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대학 ‘글쓰기’ 교과에 활용 가능한 피드백의 특성과 방법 = Characteristics and Methods of Feedback Available for University Academic Writing Classe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80056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의 목적은 대학 교양교육과정 개선 사업의 핵심 교과로 인정받고 있는 ‘글쓰기’ 교과 운영에서 중시하는 피드백의 특성과 방법 등을 종합적으로 검토하는 데 있다. 이 연구는 질적 연구 방법에 속하는 ‘표적 집단 심층 좌담회’와 ‘수업 관찰’을 활용하여, ‘글쓰기’ 교과 운영에 실제로 활용 가능한 피드백 방법을 조사하여 분류하였다. 피드백의 개념, 구성 요인, 유형에 관한 검토 결과, 피드백의 개념은 학문 영역에 따라 달리 규정되며, 피드백의 본질적 특성은 피드백을 받는 개인의 성격, 메시지의 특성, 피드백을 주는 사람의 특성에 따라 다를 수 있다. 피드백 구성 요인으로는 피드백의 출처, 기능, 인지 등을 구분하여 논의했다. 피드백 유형은 피드백 성격, 영역, 차원, 주체로 구분했다. 마지막으로, ‘글쓰기’ 교과에서 활용 가능한 피드백 방법으로는 교수 피드백과 동료 피드백으로 구분하여 제시했다. 이 연구는 피드백의 구성 요인을 더 명확하게 밝히고, 수업 상황에 실제 활용 가능한 방법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피드백 관련 지식과 기술에 대한 이해 및 활용의 폭을 넓히는 기회를 제공하고 있다.
      번역하기

      이 연구의 목적은 대학 교양교육과정 개선 사업의 핵심 교과로 인정받고 있는 ‘글쓰기’ 교과 운영에서 중시하는 피드백의 특성과 방법 등을 종합적으로 검토하는 데 있다. 이 연구는 질적...

      이 연구의 목적은 대학 교양교육과정 개선 사업의 핵심 교과로 인정받고 있는 ‘글쓰기’ 교과 운영에서 중시하는 피드백의 특성과 방법 등을 종합적으로 검토하는 데 있다. 이 연구는 질적 연구 방법에 속하는 ‘표적 집단 심층 좌담회’와 ‘수업 관찰’을 활용하여, ‘글쓰기’ 교과 운영에 실제로 활용 가능한 피드백 방법을 조사하여 분류하였다. 피드백의 개념, 구성 요인, 유형에 관한 검토 결과, 피드백의 개념은 학문 영역에 따라 달리 규정되며, 피드백의 본질적 특성은 피드백을 받는 개인의 성격, 메시지의 특성, 피드백을 주는 사람의 특성에 따라 다를 수 있다. 피드백 구성 요인으로는 피드백의 출처, 기능, 인지 등을 구분하여 논의했다. 피드백 유형은 피드백 성격, 영역, 차원, 주체로 구분했다. 마지막으로, ‘글쓰기’ 교과에서 활용 가능한 피드백 방법으로는 교수 피드백과 동료 피드백으로 구분하여 제시했다. 이 연구는 피드백의 구성 요인을 더 명확하게 밝히고, 수업 상황에 실제 활용 가능한 방법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피드백 관련 지식과 기술에 대한 이해 및 활용의 폭을 넓히는 기회를 제공하고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ims at comprehensively reviewing the characteristics and methods of feedback, which is highly valued in 'academic writing classes' as one of the core courses accelerating innovation in general education curriculum at major universities in South Korea. Employing 'focus group interviews' and 'class observations', the study identified and classified feedback methods available in academic writing classes. The study revealed that the concepts of feedback may be defined differently within academic disciplines and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feedback may differ depending on the features of the person receiving feedback, the features embedded in the message, and the features of the person giving feedback. Also, the components of feedback, including sources, functions, and perceptions were discussed. The feedback styles were divided into four categories considering the style’s character, area, dimensions, and actors. The study further suggested two types of feedback, faculty feedback and peer feedback, which are available in academic writing classes. This research could contribute to understanding the knowledge and skills necessary for feedback by clarifying the major components of feedback and by suggesting practical methods of feedback available to academic writing classes.
      번역하기

      This study aims at comprehensively reviewing the characteristics and methods of feedback, which is highly valued in 'academic writing classes' as one of the core courses accelerating innovation in general education curriculum at major universities in ...

