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핵심인재관리제도가 직급별ㆍ산업별 여성인력 비중에 미치는 영향 = The Exploration on the Effect of Core Employee Management System on Gender Diversity - Job Positions & Industry Memberships -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8261516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기업들은 인력 다양성 확대에 따른 다양성 관리와 더불어 경쟁력 강화를 위한 핵심인력관리를 동시에 요구받고 있다. 핵심인재를 선별하여 육성하는 정책을 강화하면 기존의 남성중심 인력구성이 확대재생산되어 성 다양성 확대가 저해될 수 있다. 한편 남녀차별 없이 능력과 성과 중심으로 공정하게 채용과 육성을 실시하면 여성 인력의 비중이 높아질 수도 있을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이와 같이 성 다양성을 확대 또는 감소시킬 수 있는 핵심 인재 채용과 육성제도가 여성인력 비중에 실제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직급별, 산업별로 분석하여 핵심인재관리와 성 다양성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분석 결과 핵심인재채용제도는 하위 관리자(대리 및 과장급) 비율의 확대에 유의하게 긍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지만 핵심인재육성제도는 여성비율 확대에 유의한 영향을 나타내지 않았다. 또한 핵심인재채용제도는 남성위주의 제조업에 비해 여성친화적인 산업에서 하위관리자 비율을 증가시키고 있으나 핵심인재육성제도의 영향은 유의하게 나타나지 않았다. 동일한 연구모델을 남성인력을 대상으로 분석한 결과 핵심인재 채용과 육성제도 모두 유의한 영향력을 나타내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여성인력 증가에 핵심 인재채용제도가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하지만 우수한 여성인력을 외부에서 확보하려는 노력과 비교하여 영입된 여성인재를 자사의 여건에 적합한 인재로 양성하기 위한 내부인력 육성 노력은 부족한 실정임을 알 수 있다. 우수한 여성인력의 활용을 위해서는 채용뿐 아니라 육성을 위한 정책도 병행되어야할 것이다.
      번역하기

      기업들은 인력 다양성 확대에 따른 다양성 관리와 더불어 경쟁력 강화를 위한 핵심인력관리를 동시에 요구받고 있다. 핵심인재를 선별하여 육성하는 정책을 강화하면 기존의 남성중심 인력...

      기업들은 인력 다양성 확대에 따른 다양성 관리와 더불어 경쟁력 강화를 위한 핵심인력관리를 동시에 요구받고 있다. 핵심인재를 선별하여 육성하는 정책을 강화하면 기존의 남성중심 인력구성이 확대재생산되어 성 다양성 확대가 저해될 수 있다. 한편 남녀차별 없이 능력과 성과 중심으로 공정하게 채용과 육성을 실시하면 여성 인력의 비중이 높아질 수도 있을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이와 같이 성 다양성을 확대 또는 감소시킬 수 있는 핵심 인재 채용과 육성제도가 여성인력 비중에 실제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직급별, 산업별로 분석하여 핵심인재관리와 성 다양성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분석 결과 핵심인재채용제도는 하위 관리자(대리 및 과장급) 비율의 확대에 유의하게 긍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지만 핵심인재육성제도는 여성비율 확대에 유의한 영향을 나타내지 않았다. 또한 핵심인재채용제도는 남성위주의 제조업에 비해 여성친화적인 산업에서 하위관리자 비율을 증가시키고 있으나 핵심인재육성제도의 영향은 유의하게 나타나지 않았다. 동일한 연구모델을 남성인력을 대상으로 분석한 결과 핵심인재 채용과 육성제도 모두 유의한 영향력을 나타내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여성인력 증가에 핵심 인재채용제도가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하지만 우수한 여성인력을 외부에서 확보하려는 노력과 비교하여 영입된 여성인재를 자사의 여건에 적합한 인재로 양성하기 위한 내부인력 육성 노력은 부족한 실정임을 알 수 있다. 우수한 여성인력의 활용을 위해서는 채용뿐 아니라 육성을 위한 정책도 병행되어야할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Many Korean companies intend to leverage the value of core human capital. Also, rapid economic development and globalization foster gender diversity of workforce. Several researchers are concerned that core employment policy may reduce the gender diversity that provides adverse impact on the firm competitiveness. The current study intends to examine the interactive effects between core talented employee management system, industry membership and job positions. This study uses the human capital panel dataset to identify how core employment policy affects gender diversity. The results of the present study indicate that core talent selection policy enhances the ratio of junior women managers, while there is no effect on senior female managers. However, there are no significant effects from core talent development policy on the ratio of female managers. Moreover, industry membership interacts with core employee selection policy that provides significant impacts on the ratio of junior female managers. In addition, core talent employment policy fails to impact on the ratios of male managers. The current study suggests that the companies make efforts to align core employee selection programs with core employee development programs to create and sustain its competitiveness.
      번역하기

