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단행본] 임제 100할_preprint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G372454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프리프린트>-------------- 제 1 부 : 깨달음에서 입적까지의 행적 (1) 깨달은 인연 (2) 소나무를 심는 뜻 (3) 산 채로 묻어버림 (4) 눈을 감...

      --------------<프리프린트>--------------

      제 1 부 : 깨달음에서 입적까지의 행적

      (1) 깨달은 인연
      (2) 소나무를 심는 뜻
      (3) 산 채로 묻어버림
      (4) 눈을 감다
      (5) 좌선과 망상
      (6) 집어갈 수 없는 것
      (7) 얼마나 먹는가
      (8) 가장 뛰어난 사람
      (9) 백장의 선판
      (10) 자리 없는 참사람
      (11) 어디서 오느냐
      (12) 바로 때린다
      (13) 낙처가 어디인가
      (14) 거칠고 미세함
      (15) 보화의 미치광이 짓
      (16) 한 마리 당나귀
      (17) 보화를 알아보다
      (18) 보화의 옷
      (19) 무사하지 못한 일
      (20) 사료간
      (21) 범인가 성인가
      (22) 팔 수 있는 것
      (23) 좌주와의 대화
      (24) 말해도 30방 못해도 30방
      (25) 바른 눈
      (26) 왕상시의 안목
      (27) 부득이 인정을 따르다
      (28) 허공에 말뚝을 박지 말라
      (29) 부처는 어디에
      (30) 입을 열면 어긋나
      (31) 부처에게 절하지 않다
      (32) 불법의 큰 뜻
      (33) 때릴 수 있는 자
      (34) 칼날 위의 일
      (35) 어디로 갔는가
      (36) 맨땅 위의 흰소
      (37) 조사가 서쪽에서 온 뜻
      (38) 조사가 서쪽에서 온 뜻
      (39) 경산의 낭패
      (40) 모조리 알아차림
      (41) 갈 곳이 없다
      (42) 공양 받을 만한 사람
      (43) 양손을 펴다
      (44) 임제의 입적

      제 2 부 : 공부인에게 주는 법어(法語)

      (45) 남에게 속지 말라
      (46) 눈 앞에서 설법을 듣는 사람
      (47) 모양 없는 마음
      (48) 사이비 학도
      (49) 일 없는 것이 귀하다
      (50) 마음바탕법
      (51) 불법은 공부할 것이 없다
      (52) 삿된 공부인들
      (53) 부처와 마구니
      (54) 눈 앞에서 밝게 듣는 사람
      (55) 본래 일이 없다
      (56) 참되고 바른 견해
      (56) 부처도 얻을 수 없다
      (56) 모양 없는 경계
      (57) 스스로를 믿어라
      (58) 이르는 곳마다 주인공이 되라
      (59) 일 없는 사람
      (60) 멀쩡한 두 눈을 버리지 말라
      (61) 지금 무엇이 모자라는가
      (62) 눈 앞의 도인
      (63) 도깨비 같은 무리들
      (64) 참 부처는 모양이 없다
      (65) 선문답의 유형 1
      (66) 몸소 찾아서 깨달아야
      (67) 무엇이 부족한가
      (68) 눈 앞에서 작용하는 것
      (69) 마음을 가지고 부처를 찾지 말라
      (70) 선문답의 유형 2
      (71) 어리석은 사람들
      (72) 근기에 따른 응대
      (73) 활발하게 움직인다
      (74) 시비를 일시에 놓아라
      (75) 전등(傳燈)의 내력
      (76) 옷 입는 사람
      (77) 어리석은 공부
      (78) 얻을 법이 없다
      (79) 부처의 스승
      (80) 서쪽에서 온 뜻
      (81) 작용코자 하면 작용할 뿐
      (82) 불도를 이루지 못하다
      (83) 부처도 없고 법도 없다
      (84) 무간지옥에 떨어질 업
      (85) 말에 구속되지 말라
      (86) 내 말을 취하지 말라
      (87) 시간을 헛되이 보내지 말라
      (88) 도는 말에 있지가 않다
      (89) 여법하기를 바란다면

