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박성필, "金起林 詩에서 感受性과 詩的 이미지의 相關性" 한국어문교육연구회 36 (36): 247-268, 2008
2 원명수, "金光均의 詩에 나타난 疎外意識과 不安意識 硏究" 계명대학교 한국학연구소 12 : 1-57, 1985
3 예창해, "金光均의 詩的 指向과 그 成果" 한국비교문학회 8 : 41-68, 1983
4 김영철, "현대시론" 건국대학교출판부 1993
5 정재찬, "현대시 교육의 방향" 한국문학교육학회 (19) : 387-410, 2006
6 김용권, "현대문학비평론" 한신문화사 1994
7 김윤식, "한국현대문학사" 현대문학 2002
8 김윤식, "한국문학사" 민음사 1996
9 이성욱, "한국 근대문학과 도시문화" 문화과학사 2004
10 권정아, "피부자아" 인간희극 2008
1 박성필, "金起林 詩에서 感受性과 詩的 이미지의 相關性" 한국어문교육연구회 36 (36): 247-268, 2008
2 원명수, "金光均의 詩에 나타난 疎外意識과 不安意識 硏究" 계명대학교 한국학연구소 12 : 1-57, 1985
3 예창해, "金光均의 詩的 指向과 그 成果" 한국비교문학회 8 : 41-68, 1983
4 김영철, "현대시론" 건국대학교출판부 1993
5 정재찬, "현대시 교육의 방향" 한국문학교육학회 (19) : 387-410, 2006
6 김용권, "현대문학비평론" 한신문화사 1994
7 김윤식, "한국현대문학사" 현대문학 2002
8 김윤식, "한국문학사" 민음사 1996
9 이성욱, "한국 근대문학과 도시문화" 문화과학사 2004
10 권정아, "피부자아" 인간희극 2008
11 김동식, "철도의 근대성―경부철도노래와 세계일주가를 중심으로" 돈암어문학회 15 : 39-67, 2002
12 권석만, "자기애성 성격장애" 학지사 2000
13 Barthes, R., "이미지와 글쓰기" 세계사 1993
14 이승원, "소리가 만들어낸 근대의 풍경" 살림 2005
15 오세영, "상상력과 논리" 민음사 1991
16 류순태, "모더니즘 시에서의 이미지와 서정의 상관성 연구―김광균 시를 중심으로" 중한인문과학연구회 11 : 149-174, 2003
17 조영복, "김기림의 예언자적 인식과 침묵의 수사" 한국시학회 (15) : 5-35, 2006
18 이미순, "김기림의 『태양의 풍속』에 나타난 ‘우울’의 양상" 한국시학회 (22) : 101-125, 2008
19 김기림, "김기림 전집 2" 심설당 1998
20 김학동, "김광균 전집" 국학자료원 2002
21 김학동, "김광균 연구" 국학자료원 2002
22 한영옥, "김광균 시 연구 - "形態의 思想性"과 관련하여" 한국현대문예비평학회 (11) : 49-70, 2002
23 오원교, "구조주의와 기호학" 신아사 1982
24 조성호, "경계선 성격장애" 학지사 2000
25 김기림, "詩壇의 動態, 人文評論 十二月號" 人文社 36-44, 1939
26 김광균, "瓦斯燈" 정음사 1946
27 김용직, "現代詩原論" 학연사 1988
28 김병철, "文學의 理論" 을유문화사 1996
29 김광균, "寄港地" 정음사 1947
30 구상, "三十年代의 모더니즘" 범양사출판부 1987
31 Wellek, R., "Theory of literature, 3rd ed." Penguin 1963
32 C. D. Lewis, "The Poetic Image" Jonathan Cape 1947
33 Hawkes, T., "Structuralism and Semiotics"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977
34 Anzieu, D., "Le Moi-Peau" Dunod 1995
35 류순태, "1950년대 한국 모더니즘시의 표상 연구" 서울대 1999
36 김동우, "1930년대 모더니즘과 도시시학" 국어국문학회 2008 (2008): 527-548, 2008
37 나희덕, "1930년대 모더니즘 시의 시각성" 연세대 20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