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SCOPUS

      정선황기의 세포유전학적 연구 = A cytogenetic study of Astragalus koraiensis Y. N. Le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48913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determine the karyotype and chromosomal localizations of 45S and 5S rDNAs using FISH in Astragalus koraiensis. The somatic metaphase chromosome number of this species was 2n = 16 with basic chromosome number of x = 8. The karyotype of A. koraiensis was consisted of six pairs of median region chromosomes(chromosome 1, 3, 4, 5, 6, 8) and two pairs of submedian chromosomes(chromosome 2, 7). Based on the FISH, one pair of 45S rDNA site was detected on the centromeric region of chromosome 5. Whereas, two pair of 5S sites were detected on the short arm of chromosome 4 and centromeric region of chromosome 7, respectively. These are quite different patterns from A. membranaceus, A. membranaceus var. alpinus, and A. mongholicus. Although A. koraiensis is considered as Korean endemic species, therefore, it should be conducted out comparative FISH study with A. sikokianus and A. bhotanensis which are very similar to A. koraiensis morphologically.
      번역하기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determine the karyotype and chromosomal localizations of 45S and 5S rDNAs using FISH in Astragalus koraiensis. The somatic metaphase chromosome number of this species was 2n = 16 with basic chromosome number of x = 8. The...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determine the karyotype and chromosomal localizations of 45S and 5S rDNAs using FISH in Astragalus koraiensis. The somatic metaphase chromosome number of this species was 2n = 16 with basic chromosome number of x = 8. The karyotype of A. koraiensis was consisted of six pairs of median region chromosomes(chromosome 1, 3, 4, 5, 6, 8) and two pairs of submedian chromosomes(chromosome 2, 7). Based on the FISH, one pair of 45S rDNA site was detected on the centromeric region of chromosome 5. Whereas, two pair of 5S sites were detected on the short arm of chromosome 4 and centromeric region of chromosome 7, respectively. These are quite different patterns from A. membranaceus, A. membranaceus var. alpinus, and A. mongholicus. Although A. koraiensis is considered as Korean endemic species, therefore, it should be conducted out comparative FISH study with A. sikokianus and A. bhotanensis which are very similar to A. koraiensis morphologically.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국내에 자생하는 황기속(Astragalus L.) 식물인 정선황기(A. koraiensis)의 핵형을 분석하고, 5S 및 45S rDNA 유전자를 이용한 FISH 실험에 기초하여 세포유전학적 연구를 수행하였다. 핵형 분석 결과, 정선황기의 체세포 염색체수는 2n = 16으로, 기본 염색체수는 x = 8임을 확인하였다. 염색체 조성은 6쌍의 중부염색체(염색체 1, 3, 4, 5, 6, 8)와 2쌍의 차중부염색체(염색체 2, 7)로 구성되었다. 정선황기의 염색체상에서의 FISH 결과, 1쌍의 45S rDNA signal이 5번 염색체의 동원체 부위에서 관찰되었고, 2쌍의 5S rDNA signal이 4번 염색체의 단완 말단부위와 7번 염색체의 동원체 부위에서 관찰되었다. 이는 기존의 황기 및 제주황기, 몽골황기(A. mongholicus) 와는 전혀 다른 FISH 패턴을 보이고 있어 정선황기가 고유종임을 암시하지만, 형태학적으로 유사한 갯황기(A. sikokianus) 및 A. bhotanensis 와의 비교연구를 수행하여 정확한 분류학적 처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번역하기

      국내에 자생하는 황기속(Astragalus L.) 식물인 정선황기(A. koraiensis)의 핵형을 분석하고, 5S 및 45S rDNA 유전자를 이용한 FISH 실험에 기초하여 세포유전학적 연구를 수행하였다. 핵형 분석 결과, 정...