      제 3 부 : 선문답(禪問答)

      (90) 용광 스님의 칼
      (91) 평화상의 시(詩)
      (92) 대자 스님의 할(喝)
      (93) 화엄 스님의 졸음
      (94) 취봉 스님의 말
      (95) 상전 스님의 경지
      (96) 명화 스님의 추궁
      (97) 노파와의 대결
      (98) 봉림 스님의 질문
      (99) 금우 스님의 주장자
      (100) 비구니의 할(喝)

      제 4 부 : 참고 자료

      1. 조당집(祖堂集) 권19
      2. 송고승전(宋高僧傳) 권12
      3. 경덕전등록(景德傳燈錄) 권12
      4. 전법정종기(傳法正宗記) 권7 91
      5. 임제혜조선사탑기(臨濟慧照禪師塔記)

      제 5 부 : 임제록 해설

      1. 임제의현(臨濟義玄)의 생애
      2. 임제록(臨濟錄)의 텍스트
      3. 임제록(臨濟錄)의 선사상(禪思想)
      4. 참고 문헌



      --------------<단행본>--------------
      목차
      일러두기 = 4
      임제록
      제1부 깨달음에서 입적까지의 행적
      1. 깨달은 인연 = 17
      2. 소나무를 심는 뜻 = 24
      3. 산 채로 묻어버림 = 27
      4. 눈을 감다 = 29
      5. 좌선과 망상 = 31
      6. 집어갈 수 없는 것 = 33
      7. 얼마나 먹는가 = 35
      8. 가장 뛰어난 사람 = 38
      9. 백장의 선판 = 41
      10. 자리 없는 참사람 = 44
      11. 어디서 오느냐 = 46
      12. 바로 때린다 = 47
      13. 낙처가 어디인가 = 48
      14. 거칠고 미세함 = 50
      15. 보화의 미치광이 짓 = 52
      16. 한 마리 당나귀 = 54
      17. 보화를 알아보다 = 55
      18. 보화의 옷 = 57
      19. 무사하지 못한 일 = 59
      20. 사료간 = 61
      21. 범인가 성인가 = 63
      22. 팔 수 있는 것 = 64
      23. 좌주와의 대화 = 66
      24. 말해도 30방 못해도 30방 = 68
      25. 바른 눈 = 70
      26. 왕상시의 안목 = 72
      27. 부득이 인정을 따르다 = 74
      28. 허공에 말뚝을 박지 말라 = 76
      29. 부처는 어디에 = 78
      30. 입을 열면 어긋나 = 80
      31. 부처에게 절하지 않다 = 82
      32. 불법의 큰 뜻 = 84
      33. 때릴 수 있는 자 = 85
      34. 칼날 위의 일 = 86
      35. 어디로 갔는가 = 87
      36. 맨땅 위의 흰소 = 88
      37. 조사가 서쪽에서 온 뜻 1 = 90
      38. 조사가 서쪽에서 온 뜻 2 = 91
      39. 경산의 낭패 = 93
      40. 모조리 알아차림 = 95
      41. 갈 곳이 없다 = 97
      42. 공양 받을 만한 사람 = 99
      43. 양손을 펴다 = 100
      44. 임제의 입적 = 101
      제2부 공부인에게 주는 법어
      45. 남에게 속지 말라 = 105
      46. 눈 앞에서 설법을 듣는 사람 = 108
      47. 모양 없는 마음 = 111
      48. 일 없는 것이 귀하다 = 115
      49. 마음바탕법 = 117
      50. 불법은 공부할 것이 없다 = 119
      51. 삿된 공부인들 = 121
      52. 부처와 마구니 = 123
