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속담의 논증기능과 논증 연결사 mai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G364819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1) 연구내용:
      제1장에서는 속담인용 담화에 사용되는 속담의 논증기능을 검토하기로 한다. 속담은 언중의 지혜와 집단의식에 기반을 둔 권위적 언술(énoncé d'autorité)로서 논증 담화에 있어 담화 틀(cadre du discours) 또는 대전제의 기능을 수행한다 할 수 있다. 이처럼 속담이 담화 내에서 보편적 권위성에 의해 논증강화의 수단으로 사용되는 경우가 많은 반면, 그 권위가 논박되어 속담 자체의 논증력이 약화하거나 훼손되는 경우도 적지 않다.
      제2장에서는 논증에 작용하는 mais의 논증규칙을 일별하고자 한다. mais는 담화상황에 따라 담화연쇄 내에서 여러 유형의 대립관계를 구성할 수 있는데, 논증대립 관계에 있어서는 직접 역논증(contre-argumentation directe)과 간접 역논증(contre-argumentation indirecte)의 작용을 유발한다.
      제3장에서는 "p mais q (comme) Prov" 연쇄에 작용하는 속담의 논증강화 기능이 mais의 역논증 규칙과 함께 어떤 양상으로 작용하는지 분석하기로 한다. 이 분석 과정에 있어 우리는 속담이 논증 틀인 대전제로 인용될 뿐 아니라 논증에 직접 참여하는 논거가 될 수 있음을 다양한 자료 분석을 통하여 확인하고자 한다.
      제4장에서 우리는 "p (comme) Prov mais q" 연쇄에서 속담 자체가 논박의 대상이 됨으로써 그 권위와 논증력이 약화하여 논증기능이 훼손되는 사례들을 분석하기로 한다. 이러한 경우 속담은 논증연쇄 전체에 영향을 미치는 대전제로 작용하지 못하고 선행 언술과 관련된 양보적 논증의 논거로 인용될 뿐이라고 해석할 수 있다. 또한, 이처럼 보편적 가치가 논박되는 속담들은 대체로 ∃LOC형 속담에 속한다 가정할 수 있는데, 이에 대해서도 검증하도록 하겠다.
      제5장에서는 "p (comme) Prov mais q" 연쇄에서 mais가 선행 언술의 속담을 후행 언술을 통하여 직접 반박함(réfutation)으로써 역논증 기능이 아닌 반박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지 여부를 검토하기로 한다. 이러한 기능 작용이 가능한 경우 속담의 보편적 권위와 대전제의 위상은 화자나 필자의 담화 세계 내에서 상실되는 결과를 갖게 된다.

      이상과 같은 연구를 계획대로 완료하면 우리는 속담의 논증기능에 대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도출할 수 있을 것이다.
      첫째, 많은 속담 연구가들의 주장대로 속담은 언중의 지혜를 담은 보편적 통념으로 담화 내에 인용되어 논증을 강화하는 대전제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둘째, 연결사 mais에 의해 논증력이 약화하여 선행 언술의 양보적 논증에서만 논증기능을 발휘하고 역논증의 논박 대상이 되어 그 논증기능이 훼손될 수 있다.
      셋째, 속담이 화자의 논거로서 단언의 대상이 될 수 있다.
      넷째, ∀LOC형 속담보다 ∃LOC형 속담이 역논증의 논박 대상이 되기 쉽다.
      다섯째, mais의 반박기능에 의해 담화 내에서 속담의 보편성과 권위 자체가 상실될 수 있다.

      2) 연구방법:
      (1) 본 연구를 수행해 가는데 있어 우리는 관련 학자들의 이론적 연구를 충실히 수행하며, 논증 연결사 mais와 결합한 속담인용 담화 자료체를 충분히 수집하여 분석하고 필요한 경우 영어와 우리말 자료체 분석 결과도 이용하고자 한다.
      (2) 분석 자료체는 주로 서체담화(discours écrit)이기 때문에, 프랑스 간행 신문, 잡지 등 각종 서체자료를 분석 대상으로 사용할 것이다.
      (3) 연구 책임자는 이론적 분석과 적용의 임무를 수행할 것이며, 관련 자료 수집은 연구 보조원이 수행할 것이다. 또한, 이를 토대로 한 광범위한 자료 분석과 결과 도출에는 연구 책임자, 연구 보조원 모두 참여할 것이다.
      (4) 국내외 속담 연구자들과 면담 및 서면 토의를 수시로 수행하고 조언을 반영하여 연구의 완성도를 높이고자 한다.
      (5) 연구 과정 중 대학원 세미나를 개최하여 분석 작업에 대한 정확성과 타당성을 점검하고 수정해갈 것이다.
      번역하기

      1) 연구내용: 제1장에서는 속담인용 담화에 사용되는 속담의 논증기능을 검토하기로 한다. 속담은 언중의 지혜와 집단의식에 기반을 둔 권위적 언술(énoncé d'autorité)로서 논증 담화에 있어 �...

