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광주대교구 주일학교 교리교사의 신앙실태와 교육현황 : 광주시내 지구 본당을 중심으로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2616817

      • 저자
      • 발행사항

        나주 : 광주가톨릭대학교, 2012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석사) -- 광주가톨릭대학교 대학원 , 실천신학전공 , 2012

      • 발행연도

        2012

      • 작성언어

        한국어

      • KDC

        235.7 판사항(5)

      • DDC

        268 판사항(21)

      • 발행국(도시)

        전라남도

      • 형태사항

        vii, 102 p. ; 26 cm

      • 일반주기명

        참고문헌: p. 87-91

      • 소장기관
        • 광주가톨릭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국립중앙도서관 국립중앙도서관 우편복사 서비스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rify the status of faith and the present condition of education of the catechist in a district parish in Gwangju Archdiocese. For this, the following two main research questions were set. First, how is the status of faith of the catechist? Second, how is the present education condition of the catechist? The survey for examination these research questions were carrying out targeting the doctrine teacher in a district parish in Gwangju Archdiocese. 129 doctrine teachers participated in the survey and 120 out of 129 responses were used in this study.
      SPSS (Statistical Package for the Social Science) for Window 12.0 was used for processing collected data to statistical leverage. The analysis data indicated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Research subject 1 is investigation about the faith status of the catechist. First, as a result of survey, Mass participation rate of the catechist is significantly higher than participation rate of laity. It seems to dutiful behavior as a teacher who should set an example for students. Secondly, catechists' life of faith showed a sign of the polarization. The 'Lord's Prayer', the 'Hail Mary' and the 'Glory be' and the 'grace at meal' were accomplished frequently, comparing with Way of the cross. people seems to considered Way of the cross as a pray for special period, like Lent.
      On the other hand, research subject 2 is investigation about the present education situation of catechists. Firstly, catechists know the basic doctrine generally. Though teachers are reeducated well, they need an additional retraining. Especially, they want to be reeducated on a parish basis. Through the result of survey about condition of preparing doctrine, Secondly, there are lots of difficulties. They pointed out that lack of common knowledge of doctrine and training support materials is one of the problems. And they selected fellow teacher and pastoral ministry of their own parish as a supporter. Attention of pastoral ministry is needed. Third, according to the survey result which is itemized a parish, diocese and district, most of reeducation is conducted by diocese. Respondents wanted that the education of faith is conducted at the parish and the education of lesson plan and of teaching method is conducted at diocese. Recognition about education conducted by district is low and also inexperienced. But the expectation is positive.
      Ultimately, the results of this study provide the following implications. First, the new course of basic doctrine and faith education which is aimed catechist is needed. The process from reality realizing to knowing the theory of Catholic doctrine which is ultimately revealed in life is essential for catechist training through long-term plan. This education course can empower the catechists' specialty for faith and doctrine. Second, parish, district and diocese have to set a network.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is survey, education for catechist is converged on diocese. If parish, district and diocese conduct the education by their own characteristics, diocese centered education and be distributed and professional education can be provided. Also doctrine teachers' satisfaction and participation will be increased. The diocese officer and pastoral ministry of parish should not overlook the importance of faith life and education of catechist.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rify the status of faith and the present condition of education of the catechist in a district parish in Gwangju Archdiocese. For this, the following two main research questions were set. First, how is the status of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rify the status of faith and the present condition of education of the catechist in a district parish in Gwangju Archdiocese. For this, the following two main research questions were set. First, how is the status of faith of the catechist? Second, how is the present education condition of the catechist? The survey for examination these research questions were carrying out targeting the doctrine teacher in a district parish in Gwangju Archdiocese. 129 doctrine teachers participated in the survey and 120 out of 129 responses were used in this study.