      53. 눈 앞에서 밝게 듣는 사람 = 125
      54. 본래 일이 없다 = 127
      55. 참되고 바른 견해 = 129
      56. 모양 없는 경계 = 133
      57. 스스로를 믿어라 = 136
      58. 이르는 곳마다 주인공이 되라 = 138
      59. 일 없는 사람 = 141
      60 멀쩡한 두 눈을 버리지 말라 = 143
      61. 지금 무엇이 모자라는가 = 145
      62. 눈 앞의 도인 = 147
      63. 도깨비 같은 무리들 = 149
      64. 참 부처는 모양이 없다 = 153
      65. 임제의 사빈주 1 = 156
      66. 몸소 찾아서 깨달아야 = 159
      67. 무엇이 부족한가 = 161
      68. 눈 앞에서 작용하는 것 = 163
      69. 마음을 가지고 부처를 찾지 말라 = 164
      70. 임제의 사빈주 2 = 167
      71. 어리석은 사람들 = 170
      72. 근기에 따른 응대 = 172
      73. 활발하게 움직인다 = 174
      74. 시비를 일시에 놓아라 = 175
      75. 전등(傳燈)의 내력 = 176
      76. 옷 입는 사람 = 178
      77. 어리석은 공부 = 181
      78. 얻을 법이 없다 = 183
      79. 부처의 스승 = 186
      80. 서쪽에서 온 뜻 = 187
      81. 작용코자 하면 작용할 뿐 = 189
      82. 불도를 이루지 못하다 = 192
      83. 부처도 없고 법도 없다 = 194
      84. 무간지옥에 떨어질 업 = 196
      85. 말에 구속되지 말라 = 199
      86. 내 말을 취하지 말라 = 201
      87. 시간을 헛되이 보내지 말라 = 205
      88. 도는 말에 있지 않다 = 206
      89. 여법하기를 바란다면 = 209
      제3부 선문답
      90. 용광스님의 칼 = 213
      91. 평(平) 화상의 시 = 214
      92. 대자 스님의 할 = 216
      93. 화엄 스님의 졸음 = 218
      94. 취봉 스님의 말 = 220
      95. 상전 스님의 경지 = 222
      96. 명화 스님의 추궁 = 223
      97. 노파와의 대결 = 224
      98. 봉림 스님의 질문 = 225
      99. 금우 스님의 주장자 = 229
      100.비구니의 할 = 231
      부록 1. 임제스님을 전하는 문헌들
      1. 조당집(祖堂集) 권19 = 235
      2. 송고승전(宋高僧錢) 권12 = 243
      3. 경덕전등록(景德傳燈錄) 권12 = 244
      4. 전법정종기(傳法正宗記) 권7 = 260
      5. 임제혜조선사탑기(臨濟慧照禪師塔記) = 263
      부록 2. 임제록해설
      1. 임제의현(臨濟義玄)의 생애 = 269
      2. 임제록의 텍스트 = 270
      3. 임제록의 선사상(禪思想) = 271
      4. 참고문헌 = 301

      <단행본 목차 출처: RISS,
      http://www.riss.kr/link?id=M9976531>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해당 사항 없음

      해당 사항 없음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임제의현(臨濟義玄 ;?-867)은 중국 당대(唐代)의 스님이며, 임제종(臨濟宗)의 개조(開祖)이다. 하남성(河南省) 조주(曹州)의 남화(南華) 출신이다. 출가하여 계(戒)를 받고는, 강석(講席)에 참여...

