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사회적 기술 습득을 위한 활동-중심 삽입교수가 장애 유아의 사회적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s of Activity-Based Embedded Intervention for social skill achievement on the Social Interaction of the Children with disabilitie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43027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activity-based embedded intervention for social skill achievement on the social interaction targets in inclusive setting. Activity-based embedded intervention was embedded in classroom activities and routines to teach social skill targets to children with disabilities. A multiple-probe across subjects design assessed the effects of the intervention. This study conducted baseline, teacher training, intervention and maintenance. During baseline period, the social interaction activities of 10-minutes in the free play session were observed. And in processing intervention, activity-based embedded intervention was implemented five times a week in the context of ongoing activities and routines inclusive classroom. The results showed that the activity-based embedded intervention for social skill achievement increased the frequency of social interaction target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activity-based embedded intervention for social skill achievement was effective in increasing social interaction development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in inclusive classroom. These findings suggest the ingredients in successful application of the activity-based embedded intervention in inclusive classroom may be related to how teachers are adaptively at recognizing and organizing instructional trials for the children with special needs.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activity-based embedded intervention for social skill achievement on the social interaction targets in inclusive setting. Activity-based embedded intervention was embedded in classroom activi...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activity-based embedded intervention for social skill achievement on the social interaction targets in inclusive setting. Activity-based embedded intervention was embedded in classroom activities and routines to teach social skill targets to children with disabilities. A multiple-probe across subjects design assessed the effects of the intervention. This study conducted baseline, teacher training, intervention and maintenance. During baseline period, the social interaction activities of 10-minutes in the free play session were observed. And in processing intervention, activity-based embedded intervention was implemented five times a week in the context of ongoing activities and routines inclusive classroom. The results showed that the activity-based embedded intervention for social skill achievement increased the frequency of social interaction target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activity-based embedded intervention for social skill achievement was effective in increasing social interaction development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in inclusive classroom. These findings suggest the ingredients in successful application of the activity-based embedded intervention in inclusive classroom may be related to how teachers are adaptively at recognizing and organizing instructional trials for the children with special need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통합된 환경에서 장애 유아에게 활동-중심 삽입 교수를 이용하여 사회적 기술을 교수하였을 때 사회적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한 목적으로 실시되었다. 이를 위하여 일반 어린이집에 다니는 세 명의 장애 유아가 참여하였으며, 각 장애 유아에게 활동-기술도표와 삽입교수계획안을 사용하여 하루 전제 일과 중에 활동-중심 삽입교수를 실시하여 교사에 의해 선정된 사회적 기술들을 교수하였다. 실험은 대상자간 중다 간헐기초선 설계를 사용하여 기초선, 교사훈련, 중재, 유지의 순으로 회기를 진행하였다. 그 결과 세 명의 장애 유아의 사회적 상호작용 발생률이 증가되었고, 이후 유지 조건에서 3명의 유아 모두 중재 시기의 평균 발생률보다 높은 수준으로 상호작용을 보여 중재의 효과가 유지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장애 유아의 사회적 상호작용 증진을 위한 교수를 실제 통합된 환경과 활동 내에서 실시하였다는 데에 의의가 있다. 또한 활동-기술 도표와 삽입교수계획안을 이용하여 전체 활동 내에서 교수 기회를 충분히 확보하고 각 교수 기회마다 환경구성 전략, 선행자극과 후속결과의 구체적인 교수 방법을 제시함으로써 장애 유아를 위한 교육현장에서 효과적인 교수가 실시될 수 있도록 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었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통합된 환경에서 장애 유아에게 활동-중심 삽입 교수를 이용하여 사회적 기술을 교수하였을 때 사회적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한 목적으로 실시되었다. 이를 위하...

      본 연구는 통합된 환경에서 장애 유아에게 활동-중심 삽입 교수를 이용하여 사회적 기술을 교수하였을 때 사회적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한 목적으로 실시되었다. 이를 위하여 일반 어린이집에 다니는 세 명의 장애 유아가 참여하였으며, 각 장애 유아에게 활동-기술도표와 삽입교수계획안을 사용하여 하루 전제 일과 중에 활동-중심 삽입교수를 실시하여 교사에 의해 선정된 사회적 기술들을 교수하였다. 실험은 대상자간 중다 간헐기초선 설계를 사용하여 기초선, 교사훈련, 중재, 유지의 순으로 회기를 진행하였다. 그 결과 세 명의 장애 유아의 사회적 상호작용 발생률이 증가되었고, 이후 유지 조건에서 3명의 유아 모두 중재 시기의 평균 발생률보다 높은 수준으로 상호작용을 보여 중재의 효과가 유지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장애 유아의 사회적 상호작용 증진을 위한 교수를 실제 통합된 환경과 활동 내에서 실시하였다는 데에 의의가 있다. 또한 활동-기술 도표와 삽입교수계획안을 이용하여 전체 활동 내에서 교수 기회를 충분히 확보하고 각 교수 기회마다 환경구성 전략, 선행자극과 후속결과의 구체적인 교수 방법을 제시함으로써 장애 유아를 위한 교육현장에서 효과적인 교수가 실시될 수 있도록 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수진, "활동-중심 자연적 중재 적용 훈련이 자유선택활동 일과에서의 교사의 교수 행동과 장애 유아의 참여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2005

