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가족이 참여한 긍정적 행동지원이 가정에서의 저녁 일과시간에 발생하는 자폐유아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s of Positive Behavior Support on the Problem Behavior of Preschoolers with Autism During Evening Routines at Hom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43027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positive behavior support at home on the problem behavior of preschoolers with autism during their evening routines. Three young children with autism and their families participated in this study. Based on the functional assessment, positive behavior support plan was established for each child. A multiple probe baseline design across participants was used and the children's problem behavior was measured using a partial interval recording method.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positive behavior support at home reduced problem behavior for all participants and the effects of the positive behavior support was maintained after termination of the intervention.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positive behavior support at home on the problem behavior of preschoolers with autism during their evening routines. Three young children with autism and their families participated in this 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positive behavior support at home on the problem behavior of preschoolers with autism during their evening routines. Three young children with autism and their families participated in this study. Based on the functional assessment, positive behavior support plan was established for each child. A multiple probe baseline design across participants was used and the children's problem behavior was measured using a partial interval recording method.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positive behavior support at home reduced problem behavior for all participants and the effects of the positive behavior support was maintained after termination of the intervention.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가족이 참여한 긍정적 행동지원이 자폐유아가 가정에서의 저녁 일과시간에 보이는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실시되었다. 가정에서 심각한 문제행동을 보이는 세 명의 자폐유아를 대상으로 기능평가를 실시하고, 그 결과를 토대로 각 유아의 가족과 함께 긍정적 행동지원 계획을 수립하고 실행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대상자간 중다간헐기초선설계를 사용하여 기초선, 중재, 유지의 단계로 실험을 진행하였으며, 자료는 각 유아의 가정에서 저녁 일과시간에 부분간격기록법으로 수집하였다. 유지 자료는 중재 종료 4주 후부터 3회기에 걸쳐 수집하였다. 연구 결과, 3명의 자폐유아 모두의 저녁 일과시간 문제행동이 감소되었으며, 중재의 효과가 중재 종료 4주 후에도 유지되었다. 본 연구는 가족이 주요 구성원으로 참여하는 행동지원 노력이 자폐유아의 문제행동을 감소시키는데 효과적임을 보여주었다는데 그 의의가 있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가족이 참여한 긍정적 행동지원이 자폐유아가 가정에서의 저녁 일과시간에 보이는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실시되었다. 가정에서 심각한 문제행동을 보이는 세 명...

      본 연구는 가족이 참여한 긍정적 행동지원이 자폐유아가 가정에서의 저녁 일과시간에 보이는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실시되었다. 가정에서 심각한 문제행동을 보이는 세 명의 자폐유아를 대상으로 기능평가를 실시하고, 그 결과를 토대로 각 유아의 가족과 함께 긍정적 행동지원 계획을 수립하고 실행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대상자간 중다간헐기초선설계를 사용하여 기초선, 중재, 유지의 단계로 실험을 진행하였으며, 자료는 각 유아의 가정에서 저녁 일과시간에 부분간격기록법으로 수집하였다. 유지 자료는 중재 종료 4주 후부터 3회기에 걸쳐 수집하였다. 연구 결과, 3명의 자폐유아 모두의 저녁 일과시간 문제행동이 감소되었으며, 중재의 효과가 중재 종료 4주 후에도 유지되었다. 본 연구는 가족이 주요 구성원으로 참여하는 행동지원 노력이 자폐유아의 문제행동을 감소시키는데 효과적임을 보여주었다는데 그 의의가 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인숙, "학급에서의 긍정적 행동지원이 정신지체학생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효과" 12 (12): 305-338, 2006

      2 이인숙, "학교차원에서의 긍정적 행동지원(PBS)이 발달장애 학생의 행동 및 교사의 상호작용행동에 미치는 효과" 13 (13): 275-296, 2006

      3 이소현, "특수아동교육" 학지사 2005

      4 이소현, "자폐아 언어교육 in 기능성 중심의 방향정립을 위한 제언" 23 : 69-93, 1995

      5 윤치연, "기능분석을 통한 의사소통훈련이 행동장애아동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효과" 34 (34): 179-203, 1998

      6 이화영, "가족이 참여하는 긍정적 행동지원이 정신지체 초등학생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19 (19): 103-123, 2003

      7 Moes,D.R., "Using family context to inform intervention planning for the treatment of a child with Autism" 2 (2): 40-46, 2000

