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지적자본 이론을 활용하여 공공 연구기관의 지적자본을 측정하고 이를 성과평가 제도로 활용하고자 하는 목적에서 수행되었다. 최근 범정부적으로 추진되고 있는 성과평가 제도...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2899783
2006
-
300
KCI등재
학술저널
111-142(32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본 연구는 지적자본 이론을 활용하여 공공 연구기관의 지적자본을 측정하고 이를 성과평가 제도로 활용하고자 하는 목적에서 수행되었다. 최근 범정부적으로 추진되고 있는 성과평가 제도...
본 연구는 지적자본 이론을 활용하여 공공 연구기관의 지적자본을 측정하고 이를 성과평가 제도로 활용하고자 하는 목적에서 수행되었다. 최근 범정부적으로 추진되고 있는 성과평가 제도의 도입과 관련하여, 연구개발 분야에서도 연구개발 사업 또는 연구기관의 성과평가를 합리적으로 수행하기 위한 연구가 적지 않게 수행되고 있다. 그러나 기존 연구들은 성과평가의 시행을 위해 필요한 평가지표 또는 추진전략만을 제시하고 실제의 적용으로까지는 연결되지 못하거나, 연구개발 분야의 특성인 무형가치의 산출이라는 측면을 충분히 고려하지 못함으로써 연구개발 성과를 유형적인 것 만에 한정시키는 한계를 보이고 있다. 이러한 문제의식에서 본 연구는 정부출연 연구기관인 A연구원의 2003년도와 2004년도 지적자본을 실제로 측정하고, 측정결과를 활용하여 공공 연구기관의 성과평가 제도를 마련하기 위한 전제 조건을 개별 연구기관과 평가기관의 관점으로 각각 분리하여 논의하였다. 본 연구에서 다루고 있는 지적자본을 활용한 성과평가 제도의 운영방안 논의는, 향후 다른 연구기관에게 벤치마킹의 기회를 제공함은 물론 관련 정책결정 기관에게는 연구기관의 특성을 좀 더 많이 반영할 수 있는 미래 지향적인 성과평가 제도를 수립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한국과 중국의 성별 네트워크 형성과 사회단체참여 및 정치활동 비교 분석
정부조직의 네트워크 실증연구 : 43개 중앙행정기관의 수평적 · 수직적 네트워크 측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