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1930년대 전반기 대중극단 레퍼토리의 형식 미학적 특질 연구 = A study on the repertoires and the aesthetics of the format on the popular plays in the half 1930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98961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makes a review of the repertoires and the aesthetics of format on the popular plays in the half 1930s. And this paper explains the relations between the repertories and Korean popular theater companies in the half 1930s. I studied the repertoires and the aesthetics of format on the six popular plays. This dissertation has been written with a purpose to examine and to understand the repertoires and the aesthetics of format on the six popular plays in the half 1930s. The plays are classified into two pieces. Camellia blossom(동백꽃), Loyalty with tears in the wild(폐허에 우는 충혼), A pair of lovebirds(원앙), and Cotton ball(목화) are the plays who gives us a valued insight on the type both composition and character.
      The studies on the repertoires and the aesthetics of format on the popular plays in the half 1930s are very few and confined to some authors. But the studies on the plays in the half 1930s should be supplemented imminently. Korean popular plays in the half 1930s seeks after the harmony of the composition, the characters and the musics, and has a final purpose to suggest the alternative. The study on Korean popular plays in the half 1930s should be gathered in obtaining critical vision including urgent problems of contemporary aesthetics, and in wise critical intervention giving rise to writing a work.
      번역하기

      This paper makes a review of the repertoires and the aesthetics of format on the popular plays in the half 1930s. And this paper explains the relations between the repertories and Korean popular theater companies in the half 1930s. I studied the reper...

      This paper makes a review of the repertoires and the aesthetics of format on the popular plays in the half 1930s. And this paper explains the relations between the repertories and Korean popular theater companies in the half 1930s. I studied the repertoires and the aesthetics of format on the six popular plays. This dissertation has been written with a purpose to examine and to understand the repertoires and the aesthetics of format on the six popular plays in the half 1930s. The plays are classified into two pieces. Camellia blossom(동백꽃), Loyalty with tears in the wild(폐허에 우는 충혼), A pair of lovebirds(원앙), and Cotton ball(목화) are the plays who gives us a valued insight on the type both composition and character.
      The studies on the repertoires and the aesthetics of format on the popular plays in the half 1930s are very few and confined to some authors. But the studies on the plays in the half 1930s should be supplemented imminently. Korean popular plays in the half 1930s seeks after the harmony of the composition, the characters and the musics, and has a final purpose to suggest the alternative. The study on Korean popular plays in the half 1930s should be gathered in obtaining critical vision including urgent problems of contemporary aesthetics, and in wise critical intervention giving rise to writing a work.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이 논문은 1930년대 전반기 대중극단의 레퍼토리와 형식 미학을 살피는 데에 목적을 둔다. 또한 이 연구는 1930년대 전반기 한국 대중극단과 레퍼토리의 연관성을 설명하는 데에도 일정 목적을 둔다. 그래서 이 연구에서는 1930년대 대중극단 작품 가운데 여섯 작품을 선정하고 형식 미학적 특질을 밝히고자 하였다.
      대상 작품은 크게 두 가지로 나눌 수 있다. <동백꽃>, <폐허에 우는 충혼>, <원앙>, <목화>는 구성과 인물의 관점에서, 당대 대중극의 형식에 대해 가치 있는 통찰력을 제공하는 작품들이다. 이 작품들은 구성과 인물의 측면에서, 당시 대중극의 형식적 특질을 여실히 보여주고 있다. 지금까지 대중극 작품에 대한 (선행) 연구는 매우 희소한 편이다. 따라서 1930년대 대중극의 형식에 대한 연구는 조속히 시행되어야 한다. 이러한 연구를 통해 1930년대 한국의 대중극이 구성과 인물과 음악의 조화를 추구하고 있었음을 이해하고, 그 대안을 제시할 수 있어야 한다. 연구가 진행되면, 그 연구 성과는 비단 1930년대에 국한되지 않고 동시대의 상황에도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번역하기

      이 논문은 1930년대 전반기 대중극단의 레퍼토리와 형식 미학을 살피는 데에 목적을 둔다. 또한 이 연구는 1930년대 전반기 한국 대중극단과 레퍼토리의 연관성을 설명하는 데에도 일정 목적...