      1) 연구내용:
      제1장에서는 속담인용 담화에 사용되는 속담의 논증기능을 검토하기로 한다. 속담은 언중의 지혜와 집단의식에 기반을 둔 권위적 언술(énoncé d'autorité)로서 논증 담화에 있어 담화 틀(cadre du discours) 또는 대전제의 기능을 수행한다 할 수 있다. 이처럼 속담이 담화 내에서 보편적 권위성에 의해 논증강화의 수단으로 사용되는 경우가 많은 반면, 그 권위가 논박되어 속담 자체의 논증력이 약화하거나 훼손되는 경우도 적지 않다.
      제2장에서는 논증에 작용하는 mais의 논증규칙을 일별하고자 한다. mais는 담화상황에 따라 담화연쇄 내에서 여러 유형의 대립관계를 구성할 수 있는데, 논증대립 관계에 있어서는 직접 역논증(contre-argumentation directe)과 간접 역논증(contre-argumentation indirecte)의 작용을 유발한다.
      제3장에서는 "p mais q (comme) Prov" 연쇄에 작용하는 속담의 논증강화 기능이 mais의 역논증 규칙과 함께 어떤 양상으로 작용하는지 분석하기로 한다. 이 분석 과정에 있어 우리는 속담이 논증 틀인 대전제로 인용될 뿐 아니라 논증에 직접 참여하는 논거가 될 수 있음을 다양한 자료 분석을 통하여 확인하고자 한다.
      제4장에서 우리는 "p (comme) Prov mais q" 연쇄에서 속담 자체가 논박의 대상이 됨으로써 그 권위와 논증력이 약화하여 논증기능이 훼손되는 사례들을 분석하기로 한다. 이러한 경우 속담은 논증연쇄 전체에 영향을 미치는 대전제로 작용하지 못하고 선행 언술과 관련된 양보적 논증의 논거로 인용될 뿐이라고 해석할 수 있다. 또한, 이처럼 보편적 가치가 논박되는 속담들은 대체로 ∃LOC형 속담에 속한다 가정할 수 있는데, 이에 대해서도 검증하도록 하겠다.
      제5장에서는 "p (comme) Prov mais q" 연쇄에서 mais가 선행 언술의 속담을 후행 언술을 통하여 직접 반박함(réfutation)으로써 역논증 기능이 아닌 반박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지 여부를 검토하기로 한다. 이러한 기능 작용이 가능한 경우 속담의 보편적 권위와 대전제의 위상은 화자나 필자의 담화 세계 내에서 상실되는 결과를 갖게 된다.

      이상과 같은 연구를 계획대로 완료하면 우리는 속담의 논증기능에 대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도출할 수 있을 것이다.
      첫째, 많은 속담 연구가들의 주장대로 속담은 언중의 지혜를 담은 보편적 통념으로 담화 내에 인용되어 논증을 강화하는 대전제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둘째, 연결사 mais에 의해 논증력이 약화하여 선행 언술의 양보적 논증에서만 논증기능을 발휘하고 역논증의 논박 대상이 되어 그 논증기능이 훼손될 수 있다.
      셋째, 속담이 화자의 논거로서 단언의 대상이 될 수 있다.
      넷째, ∀LOC형 속담보다 ∃LOC형 속담이 역논증의 논박 대상이 되기 쉽다.
      다섯째, mais의 반박기능에 의해 담화 내에서 속담의 보편성과 권위 자체가 상실될 수 있다.

      2) 연구방법:
      (1) 본 연구를 수행해 가는데 있어 우리는 관련 학자들의 이론적 연구를 충실히 수행하며, 논증 연결사 mais와 결합한 속담인용 담화 자료체를 충분히 수집하여 분석하고 필요한 경우 영어와 우리말 자료체 분석 결과도 이용하고자 한다.
      (2) 분석 자료체는 주로 서체담화(discours écrit)이기 때문에, 프랑스 간행 신문, 잡지 등 각종 서체자료를 분석 대상으로 사용할 것이다.
      (3) 연구 책임자는 이론적 분석과 적용의 임무를 수행할 것이며, 관련 자료 수집은 연구 보조원이 수행할 것이다. 또한, 이를 토대로 한 광범위한 자료 분석과 결과 도출에는 연구 책임자, 연구 보조원 모두 참여할 것이다.
      (4) 국내외 속담 연구자들과 면담 및 서면 토의를 수시로 수행하고 조언을 반영하여 연구의 완성도를 높이고자 한다.
      (5) 연구 과정 중 대학원 세미나를 개최하여 분석 작업에 대한 정확성과 타당성을 점검하고 수정해갈 것이다.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