      SPSS (Statistical Package for the Social Science) for Window 12.0 was used for processing collected data to statistical leverage. The analysis data indicated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Research subject 1 is investigation about the faith status of the catechist. First, as a result of survey, Mass participation rate of the catechist is significantly higher than participation rate of laity. It seems to dutiful behavior as a teacher who should set an example for students. Secondly, catechists' life of faith showed a sign of the polarization. The 'Lord's Prayer', the 'Hail Mary' and the 'Glory be' and the 'grace at meal' were accomplished frequently, comparing with Way of the cross. people seems to considered Way of the cross as a pray for special period, like Lent.
      On the other hand, research subject 2 is investigation about the present education situation of catechists. Firstly, catechists know the basic doctrine generally. Though teachers are reeducated well, they need an additional retraining. Especially, they want to be reeducated on a parish basis. Through the result of survey about condition of preparing doctrine, Secondly, there are lots of difficulties. They pointed out that lack of common knowledge of doctrine and training support materials is one of the problems. And they selected fellow teacher and pastoral ministry of their own parish as a supporter. Attention of pastoral ministry is needed. Third, according to the survey result which is itemized a parish, diocese and district, most of reeducation is conducted by diocese. Respondents wanted that the education of faith is conducted at the parish and the education of lesson plan and of teaching method is conducted at diocese. Recognition about education conducted by district is low and also inexperienced. But the expectation is positive.
      Ultimately, the results of this study provide the following implications. First, the new course of basic doctrine and faith education which is aimed catechist is needed. The process from reality realizing to knowing the theory of Catholic doctrine which is ultimately revealed in life is essential for catechist training through long-term plan. This education course can empower the catechists' specialty for faith and doctrine. Second, parish, district and diocese have to set a network.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is survey, education for catechist is converged on diocese. If parish, district and diocese conduct the education by their own characteristics, diocese centered education and be distributed and professional education can be provided. Also doctrine teachers' satisfaction and participation will be increased. The diocese officer and pastoral ministry of parish should not overlook the importance of faith life and education of catechist.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광주대교구 광주 시내 지구 본당의 주일학교 교리교사의 신앙실태와 교육현황을 밝히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다음과 같이 크게 두 가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교리교사들의 신앙실태는 어떠한가? 둘째, 교리교사들의 교육현황은 어떠한가?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이와 같은 연구문제의 규명을 위하여 광주시내 지구 본당의 교리교사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모두 129명의 교리교사들이 설문에 참여하였다. 그리고 수집된 설문지 가운데 최종적으로 120명의 응답 내용을 본 연구에 이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수집된 자료는 SPSS(Statistical Package for the Social Science) for Window 12.0을 활용하여 통계 처리하였다. 자료 분석을 통해 나타난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본 연구의 연구문제 1은 교리교사들의 신앙실태를 조사하는 것이다. 첫째, 교리교사들의 미사참여 실태를 조사한 결과 일반 평신도에 비해서 미사참여 비율이 상당히 높았다. 이는 학생들에게 신앙의 모범을 보여야 하는 교리교사로서 의무를 다하는 것으로 보인다. 둘째, 교리교사들의 신앙생활은 양극화 현상을 보였다. 보편적으로 이루어지는 주모경, 식사기도 등은 높은 비율을 보였으며, 십자가의 길은 상당히 낮은 비율을 보였다. 이는 특별 시기인 사순시기에 이루어지는 기도라는 인식이 있는 것으로 간주된다.
      한편 본 연구의 연구문제 2는 교리교사들의 교육현황을 밝히는데 있다. 첫째, 교리교사들의 기초교리의 실태를 조사한 결과 대체로 알고 있다고 조사되었다. 하지만 기초교리에 대한 재교육은 대체로 잘 이루어지는 것으로 보이나, 교사들은 그 재교육의 필요성을 느끼고 있었다. 특히, 본당차원에서 그 교육이 이루어지기를 원했다. 둘째, 교리교사들의 교리준비의 실태를 조사한 결과 교리준비 시 어려운 점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교리 상식과 교육 보조 자료의 부족을 언급하였다. 그리고 그들에게 도움을 주는 대상으로 동료 교사와 본당 사목자를 선택하였다. 사목자들의 관심이 요구된다. 셋째, 교리교사들의 본당, 교구, 지구별 교육의 실태를 조사한 결과 대부분의 교사교육은 교구에서 이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신앙교육은 본당에서, 교안교육과 교리 교수방법은 교구에서 이루어지기를 원했다. 지구별 교육에 대해서는 교사들의 인지도와 경험도가 낮았다. 하지만 교육에 대한 기대는 긍정적이었다.
      궁극적으로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제공한다. 첫째, 교리교사를 대상으로 하는 기초교리교육과 신앙교육의 새로운 과정이 필요하다. 장기적인 계획을 통한 교리교사 양성이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현실의 진단에서부터 가톨릭 교리에 대한 이론 그리고 그 이론이 삶으로 드러나는 과정이 필요하다. 이러한 교육과정을 통해서만이 교리교사들의 신앙과 교리에 대한 전문성을 키워줄 수 있다. 둘째, 본당과 지구 그리고 교구의 네트워크 형성이 필요하다. 본 연구의 조사 결과에 따르면, 교리교사 교육은 교구에 집중되어 있었다. 하지만 본당과 지구 그리고 교구가 각자의 특성에 맞게 교육을 실시한다면, 교구에 집중되었던 교육이 분산되어 전문적인 교육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당과 지구 그리고 교구가 각자의 특성에 맞게 교육이 실시된다면, 교리교사들의 교육의 참여도와 만족도가 높아질 것이다. 교구의 담당자들과 본당 사목자는 교리교사들의 신앙생활과 교육의 중요성을 간과해서는 안 될 것으로 판단된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광주대교구 광주 시내 지구 본당의 주일학교 교리교사의 신앙실태와 교육현황을 밝히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다음과 같이 크게 두 가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교...

