Growing Rye" 2146 : 1959

      19 Linn, J., "Forage quality tests and interpretation" Univ. of Minnesota Ext. Serv 1989

      20 Goering, H. K., "Forage fiber analysis" USDA Agric 1970

      21 Loomis, R. S., "Crop ecology"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42 0.42 0.4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1 0.45 0.61 0.1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