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번역된 ‘철학’ 개념의 수용과 전유 = The Acceptance and Appropriation of the Translated Concept of 'Philosoph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68670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object of this essay is to consider the aspects of the process in which Korea accepted and appropriated the concept of philosophy in its modern transition period. Modern learning in Korea was formed by Western learning and concepts which were acce...

      The object of this essay is to consider the aspects of the process in which Korea accepted and appropriated the concept of philosophy in its modern transition period. Modern learning in Korea was formed by Western learning and concepts which were accepted via China and Japan before and after the 20th century. This new system of knowledge, however, could not confine the traditional Confucian system of knowledge entirely to the past. At the beginning of the acceptance, the conceptual definition of philosophy was obliged to rely on the traditional academic terms, and the understanding of Western philosophy could not but be conducted within the traditional mode of thought. This is evident in the fact that Western philosophy was described as Western Confucianism and a variety of Confucian academic terms were used to translate the concept of philosophy. Traditional terms like ‘Gyeokchi(格致)’, ‘Gungri(窮理)’, ‘Seongri(性理)’, ‘Yihak(理學)’, ‘Yuhak(儒學)’, ‘Dohak(道學)’ and others were used to translate the term of philosophy. For this point, we can consult the article of philosophy in a bilingual dictionary published at the early part of the modern times. Until the concept of 'philosophy' was established, its description and definition had depended mostly upon the traditional system of knowledge.
      Although a few examples existed in which 'philosophy' was introduced and defined before 1900, they considered it not as universal learning but as a special learning which had developed in the West. It was around 1910 that Confucianism was conceived as one branch of modern learning and part of modern system of knowledge. Jang Ji-yeon was content just with defining and introducing philosophy, while Choi Du-seon analyzed, from various angles, the nature of philosophy distinguished from the other disciplines. At the beginning of the acceptance of Western philosophy, it was understood from the perspective of Confucian thought as in Lee Jeong-jik and Lee In-jae's understanding, but gradually, its understanding advanced towards re-interpreting Confucianism and traditional philosophy through the concept and mode of Western Philosophy. This development makes us pay more attention to the addresser's activeness and independence in the structure of addresser and addressee. Gang Chun-san's『東洋道學의 體系如何』(Genealogy of Oriental Knowledge System) was the first 'history of Eastern philosophy', which described equally Hundred Scholars of Thought(諸子百家) in a syntactic frame. Positive aspects of the addressee are evident in An Hwak's『朝鮮哲學思想槪觀』(An Outline of Korean Philosophy), which makes a general survey of Korean history of thought.
      The reality of 'importer philosophy' has hardly changed, though there has been an increasingly loud call for self-examination against the academic climate in which many bow to the West. It is not easy to change our perspective which has been stamped and fixed for over a hundred years. The traditional philosophy also has not found any possible point of communication with modern philosophy, and its discontinuous continuity was endured. To dissolve the antagonism of philosophy exposed to 'the past of the present' like this, it is more than necessary to reconstruct 'the present of the past'. Furthermore, we will be able to conceive the whole story of Korean thought in the modern transitional period beyond a kind of estrangement and distortion which appeared in the formation of Korean modern philosophy only when our focus is placed not on the viewpoint of the addresser but on the activeness of the addressee.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고는 근대 전환기 철학 개념 수용과 전유 양상을 고찰한 것이다. 20세기 전후 중국과 일본을 경유하여 수용된 서양 학술과 개념은 한국 근대 학문 형성의 밑거름이었다. 수용 초기 철학에 ...

      본고는 근대 전환기 철학 개념 수용과 전유 양상을 고찰한 것이다. 20세기 전후 중국과 일본을 경유하여 수용된 서양 학술과 개념은 한국 근대 학문 형성의 밑거름이었다. 수용 초기 철학에 대한 개념 규정은 전통 학술용어에 의지했고 서양철학에 대한 이해도 전통 사유방식 안에서 이루어졌다. 이는 ‘格致’, ‘窮理’, ‘性理’, ‘理學’, ‘儒學’, ‘道學’ 등과 같이 유학의 다양한 학술용어들이 철학의 초기 번역어로 혼용된 사실이 이를 반증한다.
      1900년 이전에도 ‘철학’을 소개하고 정의한 사례가 있지만, 이 당시 ‘철학’은 보편학이라기보다는 서양의 특수한 학술 가운데 하나였다. 한국에서 유교를 철학 즉 근대 분과학문의 하나이자 근대 지식체계의 일환으로서 사유하기 시작한 것은 1910년을 전후해서이다. 장지연이 철학을 정의하고 소개하는 데 머물렀다면 최두선은 제학문과 구분되는 철학의 특성을 다각도로 분석하였다. 이정직이나 이인재처럼 서양철학 수용 초기에는 대체로 유교의 사유지평에서 철학을 이해했지만 점차 서양철학의 개념과 형식으로 유교와 전통철학을 재해석하는 데로 나아갔다. 강춘산의 「동양도학의 체계여하」는 국내 최초로 편찬 소개된 ‘동양철학사’로서 통사적 체계로 제자백가 사상을 고루 기술했다. 철학 개념을 이끌어 조선사상사를 개괄한 안확의 「조선철학사상개관」도 수신자의 특성을 잘 보여준다.
      서양을 추수하는 학문풍토에 대한 자성의 목소리도 많았지만 수입상 철학이란 현실은 좀처럼 바뀌지 않고 있다. 근 백년에 걸쳐 각인되고 고정된 우리의 시선을 바꾸는 일이 쉽지 않은 탓이다. ‘현재의 과거’에 노정된 철학의 길항을 해소하기 위해 ‘과거의 현재’를 재구하는 한국 근대 철학의 형성과정에 대한 탐색이 그래서 필요하다. 발신자에서 수신자로 관점을 전환하면 일종의 격의나 왜곡으로 비춰졌던 근대 전환기 학술사상의 전모에 좀 더 다가갈 수 있을 것이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황성신문"

