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브라인 재가열을 이용한 증발식 해수담수화설비의 성능개선 = Performance improvement of thermal seawater desalination process using brine reheating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31950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s thermal seawater desalination requires a fairly large amount of energy to produce freshwater compared with other processes, it is very important to reduce energy consumption through the improvement of a process. This paper proposes a method to reduce energy consumption for multistage flashing desalination (MSF) plants, which currently operate mainly in the Middle East region. In the MSF process, the brine that has not been evaporated in the preceding stage is supplied to the next stage; this supplied brine is evaporated in the next stage at lower pressure and temperature conditions. This process is continued from the first stage to the last stage. In this study, the energy consumption could be reduced by reheating the brine to the top brine temperature (TBT) and by transferring a part of brine to the stage following the next stage, or by reheating the brine supplied to the next stage up to the TBT. According to the calculation results, the specific energy required to produce 1 kg of freshwater can be reduced by up to approximately 5 % if the proposed brine reheating method is applied to MSF plants that are currently in operation.
      번역하기

      As thermal seawater desalination requires a fairly large amount of energy to produce freshwater compared with other processes, it is very important to reduce energy consumption through the improvement of a process. This paper proposes a method to redu...

      As thermal seawater desalination requires a fairly large amount of energy to produce freshwater compared with other processes, it is very important to reduce energy consumption through the improvement of a process. This paper proposes a method to reduce energy consumption for multistage flashing desalination (MSF) plants, which currently operate mainly in the Middle East region. In the MSF process, the brine that has not been evaporated in the preceding stage is supplied to the next stage; this supplied brine is evaporated in the next stage at lower pressure and temperature conditions. This process is continued from the first stage to the last stage. In this study, the energy consumption could be reduced by reheating the brine to the top brine temperature (TBT) and by transferring a part of brine to the stage following the next stage, or by reheating the brine supplied to the next stage up to the TBT. According to the calculation results, the specific energy required to produce 1 kg of freshwater can be reduced by up to approximately 5 % if the proposed brine reheating method is applied to MSF plants that are currently in operation.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증발식 해수담수화설비는 타방식에 비해 담수생산을 위한 에너지소비가 매우 크기 때문에 공정개선을 통해 에너지를 절감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중동지역에 이미 설치되어 운전 중인 대용량의 다단플래싱방식의 증발식 해수담수화공정을 대상으로 에너지절감방안을 제안하고 있다. 다단플래싱방식에서는 전단에서 증발하고 남은 브라인이 전단보다 낮은 온도와 압력으로 운전되는 후단으로 이송되어 단계적으로 증발하는 방식을 취하는데, 본 연구에서는 전단에서 후단으로 넘어가는 브라인의 일부를 최전단의 증발기로 공급되는 브라인 온도까지 재가열 후에 후단 혹은차후단으로 공급하는 공정개선을 통해 에너지절감을 달성하였다. 본 연구의 계산결과에 따르면 현재 운전 중인 다단플래싱방식의 해수담수화플랜트에 브라인 재가열방식을 적용하는 경우 담수 1 kg을 생산하는데 필요한 비에너지를 최대약 5 %까지 절감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번역하기

      증발식 해수담수화설비는 타방식에 비해 담수생산을 위한 에너지소비가 매우 크기 때문에 공정개선을 통해 에너지를 절감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중동지역에 이미 설치되...

      증발식 해수담수화설비는 타방식에 비해 담수생산을 위한 에너지소비가 매우 크기 때문에 공정개선을 통해 에너지를 절감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중동지역에 이미 설치되어 운전 중인 대용량의 다단플래싱방식의 증발식 해수담수화공정을 대상으로 에너지절감방안을 제안하고 있다. 다단플래싱방식에서는 전단에서 증발하고 남은 브라인이 전단보다 낮은 온도와 압력으로 운전되는 후단으로 이송되어 단계적으로 증발하는 방식을 취하는데, 본 연구에서는 전단에서 후단으로 넘어가는 브라인의 일부를 최전단의 증발기로 공급되는 브라인 온도까지 재가열 후에 후단 혹은차후단으로 공급하는 공정개선을 통해 에너지절감을 달성하였다. 본 연구의 계산결과에 따르면 현재 운전 중인 다단플래싱방식의 해수담수화플랜트에 브라인 재가열방식을 적용하는 경우 담수 1 kg을 생산하는데 필요한 비에너지를 최대약 5 %까지 절감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송치성, "증발식 해수담수화설비의 에너지 소모량에 관한 연구" 한국마린엔지니어링학회 38 (38): 1094-1100, 2014

      2 최두열, "열압축기를 채용한 다중효용 담수설비의 운전특성에 관한 연구(1보)" 한국마린엔지니어링학회 32 (32): 1185-1191, 2008

