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에서는 솔순의 기능성을 규명하기 위해 열수 추출물을 대상으로 여러 생리활성과 아질산염 소거작용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우선, 솔순의 항산화 활성을 측정하기 위하여 DPPH, SOD 유...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82453684
2010
Korean
KCI등재,SCOPUS
학술저널
1573-1579(7쪽)
3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솔순의 기능성을 규명하기 위해 열수 추출물을 대상으로 여러 생리활성과 아질산염 소거작용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우선, 솔순의 항산화 활성을 측정하기 위하여 DPPH, SOD 유...
본 연구에서는 솔순의 기능성을 규명하기 위해 열수 추출물을 대상으로 여러 생리활성과 아질산염 소거작용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우선, 솔순의 항산화 활성을 측정하기 위하여 DPPH, SOD 유사활성, XO 저해활성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DPPH법을 통해 측정한 솔순의 항산화력은 2 ㎎/mL에서 71.4%의 radical 소거능을 나타내었으며, SOD 유사활성은 2 ㎎/mL 농도에서 85.4%로 비교적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Xanthine oxidase 저해활성 측정 실험에서는 2 ㎎/mL에서 70.9%의 높은 저해활성을 나타내었다. 솔순 열수추출물의 아질산염 소거능 측정 실험에서는 pH 1.2와 3.0에서 53~59%, pH 6.0에서 40%의 소거능을 나타내었다. 항고혈압 측정실험에서는 시판되는 항고혈압제 captopril과 비교분석 하였는데, 0.1 ㎎/mL에서 93.0%였고 같은 농도의 솔순 열수 추출물은 14.6%의 낮은 저해율을 나타냈다. 하지만, 1 ㎎/mL에서 44.7%의 저해율을 나타내어 솔순 열수 추출물의 비교적 양호한 저해활성을 보였다. 혈당강하능의 지표로 α-glucosidase 활성 억제능을 분석한 결과 솔순 열수 추출물 3 ㎎/mL의 농도에서 43.3%의 저해활성을 나타냈으며, 주름 예방 효과의 지표로 elastase 활성 억제능을 측정한 결과 10 ㎎/mL의 농도에서 59.6%의 저해능을 보였다. 이상의 결과들은 솔순 열수 추출물의 우수한 생리활성을 증명하고 있는 것으로 천연의 건강 및 미용 소재로써 그 활용도가 높을 것으로 판단된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research was performed to determine the antioxidant activity, nitrite scavenging activity, and its inhibitory activity on angiotensin converting enzyme (ACE), xanthine oxidase, α-glucosidase, and elastase of hot water extract from pine bud (WPB)...
This research was performed to determine the antioxidant activity, nitrite scavenging activity, and its inhibitory activity on angiotensin converting enzyme (ACE), xanthine oxidase, α-glucosidase, and elastase of hot water extract from pine bud (WPB). Antioxidant activity of WPB was measured by 2,2-diphenyl-1-picrylhydrazyl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nd superoxide dismutase (SOD)-like activity.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nd SOD-like activity of WPB were remarkably increased in a dose-dependent manner, and were about 71.4 and 85.4% at 2 ㎎/mL, respectively. The xanthine oxidase and ACE inhibitory activities were about 70.9 and 51.9% at 2 ㎎/mL of WPB, respectively. Nitrite scavenging activity of WPB was about 59.1, 53.8, and 39.5% on pH 1.2, 3.0, and 6.0 at 2 ㎎/mL, respectively. The WPB also showed elastase and α-glucosidase inhibitory effects. These results revealed that pine bud have strong antioxidant activity and positive effects on the inhibition of xanthine oxidase, ACE, and elastase.
참고문헌 (Reference)
1 박영은, "유색감자 추출물의 항산화 및 항고혈압 활성" 한국작물학회 52 (52): 447-452, 2007
2 정영진, "솔잎증류액의 투여가 Streptozotocin으로 유도한 당뇨쥐에서 혈당, 구강내당능검사, 혈액 성분에 미치는 영향" 한국식품영양과학회 34 (34): 973-979, 2005
3 임무현, "솔잎발효추출물의 효소적 저해활성 및 아질산염 소거작용"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 11 (11): 94-99, 2004
4 유지현, "솔잎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 한국생명과학회 14 (14): 863-867, 2004
5 최희돈, "솔잎 및 소나무 가지 추출물의 항충치 활성 및glucosyltransferase 억제 효과" 한국식품과학회 39 (39): 336-341, 2007
6 김수민, "솔잎 및 녹차추출물의 항산화성 및 아질산염 소거작용" 한국축산식품학회 22 (22): 13-19, 2002
7 조은경, "소나무 새순 에탄올 추출물의 angiotensin converting enzyme, xanthine oxidase 및 nitrix oxide synthase 활성" 한국생명과학회 19 (19): 1629-1636, 2009
8 최장숙, "밤꽃(Castanea Crenata Flos.) 메탄올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 한국식품과학회 35 (35): 1216-1220, 2003
9 장민정, "리기다소나무(Pinus rigida Mill.) 내수피 추출물의 항산화효과에 관한 연구" 한국임학회 97 (97): 88-94, 2008
10 장민정, "리기다소나무(Pinus rigida Mill.) 내수피 추출물에 대한 화장품소재로써의 항염 및 항균효과" 한국임학회 97 (97): 215-220, 2008
1 박영은, "유색감자 추출물의 항산화 및 항고혈압 활성" 한국작물학회 52 (52): 447-452, 2007
2 정영진, "솔잎증류액의 투여가 Streptozotocin으로 유도한 당뇨쥐에서 혈당, 구강내당능검사, 혈액 성분에 미치는 영향" 한국식품영양과학회 34 (34): 973-979, 2005
3 임무현, "솔잎발효추출물의 효소적 저해활성 및 아질산염 소거작용"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 11 (11): 94-99, 2004
4 유지현, "솔잎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 한국생명과학회 14 (14): 863-867, 2004