      임제의현(臨濟義玄 ;?-867)은 중국 당대(唐代)의 스님이며, 임제종(臨濟宗)의 개조(開祖)이다. 하남성(河南省) 조주(曹州)의 남화(南華) 출신이다. 출가하여 계(戒)를 받고는, 강석(講席)에 참여하여 경율론(經律論) 삼장(三藏)을 연구하였으나, 마침내 교학(敎學)을 세상을 건지는 약처방일 뿐이라고 여겨 그만두고, 남쪽으로 가 균주(筠州: 江西省) 황벽산의 희운(希運)에게 참(參)했다.
      여기에 머문지 3년이 지나서, 그의 행업(行業)이 순일(純一)함을 안 수좌(首座)의 지시로, 희운에게 불법(佛法)의 대의(大義)를 물었다. 3번을 물었으나 3번 다 두들겨맞고는 고안(高安) 탄두(灘頭)로 가서 대우(大愚)에게 참(參)해서야 비로소 ‘불법무다자(佛法無多子)’라고 하며 희운의 선(禪)을 알았다. 그 뒤 희운의 법을 계승하면서도 언제나 대우를 찬양하였다.
      북쪽으로 올라가 진주(鎭州: 河北省)에 이르러 자성(子城)의 동남쪽 호타하(滹沱河) 가의 땅에 작은 절을 짓고 임제원(臨濟院)이라고 불렀다. 여기서 보화(普化)의 도움으로 접화(接化)를 펼쳤다. 「탑기(塔記)」에 의하면, 병란(兵亂)을 피하여 절을 떠나 태위(太尉) 묵군화(黙君和)의 귀의(歸依)에 의하여 성중(城中)에도 임제원(臨濟院)을 세웠다고 되어 있지만, 사실(史實)과는 맞지 않다. 하양부(河陽府: 河北省)의 부주(府主) 왕상시(王常侍)를 위하여 법을 설하고, 또 대명부(大名府) 흥화사(興化寺)의 동당(東堂)에 머물고, 삼성혜연(三聖慧然)과 문답을 하고, 함통(咸通) 7년 즉 867년 4월 10일(「탑기(塔記)」에는 다음 해 정월 10일로 되어 있다) 시적(示寂)하였다. 세수(世壽)와 법랍(法臘) 모두 알 수 없다. 혜조선사(慧照禪師) 혹은 혜조대사(慧照大師)라 시호(諡號)하고, 탑은 징령(澄靈)이라고 하였다.
      법사(法嗣)에 혜연(慧然) 외에, 흥화존장(興化存獎) · 위부대각(魏府大覺) · 관계지한(灌溪志閑) 등 많은 인재를 배출하였고, 조주종심(趙州從諗) · 행산감홍(杏山鑑洪) · 용아거둔(龍牙居遁) · 낙포원안(洛浦元安) · 마곡이세(麻谷二世) 등과의 문답도 알려져 있다. 혜연(慧然)에 의하여 · 진주임제혜조선사어록(鎭州臨濟慧照禪師語錄) · 이 편집되었다.
      임제의 전기(傳記)는, 전당문(全唐文)920 · 「임제혜조선사탑기(臨濟慧照禪師塔記)」 · 임제록(臨濟錄) · 「진정시방임제혜조현공대사도행비명(眞定十方臨濟慧照玄公大師道行碑銘)」 · 조당집(祖堂集) 권19 · 송고승전(宋高僧傳)권12 · 경덕전등록(景德傳燈錄)권12 · 전법정종기(傳法正宗記)권7 · 불조통기(佛祖統紀)권42 · 천성광등록(天聖廣燈錄)권10 · 속등록(續燈錄)권1 · 연등회요(聯燈會要)권9 · 오등회원(五燈會元)권11 · 불조역대통재(佛祖歷代通載)권17 · 석씨계고략(釋氏稽古略)권3 등에 실려 있다.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해당 사항 없음

      해당 사항 없음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메타작성자초록은 해제의 일부임. 본 프리프린트는 위와 같은 정보로 출판되었음. 관련 정보는 http://www.riss.kr/link?id=M9976531 에서 확인 가능함.

      메타작성자초록은 해제의 일부임.
      본 프리프린트는 위와 같은 정보로 출판되었음. 관련 정보는 http://www.riss.kr/link?id=M9976531 에서 확인 가능함.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