      2 이수정, "활동-기술 도표를 이용한 사회적 시작행동 중재가 장애 유아의 또래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21 (21): 213-237, 2005

      3 이지현, "환경중심 언어중재가 전반적 발달장애 유아의 사물 요구하기와 어휘 습득에 미치는 효과" 5 (5): 46-78, 2005

      4 권원영, "특별한 친구 프로그램을 통한 장애 아동에 대한 일반 아동의 태도변화 연구" 이화여대 대학원 1998

      5 조윤경, "통합학급에서의 또래-관련 사회성 기술 교수 전략들에 대한 교사의 수용도, 실행가능성, 현재사용에 관한 조사연구: 유아교사와 유아특수교사를 중심으로" 20 (20): 277-302, 2000

      6 노진아, "장애영유아를 위한 삽입된 학습기회의 개념 및 수행전략의 고찰" 4 (4): 5-27, 2004

      7 이소현, "장애 영유아를 위한 교육" 이화여자대학교 출판부. 2003

      8 이지연, "자연적 중재를 이용한 활동-중심 삽입교수가 통합된 장애 유아의 기능적 의사소통 발화에 미치는 영향" 8 (8): 189-209, 2008

      9 조광순, "자연적 상황에서 동시촉진법을 이용한 발달장애 유아의 착탈의 기술 중재 효과" 2 (2): 25-42, 2002

      10 이소현, "유아특수교육" 학지사 2003

      1 김수진, "활동-중심 자연적 중재 적용 훈련이 자유선택활동 일과에서의 교사의 교수 행동과 장애 유아의 참여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2005

      2 이수정, "활동-기술 도표를 이용한 사회적 시작행동 중재가 장애 유아의 또래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21 (21): 213-237, 2005

      3 이지현, "환경중심 언어중재가 전반적 발달장애 유아의 사물 요구하기와 어휘 습득에 미치는 효과" 5 (5): 46-78, 2005

      4 권원영, "특별한 친구 프로그램을 통한 장애 아동에 대한 일반 아동의 태도변화 연구" 이화여대 대학원 1998

      5 조윤경, "통합학급에서의 또래-관련 사회성 기술 교수 전략들에 대한 교사의 수용도, 실행가능성, 현재사용에 관한 조사연구: 유아교사와 유아특수교사를 중심으로" 20 (20): 277-302, 2000

      6 노진아, "장애영유아를 위한 삽입된 학습기회의 개념 및 수행전략의 고찰" 4 (4): 5-27, 2004

      7 이소현, "장애 영유아를 위한 교육" 이화여자대학교 출판부. 2003

      8 이지연, "자연적 중재를 이용한 활동-중심 삽입교수가 통합된 장애 유아의 기능적 의사소통 발화에 미치는 영향" 8 (8): 189-209, 2008

      9 조광순, "자연적 상황에서 동시촉진법을 이용한 발달장애 유아의 착탈의 기술 중재 효과" 2 (2): 25-42, 2002

      10 이소현, "유아특수교육" 학지사 2003

      11 강혜련, "애정표현 훈련(affection training)이 유치원에 통합된 자폐아동의 사회적 상호작용 발달"

      12 최윤희, "발달지체 유아의 의사소통 행동에 대한 어머니의 반응적 행동지원 전략이 상호작용의 참여시간과 참여수준에 미치는 영향" 7 (7): 179-207, 2007

      13 윤선아, "또래아동-주도의 사회적 시작행동 중재와 자폐아동-주도의 사회적 시작행동 중재가 자폐아동의 사회적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일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1994

      14 하재연, "또래아동 주도의 사회적 시작행동 중재가 통합된 발달지체아동의 사회적 상호작용에 미치는 효과" 이화여자대학교 1999

      15 이소현, "단일대상연구" 학지사. 2003

      16 원종례, "교사 간 협력 모델이 적용된 활동-중심 삽입 교수 중재가 장애 유아의 활동 참여와 발달에 미치는 영향" 41 (41): 121-143, 2006

      17 Pretti-Frontczak, K. L., "Use of the embedding strategy by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teachers" 11 : 111-128, 2001

      18 Kaiser, A. P., "Training teachers to use environmental arrangement and milieu teaching with nonvocal preschool children" 8 (8): 188-199, 1993