      8 Dettmer,S., "The use of visual supports to facilitate transitions of students with autism" 15 (15): 163-169, 2000

      9 Carr,E.G., "The expanding vision of positive behavior support in Research perspectives on Happiness, Helpfulness, Hopefulness" 9 (9): 3-14, 2007

      10 Macks,R.J., "The adjustment of non-disabled siblings of children with Autism" 37 (37): 1060-1067, 2006

      1 이인숙, "학급에서의 긍정적 행동지원이 정신지체학생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효과" 12 (12): 305-338, 2006

      2 이인숙, "학교차원에서의 긍정적 행동지원(PBS)이 발달장애 학생의 행동 및 교사의 상호작용행동에 미치는 효과" 13 (13): 275-296, 2006

      3 이소현, "특수아동교육" 학지사 2005

      4 이소현, "자폐아 언어교육 in 기능성 중심의 방향정립을 위한 제언" 23 : 69-93, 1995

      5 윤치연, "기능분석을 통한 의사소통훈련이 행동장애아동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효과" 34 (34): 179-203, 1998

      6 이화영, "가족이 참여하는 긍정적 행동지원이 정신지체 초등학생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19 (19): 103-123, 2003

      7 Moes,D.R., "Using family context to inform intervention planning for the treatment of a child with Autism" 2 (2): 40-46, 2000

      8 Dettmer,S., "The use of visual supports to facilitate transitions of students with autism" 15 (15): 163-169, 2000

      9 Carr,E.G., "The expanding vision of positive behavior support in Research perspectives on Happiness, Helpfulness, Hopefulness" 9 (9): 3-14, 2007

      10 Macks,R.J., "The adjustment of non-disabled siblings of children with Autism" 37 (37): 1060-1067, 2006

      11 Frea,W.D., "Teaching parents of children with Autism to perform functional assessments to plan interventions for extremely disruptive behaviors" (2) : 112-116, 1999

      12 Koegel,L.K., "Reducing aggression in children with Autism toward infant or toddler siblings" (23) : 111-118, 1998

      13 Lucyshyn,J,M., "Positive behavior support with families" Paul H. Brookes 3-33, 2002

      14 Bambara,L.M., "Overview of the behavior support process" The Guilford Press 47-60, 2005

      15 Lucyshn,J.M., "Functional assessment and positive behavior support at home with families" Paul H.Brookes 97-132, 2007

      16 Clarke.S., "Family-centered, assessment-based intervention to improve behavior during an early morning routine" 1 (1): 235-241, 1999

      17 Vaughn,B.J., "Family-centered intervention to resolve problem behaviors in a fast-food restaurant" 4 (4): 38-45, 2002

      18 Turnbull,A.P., "Family perspectives on problem behavior" 34 (34): 280-293, 1996

      19 Turnbull,A.P., "Family perspectives on inclusive lifestyles for people with problem behavior" (63) : 211-227, 1997

      20 Lucyshyn,J.M., "Family implementation of positive behavior support for a child with autism in Longitudinal, single-case, experimental, and descriptive replication and extension" 9 (9): 131-150, 2007

      21 Koegel,L.K., "Extending behavior support in home and community settings" The Guilford Press 334-358, 2002

      22 Dunlap,G., "Evolution of positive behavior support" The Guilford Press. 25-46, 2005

      23 Bambara,L.M., "Evolution of positive behavior support" The Guilford Press 1-24, 2005

      24 Lucyshyn,J.M., "Embedding comprehensive behavioral support in family ecology in An experimental, single-case analysis" (65) : 241-251, 1997

      25 Moes,D.R., "Contextualized behavior support in early intervention for children with Autism and their families" (23) : 521-534, 2002

      26 Vaughn,B.J., "Assessment-based intervention for severe behavior problems in a natural family context" (30) : 713-716, 1997

      27 Evans,I.H., "An educative approach to problem behaviors in A practical decision model for interventions with severly handicapped learners" Paul H.Brookes. 1985

      28 Fouse,B., "A treasure chest of behavioral strategies for individuals with Autism" Future Horizon,Inc 1997

      29 Dunlap,G., "A demonstration of behavioral support for young children with autism" 1 (1): 77-87, 1999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기타)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94 0.94 1.0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11 1.08 1.407 0.2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