      2 "한성주보"

      3 "한성순보"

      4 이현구, "한문서학서와 근대적 학술 용어 형성의 문제(2)" 한국철학사상연구회 16 (16): 133-155, 2005

      5 "태극학보"

      6 "천도교회월보"

      7 "조선중앙일보"

      8 이소마에 준이치, "일본 근대 종교개념의 형성, In 근대 知의 성립" 소명출판 2011

      9 송호근, "인민의 탄생: 공론장의 구조변동" 민음사 2011

      10 이행훈, "양건식의 칸트철학 번역과 선택적 전유" 동양철학연구회 (66) : 123-154, 2011

      1 "황성신문"

      2 "한성주보"

      3 "한성순보"

      4 이현구, "한문서학서와 근대적 학술 용어 형성의 문제(2)" 한국철학사상연구회 16 (16): 133-155, 2005

      5 "태극학보"

      6 "천도교회월보"

      7 "조선중앙일보"

      8 이소마에 준이치, "일본 근대 종교개념의 형성, In 근대 知의 성립" 소명출판 2011

      9 송호근, "인민의 탄생: 공론장의 구조변동" 민음사 2011

      10 이행훈, "양건식의 칸트철학 번역과 선택적 전유" 동양철학연구회 (66) : 123-154, 2011

      11 테사 모리스-스즈키, "아이누와 식민주의 변경에서 바라본 근대" 산처럼 2002

      12 이기상, "서양철학의 수용과 한국철학의 모색" 지식산업사 2002

      13 "서북학회월보"

      14 김성근, "메이지 일본에서 ‘철학’이라는 용어의 탄생과 정착 -니시 아마네(西周)의 ‘유학’과 ‘philosophy’를 중심으로-" 한국동서철학회 (59) : 367-386, 2011

      15 홍영두, "마르크스주의 철학사상 원전 번역사와 우리의 근대성" 14 (14): 2002

      16 이행훈, "동양 지식 체계의 계보화 - 姜春山의 「東洋道學의 體系如何」 -" 동양고전학회 (46) : 247-276, 2012

      17 "독립신문"

      18 "대한학회월보"

      19 "대한자강회월보"

      20 김남두, "근백년 한국철학의 교육과 제도" (8) : 1998

      21 진관타오, "관념사란 무엇인가 2" 2010

      22 "개벽"

      23 황호덕, "개념과 역사, 근대 한국의 이중어사전 1" 박문사 2012

      24 "靑春"

      25 이태진, "自山安廓國學論著集 4권" 여강출판사 1994

      26 박홍식, "自山 安廓 哲學思想의 韓國 哲學史的 意義" 동양철학연구회 33 : 213-238, 2003

      27 西周, "百一新論 卷之下" 山本覺馬藏版 1874

      28 井上哲次郞, "哲學字彙" 東洋館 1884

      29 井上哲次郞, "哲學字彙" 東京大學三學部印行 1881

      30 井上哲次郞, "哲學字彙" 丸善株式會社 1912

      31 李寅梓, "古代希臘哲學攷辨, In 省窩集 권4" 韓國學文獻硏究所 1978

      32 韓國學文獻硏究所, "八. 儒敎爲宗敎哲學集中論, In 李炳憲全集 上" 1989

      33 梓潼謝无量, "中國哲學史" 中華書局 1916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5-31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동양철학연구(Journal of Eastern Philosophy) -> 동양철학연구
      외국어명 : 미등록 -> Journal of Eastern Philosophy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54 0.54 0.59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5 0.54 1.394 0.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