5 최희돈, "솔잎 및 소나무 가지 추출물의 항충치 활성 및glucosyltransferase 억제 효과" 한국식품과학회 39 (39): 336-341, 2007
6 김수민, "솔잎 및 녹차추출물의 항산화성 및 아질산염 소거작용" 한국축산식품학회 22 (22): 13-19, 2002
7 조은경, "소나무 새순 에탄올 추출물의 angiotensin converting enzyme, xanthine oxidase 및 nitrix oxide synthase 활성" 한국생명과학회 19 (19): 1629-1636, 2009
8 최장숙, "밤꽃(Castanea Crenata Flos.) 메탄올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 한국식품과학회 35 (35): 1216-1220, 2003
9 장민정, "리기다소나무(Pinus rigida Mill.) 내수피 추출물의 항산화효과에 관한 연구" 한국임학회 97 (97): 88-94, 2008
10 장민정, "리기다소나무(Pinus rigida Mill.) 내수피 추출물에 대한 화장품소재로써의 항염 및 항균효과" 한국임학회 97 (97): 215-220, 2008
11 Kim SM, "The antioxidant ability and nitrite scavenging ability of plant extracts" 33 : 626-632, 2001
12 Kang YH, "Studies on the physiological functionality of pine needle and mugwort extracts" 27 : 978-984, 1995
13 Kwon HH, "Studies on the nutritive value of Korean foods (XVI)" 13 : 334-338, 1984
14 Cushman DW, "Spectrophotometric assay and properties of the angiotensin-converting enzyme of rabbit lung" 20 : 1637-1648, 1971
15 Kitani K, "Pharmacological interventions in aging and age- associated disorders: potentials of propargylamines for human use" 959 : 295-307, 2002
16 Tibbot BK, "Molecular cloning and characterization of a gibberellin-inducible, putative α-glucosidase gene from barley" 30 : 229-241, 1996
17 Kim SJ, "Measurement of superoxide dismutase-like activity of natural antioxidants" 59 : 822-826, 1995
18 Kuk JH,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benzoic acid with antimicrobial activity from needle of Pinus densflora" 29 : 204-210, 1997
19 Marklund S, "Involvement of superoxide aminoradical in the oxidation of pyrogallol and a convenient assay for superoxide dismutase" 47 : 468-474, 1975
20 Ra KS, "Inhibitor of xanthine oxidase from onion skin" 30 : 697-701, 1998
21 Kato H, "Inhibition of nitrosamine formation by nondialyzable melanoidins" 51 : 1333-1338, 1987
22 Eunwha Son, "Immunomodulatory Activity of Pine Needle (Pinus densiflora) Extracts in Macrophages" 한국식품영양과학회 11 (11): 105-109, 2006
23 Ahn JY, "Evaluation of biological activities on the extractives of Pinaceae" 31 : 121-125, 2005
24 Nice DJ, "Characterization of a heat-stable antioxidant co-purified with the superoxide dismutase activity from dried peas" 52 : 393-397, 1995
25 Ruidavets J, "Catechin in the Mediterranean diet: vegetable, fruit or wine?" 153 : 107-117, 2000
26 Kwak CS, "Antioxidant, antimutagenic, and antitumor effects of pine needles (Pine densiflora)" 56 : 162-171, 2006
27 Blois MS, "Antioxidant determination by the use of a stable free radical" 181 : 1198-1200, 1958
28 Choi EM, "Antinociceptive and antiinflammatory activity of pine (Pinus densflora) pollen extract" 21 : 471-475, 2007
29 Maruyama S, "Angiotensin converting enzyme inhibitor derived from an enzymatic hydrolysate of casein" 49 : 1405-1410, 1985
30 Singleton VL, "Analysis of total phenols and other oxidation substrates and antioxidants by means of Folin-Ciocalteau reagent" 299 : 152-178, 1999
31 Lee JH, "Analysis of phenolic substances content of Korea plant foods" 26 : 310-316, 1994
32 정영신, "2형 당뇨 마우스에서 솔잎 추출용액의 경구투여가 혈당조절에 미치는 영향" 한국식품영양과학회 35 (35): 321-327, 2006
국내 인삼시장에서 유통되고 있는 홍삼 파우치 제품의 사포닌 함량 및 이화학적 특성
CLA(Conjugated Linoleic Acid)가 함유된 사료를 섭취한 고등어 (Scomber japonicus)의 가열조리에 의한 지방산조성의 변화
회향종자(Foeniculum fructus) 물 추출물의 항비만 효과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3 | 평가예정 | 해외DB학술지평가 신청대상 (해외등재 학술지 평가)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해외등재 학술지 평가) | ![]() |
2014-06-24 | 학회명변경 | 한글명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영문명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 ![]() |
2014-04-02 | 학회명변경 | 한글명 : 한국식품영양과학회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영문명 : 미등록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 ![]()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2-07-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0-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1.03 | 1.03 | 1.13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1.18 | 1.2 | 1.993 | 0.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