      국내에 자생하는 황기속(Astragalus L.) 식물인 정선황기(A. koraiensis)의 핵형을 분석하고, 5S 및 45S rDNA 유전자를 이용한 FISH 실험에 기초하여 세포유전학적 연구를 수행하였다. 핵형 분석 결과, 정선황기의 체세포 염색체수는 2n = 16으로, 기본 염색체수는 x = 8임을 확인하였다. 염색체 조성은 6쌍의 중부염색체(염색체 1, 3, 4, 5, 6, 8)와 2쌍의 차중부염색체(염색체 2, 7)로 구성되었다. 정선황기의 염색체상에서의 FISH 결과, 1쌍의 45S rDNA signal이 5번 염색체의 동원체 부위에서 관찰되었고, 2쌍의 5S rDNA signal이 4번 염색체의 단완 말단부위와 7번 염색체의 동원체 부위에서 관찰되었다. 이는 기존의 황기 및 제주황기, 몽골황기(A. mongholicus) 와는 전혀 다른 FISH 패턴을 보이고 있어 정선황기가 고유종임을 암시하지만, 형태학적으로 유사한 갯황기(A. sikokianus) 및 A. bhotanensis 와의 비교연구를 수행하여 정확한 분류학적 처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수영, "황기류 식물 3종의 세포유전학적 분석" 한국약용작물학회 14 (14): 250-254, 2006

      2 이중구, "헐떡이풀의 핵형분석과 Bicolor FISH를 이용한 물리적 지도 작성" 한국자원식물학회 20 (20): 446-450, 2007

      3 김수영, "핵형분석과 FISH 기술을 이용한 솔비나무와 다릅나무의 세포유전학적 연구" 한국식물분류학회 39 (39): 193-198, 2009

      4 박영욱, "한국 자생 붓꽃과 식물 5종의 핵형분석" 한국식물생명공학회 33 (33): 39-43, 2006

      5 김수영, "지모에서 McFISH를 이용한 rDNAs의 물리지도 작성" 한국약용작물학회 12 (12): 515-518, 2004

      6 이영종, "黃芪(기)의 形態鑑別에 관한 硏究" 대한본초학회 19 (19): 61-68, 2004

      7 Rayburn, A. L., "Use of biotin-labeled probes to map specific DNA sequences on wheat chromosome" 76 : 78-81, 1985

      8 Nederlof, P. M., "Threecolor fluorescence in situ hybridization for the simultaneous detection of multiple nucleic acid sequences" 10 : 20-27, 1989

      9 Flavell, R. B., "The differential expression of ribosomal RNA genes" 314 : 379-385, 1986

      10 Wang, X., "The chromosome number, karyotype and genome size of the desert plant diploid Reaumuria soongorica (Pall.)" 30 : 955-964, 2011

      1 김수영, "황기류 식물 3종의 세포유전학적 분석" 한국약용작물학회 14 (14): 250-254, 2006

      2 이중구, "헐떡이풀의 핵형분석과 Bicolor FISH를 이용한 물리적 지도 작성" 한국자원식물학회 20 (20): 446-450, 2007

      3 김수영, "핵형분석과 FISH 기술을 이용한 솔비나무와 다릅나무의 세포유전학적 연구" 한국식물분류학회 39 (39): 193-198, 2009

      4 박영욱, "한국 자생 붓꽃과 식물 5종의 핵형분석" 한국식물생명공학회 33 (33): 39-43, 2006

      5 김수영, "지모에서 McFISH를 이용한 rDNAs의 물리지도 작성" 한국약용작물학회 12 (12): 515-518, 2004

      6 이영종, "黃芪(기)의 形態鑑別에 관한 硏究" 대한본초학회 19 (19): 61-68, 2004

      7 Rayburn, A. L., "Use of biotin-labeled probes to map specific DNA sequences on wheat chromosome" 76 : 78-81, 1985

      8 Nederlof, P. M., "Threecolor fluorescence in situ hybridization for the simultaneous detection of multiple nucleic acid sequences" 10 : 20-27, 1989

      9 Flavell, R. B., "The differential expression of ribosomal RNA genes" 314 : 379-385, 1986

      10 Wang, X., "The chromosome number, karyotype and genome size of the desert plant diploid Reaumuria soongorica (Pall.)" 30 : 955-964, 2011

      11 Kim, S. Y., "Taxonomic study on the genus Astragalus (Leguminosae) in Korea" Inha University 2004

      12 손재한, "Sequence diversification of 45S rRNA ITS, trnH-psbA spacer, and matK genic regions in several Allium species" 한국유전학회 32 (32): 165-172, 2010

      13 Jae-Han Son, "Sequence Variation and Comparison of the 5S rRNA Sequences in Allium Species and their Chromosomal Distribution in Four Allium Species" 한국식물학회 55 (55): 15-25, 2012