      This study aims at comprehensively reviewing the characteristics and methods of feedback, which is highly valued in 'academic writing classes' as one of the core courses accelerating innovation in general education curriculum at major universities in South Korea. Employing 'focus group interviews' and 'class observations', the study identified and classified feedback methods available in academic writing classes. The study revealed that the concepts of feedback may be defined differently within academic disciplines and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feedback may differ depending on the features of the person receiving feedback, the features embedded in the message, and the features of the person giving feedback. Also, the components of feedback, including sources, functions, and perceptions were discussed. The feedback styles were divided into four categories considering the style’s character, area, dimensions, and actors. The study further suggested two types of feedback, faculty feedback and peer feedback, which are available in academic writing classes. This research could contribute to understanding the knowledge and skills necessary for feedback by clarifying the major components of feedback and by suggesting practical methods of feedback available to academic writing classe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영화, "학제의 사회학적 접근" 한국교육학회 123-135, 2006

      2 국립국어연구원, "표준국어대사전" 두산동아 1999

      3 임칠성, "통합 논술 첨삭 지도 방법 고찰" 한국국어교육학회 (74) : 49-74, 2006

      4 구자황, "수정과 피드백이 글쓰기에서 동인(動因)이 되는 방식을 위한 탐구" 어문연구학회 56 : 323-343, 2008

      5 이석재, "생애능력 측정도구 개발 연구: 의사소통능력, 문제해결능력,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을 중심으로" 한국교육개발원 2003

      6 원진숙, "대학생들의 학술적 글쓰기 능력 신장을 위한 작문 교육 방법" 민족어문학회 51 : 55-86, 2005

      7 염민호, "대학생 기초능력 증진을 위한 교육 프로그램 개발과 제도적 지원" 전남대학교/국회법제실 23-58, 2006

      8 최상민, "대학생 글쓰기 지도에서 ‘평가’의 문제" 한국언어문학회 (64) : 147-170, 2008

      9 오윤호, "대학 글쓰기의 효과적인 피드백 방안" 한민족문화학회 (25) : 139-164, 2008

      10 정희모, "대학 글쓰기 교육의 현황과 방향" 한국작문학회 (1) : 111-136, 2005

      1 김영화, "학제의 사회학적 접근" 한국교육학회 123-135, 2006

      2 국립국어연구원, "표준국어대사전" 두산동아 1999

      3 임칠성, "통합 논술 첨삭 지도 방법 고찰" 한국국어교육학회 (74) : 49-74, 2006

      4 구자황, "수정과 피드백이 글쓰기에서 동인(動因)이 되는 방식을 위한 탐구" 어문연구학회 56 : 323-343, 2008

      5 이석재, "생애능력 측정도구 개발 연구: 의사소통능력, 문제해결능력,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을 중심으로" 한국교육개발원 2003