      Many Korean companies intend to leverage the value of core human capital. Also, rapid economic development and globalization foster gender diversity of workforce. Several researchers are concerned that core employment policy may reduce the gender dive...

      Many Korean companies intend to leverage the value of core human capital. Also, rapid economic development and globalization foster gender diversity of workforce. Several researchers are concerned that core employment policy may reduce the gender diversity that provides adverse impact on the firm competitiveness. The current study intends to examine the interactive effects between core talented employee management system, industry membership and job positions. This study uses the human capital panel dataset to identify how core employment policy affects gender diversity. The results of the present study indicate that core talent selection policy enhances the ratio of junior women managers, while there is no effect on senior female managers. However, there are no significant effects from core talent development policy on the ratio of female managers. Moreover, industry membership interacts with core employee selection policy that provides significant impacts on the ratio of junior female managers. In addition, core talent employment policy fails to impact on the ratios of male managers. The current study suggests that the companies make efforts to align core employee selection programs with core employee development programs to create and sustain its competitivenes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초록
      • Ⅰ. 서론
      • Ⅱ. 선행 연구와 가설
      • Ⅲ. 실증연구 방법
      • Ⅳ. 실증분석
      • 초록
      • Ⅰ. 서론
      • Ⅱ. 선행 연구와 가설
      • Ⅲ. 실증연구 방법
      • Ⅳ. 실증분석
      • Ⅴ. 연구의 시사점 및 한계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철희, "훈련 직종별 성별 격차 완화방안" 한국직업능력개발원 2006

      2 김안국, "인적자본 기업 패널조사(2007)" 한국직업능력개발원 2007

      3 Michaels, E., "인재전쟁" 세종서적 2002

      4 O'Reilly. C. A., "숨겨진 힘: Hidden Value" 김영사 2002

      5 임희정, "다양성관리(Diversity Management)차원에서의 여성 인적자원개발" 한국여성정책연구원 2008

      6 장지연, "노동시장 차별과 적극적 고용개선조치" 한국노동연구원 2006

      7 나영선, "국내외 성인여성 인적자원개발 기관의 현황과 과제" 한국직업교육학회 23 (23): 155-172, 2004

      8 김영태, "국내 기업 사례에서 직무순환이 인사고과 점수와 핵심인재 선정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한국직업능력개발원 11 (11): 261-283, 2008

      9 이경묵, "경쟁환경, 기술변화, 경쟁전략과 핵심인재관리 강도간의 관계에 대한 연구" 한국경영학회 36 (36): 1259-1294, 2007

      10 Ployhart, R.E., "The diversity-validity dilemma: strategies for reducing racioethnic and sex subgroup differences and adverse impact in selection" 61 : 153-172, 2008