      본 연구는 광주대교구 광주 시내 지구 본당의 주일학교 교리교사의 신앙실태와 교육현황을 밝히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다음과 같이 크게 두 가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교리교사들의 신앙실태는 어떠한가? 둘째, 교리교사들의 교육현황은 어떠한가?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이와 같은 연구문제의 규명을 위하여 광주시내 지구 본당의 교리교사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모두 129명의 교리교사들이 설문에 참여하였다. 그리고 수집된 설문지 가운데 최종적으로 120명의 응답 내용을 본 연구에 이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수집된 자료는 SPSS(Statistical Package for the Social Science) for Window 12.0을 활용하여 통계 처리하였다. 자료 분석을 통해 나타난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본 연구의 연구문제 1은 교리교사들의 신앙실태를 조사하는 것이다. 첫째, 교리교사들의 미사참여 실태를 조사한 결과 일반 평신도에 비해서 미사참여 비율이 상당히 높았다. 이는 학생들에게 신앙의 모범을 보여야 하는 교리교사로서 의무를 다하는 것으로 보인다. 둘째, 교리교사들의 신앙생활은 양극화 현상을 보였다. 보편적으로 이루어지는 주모경, 식사기도 등은 높은 비율을 보였으며, 십자가의 길은 상당히 낮은 비율을 보였다. 이는 특별 시기인 사순시기에 이루어지는 기도라는 인식이 있는 것으로 간주된다.
      한편 본 연구의 연구문제 2는 교리교사들의 교육현황을 밝히는데 있다. 첫째, 교리교사들의 기초교리의 실태를 조사한 결과 대체로 알고 있다고 조사되었다. 하지만 기초교리에 대한 재교육은 대체로 잘 이루어지는 것으로 보이나, 교사들은 그 재교육의 필요성을 느끼고 있었다. 특히, 본당차원에서 그 교육이 이루어지기를 원했다. 둘째, 교리교사들의 교리준비의 실태를 조사한 결과 교리준비 시 어려운 점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교리 상식과 교육 보조 자료의 부족을 언급하였다. 그리고 그들에게 도움을 주는 대상으로 동료 교사와 본당 사목자를 선택하였다. 사목자들의 관심이 요구된다. 셋째, 교리교사들의 본당, 교구, 지구별 교육의 실태를 조사한 결과 대부분의 교사교육은 교구에서 이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신앙교육은 본당에서, 교안교육과 교리 교수방법은 교구에서 이루어지기를 원했다. 지구별 교육에 대해서는 교사들의 인지도와 경험도가 낮았다. 하지만 교육에 대한 기대는 긍정적이었다.
      궁극적으로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제공한다. 첫째, 교리교사를 대상으로 하는 기초교리교육과 신앙교육의 새로운 과정이 필요하다. 장기적인 계획을 통한 교리교사 양성이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현실의 진단에서부터 가톨릭 교리에 대한 이론 그리고 그 이론이 삶으로 드러나는 과정이 필요하다. 이러한 교육과정을 통해서만이 교리교사들의 신앙과 교리에 대한 전문성을 키워줄 수 있다. 둘째, 본당과 지구 그리고 교구의 네트워크 형성이 필요하다. 본 연구의 조사 결과에 따르면, 교리교사 교육은 교구에 집중되어 있었다. 하지만 본당과 지구 그리고 교구가 각자의 특성에 맞게 교육을 실시한다면, 교구에 집중되었던 교육이 분산되어 전문적인 교육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당과 지구 그리고 교구가 각자의 특성에 맞게 교육이 실시된다면, 교리교사들의 교육의 참여도와 만족도가 높아질 것이다. 교구의 담당자들과 본당 사목자는 교리교사들의 신앙생활과 교육의 중요성을 간과해서는 안 될 것으로 판단된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표 목 차 ⅳ