      19 Schwartz, I. S., "Training teacher to use naturalistic time delay: Effects on teacher behavior and on the language use of student" 14 : 48-57, 1989

      20 Schepis, M. M., "Training support staff to embed teaching within natural routines of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in an inclusive preschool" 34 : 313-272, 2001

      21 Wolery, M., "Training elementary teachers to embed instruction during classroom activities" 20 : 40-58, 1997

      22 Hwang, B., "The effects of social interactive training on early social communicative skills of children with autism" 30 (30): 331-343, 2000

      23 Kohler, F. W., "Teaching social integration skills in the integrated preschool: An examination of naturalistic tactics" 21 (21): 92-103, 2001

      24 Zanolli, K., "Teaching preschool age autistic children to make spontaneous initiations to peers using priming" 26 : 407-422, 1996

      25 Horn, E., "Supporting young children's IEP goals in inclusive settings through embedded learning opportunity" 20 : 208-223, 2000

      26 Brown, W. H., "Strategies and tactics for promoting generalization and maintenance of young of young children's social behavior" 15 : 99-118, 1994

      27 Libby, S., "Spontaneous play in children with autism: A Reappraisal" 28 (28): 487-497, 1998

      28 Vaughn, S., "Social skills interventions for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A Synthesis of group design studies" 24 (24): 2-15, 2003

      29 Odom, S. L., "Social relationship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and their peers in inclusive preschool classroom. In Widening the circle: Including preschool children with disabilities in preschool program" Teachers College Press. 61-81, 2002

      30 Chiara, L., "Small-group massed-trial and individually-distributed-trial instruction with preschoolers" 19 (19): 203-217, 1995

      31 McGinnis, E., "Skill streaming in early Teaching prosocial skills to the preschool and kindergarten child" Research Press. 1990

      32 Odom, S. L., "Relative Effects of Interventions Supporting the Social Competence of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19 (19): 75-92, 1999

      33 Strain, P. S., "Promoting social reciprocity of exceptional children: Identification, target behavior selection and intervention" 5 (5): 21-28, 1984

      34 Odom, S. L., "Procedural Variations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classes" Manuscript submitted for publication 1999

      35 Odom, S. L., "Peer-mediated approaches to promoting children's social interaction: A review" 54 : 544-557, 1984

      36 McEvoy, M. A., "Peer social competence intervention for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In Social competence of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Issue and strategies for intervention" Brooks 113-134, 1992

      37 Barnett, D, W., "Naturalistic intervention design for young children: Foundations rationales, and strategies" 13 : 430-444, 1993

      38 Alpert, C. L., "Milieu language intervention with mothers as teacher" University of kansas 1984

      39 Kohler, F. W., "Merging naturalistic teaching and peer-based strategies to address the IEP objectives of preschooler with autism: An examination of structural and behavior outcomes" 12 : 196-206, 1997

      40 Guralnick, M. J., "Immediates effects of mainstreamed settings on the social interactions and social interaction of preschool children" 100 : 359-377, 1996

      41 Giangreco, M., "Helping the hovering? Effect of instructional proximity on students with disabilities" 64 : 7-18, 1997

      42 Chandler, L. K., "Generalization and maintenance of preschool children's social skills: A critical review and analysis" 25 : 415-428, 1992

      43 Laushey, K. M., "Enhancing social skills of kindergarten children with autism through the training of multiple peers as tutor" 30 (30): 183-193, 2000

      44 Venn, M. I., "Embedding instruction in art activities to teach preschoolers with disabilities to imitate their peers" 8 : 277-294, 1993

      45 Strain, P. S., "Effects of peer social initiations on the behavior of withdrawn young children" 10 : 289-298, 1977

      46 Brown, W. H., "Ecobehavioral assessment in early childhood programs: A portrait of preschool inclusion" 33 (33): 138-153, 1999

      47 Carta, J. J., "Developmentally appropriate practice: Appraising its usefulness for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11 (11): 99-124, 1993

      48 McConnell, S. R., "Coding manual for observational assessment of reciprocal social interaction. Unpublished manual" Vanderbilt-Minnesota Social interaction Project 1989

      49 Kamp, D. M., "Classwide peer tutoring: An integration strategy to improve reading skills and promote peer interactions among students with autism and general education peer" 27 : 49-61, 1994

      50 Hemmeter, M. L., "Classroom-based intervention: Evaluating the past and looking toward the future" 20 (20): 56-61, 2000

      51 Sandall, S., "Building blocks for teaching preschooler with special needs" Paul H. Brookes Publishing Co. 2002

      52 Brown, W. H., "An intervention hierarchy for promoting young children's peer interactions in natural environments" 21 (21): 162-175, 2001

      53 Bricker, D. D., "An activity-based approach to early intervention" Brooks 2004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기타)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94 0.94 1.0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11 1.08 1.407 0.2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