      이 논문은 1930년대 전반기 대중극단의 레퍼토리와 형식 미학을 살피는 데에 목적을 둔다. 또한 이 연구는 1930년대 전반기 한국 대중극단과 레퍼토리의 연관성을 설명하는 데에도 일정 목적을 둔다. 그래서 이 연구에서는 1930년대 대중극단 작품 가운데 여섯 작품을 선정하고 형식 미학적 특질을 밝히고자 하였다.
      대상 작품은 크게 두 가지로 나눌 수 있다. <동백꽃>, <폐허에 우는 충혼>, <원앙>, <목화>는 구성과 인물의 관점에서, 당대 대중극의 형식에 대해 가치 있는 통찰력을 제공하는 작품들이다. 이 작품들은 구성과 인물의 측면에서, 당시 대중극의 형식적 특질을 여실히 보여주고 있다. 지금까지 대중극 작품에 대한 (선행) 연구는 매우 희소한 편이다. 따라서 1930년대 대중극의 형식에 대한 연구는 조속히 시행되어야 한다. 이러한 연구를 통해 1930년대 한국의 대중극이 구성과 인물과 음악의 조화를 추구하고 있었음을 이해하고, 그 대안을 제시할 수 있어야 한다. 연구가 진행되면, 그 연구 성과는 비단 1930년대에 국한되지 않고 동시대의 상황에도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호연, "한국 근대 공연예술 형성에 관한 일고찰 -1930년대 초 대중극을 중심으로-" 동양학연구원 36 (36): 75-92, 2004

      2 이서구, "폐허에 우는 충혼" (68) : 1931

      3 고설봉, "증언 연극사" 진양 1990

      4 김남석, "조선의 대중극단들" 푸른사상사 2010

      5 김만수, "유성기 음반에 수록된 영화 설명 대본에 대하여" 한국극예술학회 6 : 1996

      6 박영호, "원앙" 2 (2): 1935

      7 오스카 브로켓, "연극개론" 한신문화사 1989

      8 게오르크 루카치, "역사소설론" 거름 1987

      9 김남석, "빛의 유적" 연극과인간 2008

      10 매일신보, "무대스타 순방기(1)"

      1 김호연, "한국 근대 공연예술 형성에 관한 일고찰 -1930년대 초 대중극을 중심으로-" 동양학연구원 36 (36): 75-92, 2004

      2 이서구, "폐허에 우는 충혼" (68) : 1931

      3 고설봉, "증언 연극사" 진양 1990

      4 김남석, "조선의 대중극단들" 푸른사상사 2010

      5 김만수, "유성기 음반에 수록된 영화 설명 대본에 대하여" 한국극예술학회 6 : 1996

      6 박영호, "원앙" 2 (2): 1935

      7 오스카 브로켓, "연극개론" 한신문화사 1989

      8 게오르크 루카치, "역사소설론" 거름 1987

      9 김남석, "빛의 유적" 연극과인간 2008

      10 매일신보, "무대스타 순방기(1)"

      11 박영호, "목화" 2 (2): 1935

      12 이서구, "동백꽃" (67) : 1931

      13 신동아, "기본자료"

      14 매일신보, "기본자료"

      15 조선일보, "기본자료"

      16 김미도, "1930년대 한국희곡의 유형에 관한 연구" 고려대 1993

      17 김재석, "1930년대 유성기 음반에 촌극 연구" 한국극예술학회 2 : 1992

      18 최동현, "1930년대 유성기 음반에 수록된 만담․넌센스․스케치 연구" 한국극예술학회 7 : 1997

      19 양승국, "1930년대 대중극의 구조와 특징, 한국 근대극의 형식과 사유 구조" 연극과인간 2009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1998-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68 0.68 0.6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63 0.61 1.138 0.1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