      • 국문초록 ⅵ
      • I. 서 론 1
      • 1. 연구의 필요성 1
      • 표 목 차 ⅳ
      • 국문초록 ⅵ
      • I. 서 론 1
      • 1. 연구의 필요성 1
      • 2. 연구 목적 3
      • 3. 연구의 문제 3
      • 4. 연구의 범위와 한계 4
      • 5. 용어 정의 6
      • II. 이론적 배경 8
      • 1. 주일학교에 대한 이해 8
      • 1) 주일학교의 의미 8
      • 2) 주일학교 교육의 목적 9
      • 2. 교리교사에 대한 이해 10
      • 1) 교리교사의 의미 10
      • 2) 교리교사의 중요성 11
      • 3) 교리교사의 역할 12
      • 4) 교리교사의 소명의식 13
      • 5) 교리교사의 자질 14
      • 6) 교리교사의 교리교수법 17
      • 3. 교리교사의 양성에 대한 이해 20
      • 1) 양성의 의미 20
      • 2) 양성의 목적 20
      • 3) 양성의 내용 21
      • 4) 양성을 통한 신앙교육 24
      • 5) 성서사도직에 바탕을 둔 양성 25
      • III. 연구 방법 28
      • 1. 조사대상 및 표집방법 28
      • 2. 연구 절차 28
      • 3. 연구 분석틀 29
      • 4. 연구자료 분석방법 30
      • Ⅳ. 연구 결과 및 분석 31
      • 1. 연구대상 31
      • 2. 기초조사 31
      • 1) 교사동기와 권유대상 33
      • 2) 교사활동 중 힘든 점 34
      • 3) 교사 만족도 35
      • 3. 신앙실태 조사 36
      • 1) 미사참여 36
      • 2) 신앙생활 37
      • 3) 신앙생활이 교사생활에 미치는 영향 41
      • 4) 교회활동이 교사생활에 미치는 영향 41
      • 4. 교육현황 조사 42
      • 1) 기초교리 43
      • 2) 교리준비 44
      • 3) 본당교육 47
      • 4) 교구교육 51
      • 5) 지구별 교육 54
      • 5. 조사대상자들의 특성 58
      • 1) 신앙생활 58
      • 2) 소속 지구별 60
      • 3) 교사들의 소속 64
      • 4) 교사들의 경력 65
      • 5) 교사들의 참여방법 68
      • 6) 교사들의 세례시기 70
      • Ⅴ. 연구에 대한 논의 72
      • 1. 신앙실태 72
      • 1) 미사참여 72
      • 2) 신앙생활 73
      • 2. 교육현황 76
      • 1) 기초교리 76
      • 2) 교리준비 77
      • 3) 본당교육 78
      • 4) 교구교육 78
      • 5) 지구별 교육 79
      • Ⅵ. 요약 및 결론 81
      • 1. 요약 81
      • 2. 결론 84
      • 3. 제언 86
      • 참고문헌 87
      • Abstract 92
      • 부 록 94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