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남해안 별신굿의 전승 양상과 지화(紙花) 및 종이 오브제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글은 국가무형문화재인 남해안 별신굿의 전승 양상과 굿판에서 무당이 제반 의례에 사용하는 도구인 지화(紙花) 및 한지 오브제(objet)를 살펴보는 것이 목적이다. 오늘날 국가무형문화재...

      이 글은 국가무형문화재인 남해안 별신굿의 전승 양상과 굿판에서 무당이 제반 의례에 사용하는 도구인 지화(紙花) 및 한지 오브제(objet)를 살펴보는 것이 목적이다. 오늘날 국가무형문화재에서 가장 중요한 전승 축이 ‘기능’과 ‘예능’이다. 굿에서의 기능은 각종 소도구 제작을 의미한다. 소도구에는 가장 기본적인 것이 종이를 이용한 여러 오브제(objet)들이다. 지화(紙花), 지(紙)탈 등이 그러한 것들이다. 남해안 별신굿은 잘 알려진 바와 같이 통영 및 거제 등 남해안의 마을에서 정기적으로 행해지는 공동체 문화가 담긴 축제로 세습무가(巫家)들이 주도하고 있다. 세습무 가운데 남해안 별신굿을 택한 이유는 서해안 대동굿, 배연신굿이나 동해안 별신굿은 이미 1970년대부터 연구가 활발하게 시작되어 학계에 일찍 알려졌던 것과 달리 남해안 별신굿은 1980년대에 들어서야 그 존재가 겨우 확인되고 1987년에 비로소 무형문화재로 지정받았다는 사실 때문이다. 그뿐만 아니라 지금 이 시대에 대한민국에서 가업을 잇는다는 것은 생각만큼 쉽지 않은 일이기에 12대째 세습무를 이어오고 있다는 사실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1987년 7월1일 국가무형문화재 제82-4호로 지정된 이후 혈연세습이 아닌 사람들도 남해안 별신굿보존회로 들어와 굿의 기・예능을 학습하고 함께 굿판에서 활동하고 있다. 이렇게 세습무계의 속성이 변하게 된 이유는 ‘사회 인식의 변화, 활동무대의 감소, 경제적 이유, 사명감의 차이’ 등에서 비롯되었다고 생각된다. 본 논문은 기존의 연구자료에는 언급되지 않은 남해안 별신굿전승자들의 계보도와 현재 남해안 별신굿을 계승하고 있는 보유자와 전승자로부터 확인된 사실과 근거를 토대로 남해안 별신굿의 전승 양상을 살펴보았다. 그리고 이를 통해 남해안 별신굿과 그 안에 담긴 공동체 문화 그리고 전통공예미술인 지화(紙花) 및 종이오브제에 관한 내용도 함께 고찰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ondition of the tradition group and family line of Southern Coast Byeolsin-Kwut a national intangible cultural property and a Paper flower Objet and Paper Objet an equipment used by shamans for rituals at K...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ondition of the tradition group and family line of Southern Coast Byeolsin-Kwut a national intangible cultural property and a Paper flower Objet and Paper Objet an equipment used by shamans for rituals at Kwut.
      The most important transmission axes in national intangible cultural properties are function and entertainment. The function in the Kwut means making various props. The most basic of props are various objets using paper. Paper masks and Paper f lowers are such things.
      Southern Coast Byeolsin Kwut (SCBK) refers to the traditional shamanic rituals held to honor village tutelaries by hereditary shamans along the southern coastal villages on the Korean Peninsula, Tongyeong and Geoje. These communal festive rituals are hosted by shamans whose social status passes down through family bloodlines Unlike other similar communal shamanic groups The western coast Daedong-Kwut and the western coast Baeyeonsin-Kwut and the eastern coast Byeolsin-Kwut extensively studied in the 1970s. It was only in the 1980s that the tradition of the Southern Coast Byeolsin-Kwut was identified. SCBK was designated by the Korean government as a National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in 1987. It is noteworthy that the hereditary shamans hosting traditional social events in this area have been Kept through 12 generations, when we consider the difficulties in keeping old family traditions in Korea.
      The designation Kwut as National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No. 82-4 on July 1, 1987 led to the establishment of the Southern Coast Byeolsin-Kwut Preservation Society and the participation of ordinary citizens in the performance of the rituals. The recent development in the tradition of hereditary shamans could be attributed to the changes in public awareness of the tradition, the decrease in the opportunity for performances, and has changed economic situations, and has brought about differences in the sense of duty.
      The main discussions in this study includes the genealogy of Southern Coast Kwut. hosts which is not mentioned in the data so far discussed and the holders of the heritage officially acknowledged by the Korean government, and people who has finished Southern Coast Byeolsin-Kwut thus providing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the tradition based on facts proven through the research on heritage holders. This study are expected to contribute to the reinterpretation of the heritage of Kwut and the production of traditional craft art, Paper flower and Paper objet.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초록
      • Ⅰ. 머리말
      • Ⅱ. 남해안 별신굿의 혈연세습 시기의 전승 과정
      • Ⅲ. 남해안 별신굿의 학습세습 시기의 전승 과정
      • Ⅳ. 지화(紙花) 및 종이 오브제
      • 국문초록
      • Ⅰ. 머리말
      • Ⅱ. 남해안 별신굿의 혈연세습 시기의 전승 과정
      • Ⅲ. 남해안 별신굿의 학습세습 시기의 전승 과정
      • Ⅳ. 지화(紙花) 및 종이 오브제
      • Ⅴ. 맺음말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