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김호연, "한국 근대 공연예술 형성에 관한 일고찰 -1930년대 초 대중극을 중심으로-" 동양학연구원 36 (36): 75-92, 2004
2 이서구, "폐허에 우는 충혼" (68) : 1931
3 고설봉, "증언 연극사" 진양 1990
4 김남석, "조선의 대중극단들" 푸른사상사 2010
5 김만수, "유성기 음반에 수록된 영화 설명 대본에 대하여" 한국극예술학회 6 : 1996
6 박영호, "원앙" 2 (2): 1935
7 오스카 브로켓, "연극개론" 한신문화사 1989
8 게오르크 루카치, "역사소설론" 거름 1987
9 김남석, "빛의 유적" 연극과인간 2008
10 매일신보, "무대스타 순방기(1)"
1 김호연, "한국 근대 공연예술 형성에 관한 일고찰 -1930년대 초 대중극을 중심으로-" 동양학연구원 36 (36): 75-92, 2004
2 이서구, "폐허에 우는 충혼" (68) : 1931
3 고설봉, "증언 연극사" 진양 1990
4 김남석, "조선의 대중극단들" 푸른사상사 2010
5 김만수, "유성기 음반에 수록된 영화 설명 대본에 대하여" 한국극예술학회 6 : 1996
6 박영호, "원앙" 2 (2): 1935
7 오스카 브로켓, "연극개론" 한신문화사 1989
8 게오르크 루카치, "역사소설론" 거름 1987
9 김남석, "빛의 유적" 연극과인간 2008
10 매일신보, "무대스타 순방기(1)"
11 박영호, "목화" 2 (2): 1935
12 이서구, "동백꽃" (67) : 1931
13 신동아, "기본자료"
14 매일신보, "기본자료"
15 조선일보, "기본자료"
16 김미도, "1930년대 한국희곡의 유형에 관한 연구" 고려대 1993
17 김재석, "1930년대 유성기 음반에 촌극 연구" 한국극예술학회 2 : 1992
18 최동현, "1930년대 유성기 음반에 수록된 만담․넌센스․스케치 연구" 한국극예술학회 7 : 1997
19 양승국, "1930년대 대중극의 구조와 특징, 한국 근대극의 형식과 사유 구조" 연극과인간 20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