      3 M. Nair, "Water desalination and challenges: The Middle East perspective: A review" 51 (51): 2030-2040, 2013

      4 United Nations, "Water Scarcity" UN 2012

      5 M. A. Darwish, "Towards sustainable seawater desalting in the Gulf area" 235 (235): 58-87, 2009

      6 S. H. Choi, "Thermal type seawater desalination with barometric vacuum and solar energy" 141 : 1332-1349, 2017

      7 Y. P. Choi, "The water and environment" 36 (36): 4-9, 1992

      8 Z. Amjad, "The Science and Technology of Industrial Water Treatment" CRC Press 2010

      9 A. W. Veenman, "The MSF/FBE: An improved multi-stage flash distillation process" 19 (19): 1-14, 1976

      10 L. Y. Wu, "Simulation of multi-stage flash (MSF) desalination process" 200-205, 2012

      1 송치성, "증발식 해수담수화설비의 에너지 소모량에 관한 연구" 한국마린엔지니어링학회 38 (38): 1094-1100, 2014

      2 최두열, "열압축기를 채용한 다중효용 담수설비의 운전특성에 관한 연구(1보)" 한국마린엔지니어링학회 32 (32): 1185-1191, 2008

      3 M. Nair, "Water desalination and challenges: The Middle East perspective: A review" 51 (51): 2030-2040, 2013

      4 United Nations, "Water Scarcity" UN 2012

      5 M. A. Darwish, "Towards sustainable seawater desalting in the Gulf area" 235 (235): 58-87, 2009

      6 S. H. Choi, "Thermal type seawater desalination with barometric vacuum and solar energy" 141 : 1332-1349, 2017

      7 Y. P. Choi, "The water and environment" 36 (36): 4-9, 1992

      8 Z. Amjad, "The Science and Technology of Industrial Water Treatment" CRC Press 2010

      9 A. W. Veenman, "The MSF/FBE: An improved multi-stage flash distillation process" 19 (19): 1-14, 1976

      10 L. Y. Wu, "Simulation of multi-stage flash (MSF) desalination process" 200-205, 2012

      11 UNESCWA, "Role of desalination in addressing water scarcity" ESCWA 2009

      12 N. Ghaffour, "Renewable energy-driven desalination technologies : a comprehensive review on challenges and potential applications of integrated systems" 356 : 94-114, 2015

      13 O. A. Hamed, "Prospects of operation of MSF desalination plants at high TBT and low antiscalant dosing rate" 256 (256): 181-189, 2010

      14 H. Fatha, "Present and future trend in the production and energy consumption of desalinated water in GCC countries" 5 (5): 155-165, 2013

      15 S. H. Choi, "On the brine re-utilization of a multi-stage flashing(MSF)desalination plant" 398 : 64-76, 2016

      16 M. M. Alhazmy, "Multi stage flash desalination plant with brine-feed mixing and cooling" 36 (36): 5225-5232, 2011

      17 E. Ghiazza, "Innovation in multistage flash evaporator design for reduced energy consumption and low installation cost" 2013

      18 H. Chung, "Improved productivity of the multi-stage flashing (MSF) desalination plant by increasing the top brine temperature (TBT)" 107 : 683-692, 2016

      19 H. Chung, "Evaluation for the optimized desalination model interfaced with SMART system" KAERI 2014

      20 M. A. Dawoud, "Environmental impacts of seawater desalination : Arabian Gulf case study" 1 (1): 22-37, 2012

      21 A. Al-Karaghouli, "Energy consumption and water production cost of conventional and renewable-energy-powered desalination processes" 24 : 343-356, 2013

      22 A. Gambier, "Dynamic modelling of MSF plants for automatic control and simulation purposes : A survey" 166 : 191-204, 2004

      23 The Pacific Community, "Director-General, Dr Colin Tukuitonga"

      24 M. A. Darwish, "Cost allocation in cogeneration power–desalination plant utilizing gas/steam combined cycle(GTCC)in Kuwait" 14 (14): 275-302, 2014

      25 T. Hoepner, "Chemical impacts from seawater desalination plants a case study of the northern Red Sea" 152 (152): 133-140, 2003

      26 J. T. Trevors, "Chance and necessity do not explain the origin of life" 28 (28): 729-739, 2004

      27 M. T. Ali, "A comprehensive techno-economical review of indirect solar desalination" 15 (15): 4187-4199, 2011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20-01-01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GINEERING -> Journal of Advanced Marine Engineering and Technology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7-07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GINEERS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GINEERING KCI등재
      2006-04-07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한국박용기관학회지 -> 한국마린엔지니어링학회지 KCI등재
      2006-04-07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한국박용기관학회지 -> 한국마린엔지니어링학회지 KCI등재
      2006-04-07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한국박용기관학회지 -> 한국마린엔지니어링학회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6-16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박용기관학회 -> 한국마린엔지니어링학회
      영문명 : 미등록 ->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gineering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34 0.34 0.3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32 0.29 0.428 0.0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