      14 박희운, "SCAR 마커를 이용한 황기와 몽고황기 판별" 한국약용작물학회 15 (15): 51-55, 2007

      15 Rogers, S. O., "Ribosomal RNA gene in plants: variability in copy number and in the intergenic spacer" 9 : 509-520, 1987

      16 Seo, B. B., "Physical mapping using multicolor fluorescence in situ hybridization in Allium species" 12 : 199-228, 1997

      17 Mukai, Y., "Physical mapping of the 18S, 26S rRNA multigene family in common wheat: Identification of a new locus" 100 : 71-78, 1991

      18 Leitch, I. J., "Physical mapping of four sites of 5S rDNA sequences and one site of the a-amylase-2 gene in barley (Hordeum vulgare)" 36 : 517-523, 1993

      19 Levan, E., "Nomenclature for centromeric position in chromosomes" 52 : 201-220, 1964

      20 Lee, Y. N., "New taxa of Korean flora" 24 (24): 27-30, 1981

      21 구달회, "Multicolor FISH와 Feulgen 염색법을 이용한 Angelica속 식물의 세포유전학적 분석" 한국식물생명공학회 30 (30): 123-127, 2003

      22 손성원, "Molecular Evidence for the Hybridity of Ilex × wandoensis and the Phylogenetic Study of Korean Ilex Based on ITS Sequence Data" 한국유전학회 31 (31): 53-63, 2009

      23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Manual of the 4th Nature and Environment Survey"

      24 Maluszynska, J., "Localization of tandemly repeated DNA sequences in Arabidopsis thaliana" 1 : 159-166, 1993

      25 Moore, G., "Key features of cereal genome organization as revealed by the use of cytosine methylation-sensitive restriction endonuleases" 15 : 472-482, 1993

      26 Luo, J. P., "High frequency somatic embryogenesis and plant regeneration in callus cultures of Astragalus adsurgens Pall" 143 : 93-99, 1999

      27 Bauman, J. G., "Fluorescent in situ hybridization to detect cellular RNA's by flow cytometry and confocal microscopy" 157 (157): 73-81, 1989

      28 Nomar Espinosa Waminal, "Dual-color FISH Karyotype and rDNA Distribution Analyses on Four Cucurbitaceae Species" 한국원예학회 53 (53): 49-56, 2012

      29 Kim, S. Y., "Cytogenetic analysis of Brassica campestris var. pekinensis using Cbanding and FISH" 20 (20): 285-294, 1998

      30 Lee, T. B., "Coloured Flora of Korea" Hyangmoonsa 636-, 2003

      31 Battalia, E., "Chromosome morphology and terminology" 8 : 179-187, 1955

      32 Ricroch, A., "Chromosome location of rDNA in Allium in situ hybridization using biotin and fluorescein labelled probe" 83 : 413-418, 1992

      33 Pardue, M. L., "Chromosomal localization of mouse satellite DNA" 168 : 1356-1358, 1970

      34 Naranjo, C. A., "A practical method of chromosome classification on the basis of centromere position" 62 : 51-53, 1983

      35 Toh, C. A., "A cytotaxonomic study on the Astragalus membranaceus and Astragalus membranaceus var. alpinus" 3 : 58-61, 1971

      36 Jobes, D., "A conserved motif in the 5.8S ribosomal RNA (rRNA) gene is a useful marker for plant internal transcribed spacer (ITS) sequences" 15 : 326-334, 1997

      37 Korea National Arboretum, "A Synonymic List of Vascular Plants in Korea"

      38 김수영, "5S와 45S rDNA 유전자를 이용한 제주도산 애기더덕 (Codonopsis minima)과 더덕 (C. lanceolata)의 FISH 패턴 분석" 한국약용작물학회 18 (18): 186-190, 2010

      39 조혜경, "2배체 담배 Nicotiana plumbaginifolia의 핵형 분석과 rDNAs의 Physical Mapping" 한국식물생명공학회 30 (30): 7-11, 2003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4 평가예정 해외DB학술지평가 신청대상 (해외등재 학술지 평가)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해외등재 학술지 평가) KCI등재
      2020-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해외등재 학술지 평가) KCI등재후보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기타)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9-14 학회명변경 영문명 : The Plant Taxonomic Society Of Korea -> The Korean Society of Plant Taxonomists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0-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23 0.23 0.2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27 0.43 0.521 0.0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