      1 김철희, "훈련 직종별 성별 격차 완화방안" 한국직업능력개발원 2006

      2 김안국, "인적자본 기업 패널조사(2007)" 한국직업능력개발원 2007

      3 Michaels, E., "인재전쟁" 세종서적 2002

      4 O'Reilly. C. A., "숨겨진 힘: Hidden Value" 김영사 2002

      5 임희정, "다양성관리(Diversity Management)차원에서의 여성 인적자원개발" 한국여성정책연구원 2008

      6 장지연, "노동시장 차별과 적극적 고용개선조치" 한국노동연구원 2006

      7 나영선, "국내외 성인여성 인적자원개발 기관의 현황과 과제" 한국직업교육학회 23 (23): 155-172, 2004

      8 김영태, "국내 기업 사례에서 직무순환이 인사고과 점수와 핵심인재 선정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한국직업능력개발원 11 (11): 261-283, 2008

      9 이경묵, "경쟁환경, 기술변화, 경쟁전략과 핵심인재관리 강도간의 관계에 대한 연구" 한국경영학회 36 (36): 1259-1294, 2007

      10 Ployhart, R.E., "The diversity-validity dilemma: strategies for reducing racioethnic and sex subgroup differences and adverse impact in selection" 61 : 153-172, 2008

      11 Pyburn JR. K.M., "The diversity-validity dilemma: overview and legal context" 61 : 143-151, 2008

      12 Kravitz, D.A., "The diversity-validity dilemma: Beyond selection-the role of affirmative action" 61 : 173-193, 2008

      13 Avery, D.R., "Target Practice: An organizational impression management approach to attracting minority and female job applicants" 59 : 157-187, 2006

      14 Kanter, R.M., "Some effects of proportions on group life: Skewed sex ratios and responses to token women" 82 : 965-990, 1977

      15 Martins, L.L., "Moderator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work-family conflict and career satisfaction" 45 : 399-409, 2002

      16 Duehr, E. E., "Men, women, and managers: Are stereotypes finally changing" 9 : 815-846, 2006

      17 DeLong, T. J., "Let’s hear it for B players" 1 : 96-102, 2003

      18 Dreher, G. F., "Labor market mobility and cash compensation: The moderating effects of race and gender" 43 : 890-900, 2000

      19 Kossek, E.E., "Human resource strategies to manage workforce diversity: Examining 'The business case', in Handbook of workplace diversity" Sage Publication 53-75, 2005

      20 Ragins, B.R., "Gender differences in expected outcomes of mentoring relationships" 37 : 957-971, 1994

      21 Billing, Y.D., "From managing equality to managing diversity: A critical Scandinavian perspective on gender and workplace diversity, in Handbook of workplace diversity" Sage Publication 53-75, 2005

      22 Kim, D., "Employment Relations and HRM in South Korea" Ashgate Publishing Ltd 151-171, 2004

      23 Hoobler, J.M., "Bosses' perceptions of family-work conflict and women's promotability: Glass ceiling effects" 52 : 939-957, 2009

      24 Cohen, J., "Applied multiple regression/correlation analysis for behavioral sciences" Lawrence Erlbaum Associates 2006

      25 파이낸셜 뉴스, "2011. 1. 16일자 기사 : 올 CEO 최우선 전략은 핵심인재 확보"

      26 헤럴드경제, "2010. 4. 4일자 기사 : 인재육성 없인 미래 없다"

      27 New York Times, "2010. 1. 30 Steve Jobs and the Economics of Elitism"

      28 한국경제신문, "2009. 9. 15일자 기사 : ‘LG화학의 힘’ 될성부른 CEO 떡잎부터 키운다"

      29 조선일보, "2009. 4. 11일자 기사 : ‘알파걸’ 취업률 해마다 내리막… 기업 여성차별 탓? 여성 근성부족 탓"

      30 조선일보, "2009. 3. 25일자 기사 : 국내 이공계 여성 박사 36%가 비정규직"

      31 조선일보, "2009. 12. 2일자 기사 : 똑똑한 그녀들, 직장에선 눈물 ‘뚝뚝’"

      32 조선일보, "2008. 8. 9일자 기사: 여성 과학기술인의 리더십을 활용하라"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8-02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여성개발원 -> 한국여성정책연구원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15 1.15 1.2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36 1.42 1.559 0.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