      6 원진숙, "대학생들의 학술적 글쓰기 능력 신장을 위한 작문 교육 방법" 민족어문학회 51 : 55-86, 2005

      7 염민호, "대학생 기초능력 증진을 위한 교육 프로그램 개발과 제도적 지원" 전남대학교/국회법제실 23-58, 2006

      8 최상민, "대학생 글쓰기 지도에서 ‘평가’의 문제" 한국언어문학회 (64) : 147-170, 2008

      9 오윤호, "대학 글쓰기의 효과적인 피드백 방안" 한민족문화학회 (25) : 139-164, 2008

      10 정희모, "대학 글쓰기 교육의 현황과 방향" 한국작문학회 (1) : 111-136, 2005

      11 원만희, "대학 글쓰기 교육의 개선 방향과 방법을 위한 시론" 대학교양교육협의회/한국교양교육학회 241-252, 2009

      12 정희모, "대학 글쓰기 교육과 과정 중심 방법의 적용" 한국문학연구학회 (29) : 483-516, 2006

      13 염민호, "대학 '글쓰기' 교과 개선을 위한 교수 개발 프로그램의 내용과 효과 분석 - 전남대학교 사례 -" 교육연구원 25 (25): 30-51, 2009

      14 염민호, "논술중심 전공 교과' 시범운영의 평가 : 전남대학교 사례" 한국교육개발원 35 (35): 251-278, 2008

      15 정희모, "글쓰기에서 수정(Revision)의 절차와 방법에 관한 연구 - 인지적 관점을 중심으로" 한국문학연구학회 (34) : 333-360, 2008

      16 유현숙, "국가수준의 생애능력 표준 설정 및 학습체제 질 관리 방안 연구(I)" 한국교육개발원 2002

      17 성은미, "고쳐쓰기 활동의 사례 분석을 통한 작문 교육 연구" 국어교육학회 35 : 115-148, 2003

      18 황수정, "고등학생의 고쳐쓰기에 드러난 자기 조정 전략 활용 양상 연구 : 설득하는 글을 중심으로" 교과교육연구소 12 (12): 97-116, 2008

      19 조태성, "‘고쳐 쓰게 하기’를 통한 글쓰기 수업 모형" 겨레어문학회 (38) : 353-372, 2007

      20 McLeod, S., "Writing across the curriculum in a time of change in: WAC for the new millennium: Strategies for continuing writing across the curriculum program" National Council of Teacher of English 1-27, 2001

      21 Nunnery, J. A., "The effect of school renaissance on TAAS scores in the McKinnery ISD" Center for Research in Educational Policy, The University of Memphis 2003

      22 Erwin, T. D., "The NPEC sourcebook on assessment, volume 1: Definitions and assesment for critical thinking, problem solving, and writing"

      23 Feedback, "Retrieved June 7,2006,from http://en.wikipedia.org/wiki/Feedback)"

      24 Yeh, S. S., "Raising student achievement through rapid assessment and test reform" Teachers College, Columbia University 2006

      25 Bogdan, R., "Qualitative research for education: An introduction to theory and methods" Allyn and Bacon 1998

      26 Fleming, M., "Instructional message design: principles from the behavioral and cognitive sciences(Second Edition ed.)" Educational Technology Publications 1993

      27 Gay, L. R., "Educational research: Competences for analysis and applications" New Jersey: Merrill Prentice Hall 2003

      28 Ilgen, D. R., "Consequences of individual feedback on behavior in organization" 64 (64): 349-371, 1979

      29 Robinson, S. L., "Computer-delivered feedback in group-based instruction: Effect for learning disabled students in mathematics" 5 (5): 28-35, 1989

      30 Finn, J. D., "Academic success among students at risk for school failure" 82 (82): 221-234, 1999

      31 전남대학교 교육발전연구원, "2007학년도 여수 캠퍼스 ‘글쓰기’ 교과 운영 실태 조사 보고서" 전남대학교 교육발전연구원 2007

      32 전대신문, "2006. 11. 13. <리포트 피드백 잘 되나요?>, 《전대신문》(전남대학교 신문방송사)"

      33 한겨레, "2006. 10. 23. <교수님, 보고서 코멘트 받고 싶어요>, 《한겨레》(한겨레신문사)"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3-12-04 학회명변경 영문명 : 미등록 -> The Association of Korean Education KCI등재
      2013-12-01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The Modern Education Of Korean Language -> KOREAN EDUCATION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06 1.06 1.0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98 0.95 1.479 0.3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