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東洋)의 삼국(三國)가운데 중국은 중국사(中國史)를 일본은 일본사(日本史)를 필수교과로 한다는데 한국은 한국사(韓國史)를 보통교육에서 필수교과로 선정(選定)되어 있지 않다고 언...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4034436
김익수 (선문대학교)
2011
Korean
단군왕검 ; 단군신화(檀君神話) ; 상고사(上古史) ; 우리사상 ; 우리문화 ; 우리교육 ; 홍익인간의 이념. ; Dangun Wanggeom ; Dangun Mythology ; Ancient History ; Korean Thoughts ; Korean Culture ; Korean Education ; Ideology of Hongikingan. ; Dangun Wanggeom ; Dangun Mythology ; Ancient History ; Korean Thoughts ; Korean Culture ; Korean Education ; Ideology of Hongikingan.
KCI등재
학술저널
233-279(47쪽)
5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동양(東洋)의 삼국(三國)가운데 중국은 중국사(中國史)를 일본은 일본사(日本史)를 필수교과로 한다는데 한국은 한국사(韓國史)를 보통교육에서 필수교과로 선정(選定)되어 있지 않다고 언...
동양(東洋)의 삼국(三國)가운데 중국은 중국사(中國史)를 일본은 일본사(日本史)를 필수교과로 한다는데 한국은 한국사(韓國史)를 보통교육에서 필수교과로 선정(選定)되어 있지 않다고 언론(言論)에서 크게 지적한 바 있다.
이는 국가관과 직결(直結)된다고 볼 때에 문제가 아주 크다.
우리나라는 상고사(上古史)를 연구하면 동양은 물론이요, 세계최초의 국가요, 개천경(천부경, 삼일신고, 참전계경)을 통한 우리 사상이 정초가 세워져 세계철학사로 볼 때에 최고(最古) 최고(最高)의 철학의 기반이 세워졌던 나라요, 홍익인간사상으로 효교육문화를 국민생활로 전개한 단군왕검은 동양천하의 통일과 고조선건국(B.C2333년10워3일)으로 역사적인 고조선시대를 열어간 것은 세계사적으로 특기할 만하다. 그럼에도 일본이 우리나라를 강점한 후에 초대총독이 우리의 국사와 민족혼을 없애기 위해 상고사는 신빙이 없는 단군신화(檀君神話)로 날조하여 전락시키고 효(孝)를 통한 홍익인간사상을 묵살하였음을 국민들에게 1차적으로 인식(認識)시키고 싶다.
본 연구에서는 외래상과 외래문화, 외래교육의 비판없는 수용과 사대주의의 근성 때문에 가장 세계적인 우리 사상과 우리의 효문화, 우리의 효행교육의 본연(本然)을 되찾아야 한다는 국민의식을 높이려는 것이 2차적인 목적이 여기에 있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mong 3 nations in East Asia, China and Japan adopted Chinese history and Japanese history as the required course in their general education system. However, Korea does not select Korean history as a required course and it became a major issue among K...
Among 3 nations in East Asia, China and Japan adopted Chinese history and Japanese history as the required course in their general education system. However, Korea does not select Korean history as a required course and it became a major issue among Korean presses with criticism. It is serious since it directly related to the outlook of the nation.
Studying ancient history, Korea is not only the first one to create a political entity in Asia but in the world. Also, in the history of world philosophy, Korea was the first and best country with the foundation of its political entity based on Gaecheongyeong (Book of the Opening of Heaven: Book of Heavenly Appendix, Order of Trinity and Chamjeongyeogyeong). It is significant in the world history that Dangun Wanggeom unified Asia and established historic Old Joseon (October 3, 2,333 BC) with the culture of filial piety education based on the ideology of Hongikingan (Men beneficial to human beings). However, the first Governor General after Japan annexed Korea manipulated Korean ancient history with Dangun mythology. He also tried to destroy the ideology of Hongikingan through filial piety.
This study tries to emphasize this fact to the Korean public first. Also, the adoption of foreign thoughts, culture and education with criticism courses the crisis. Because of this toadyism, Korea’s outstanding thoughts and culture of filial piety face the challenge. It is why Korea needs to recover them through the rediscovery of the real characteristics of the education of filial piety. The second aim of this study is to raise the national consciousness.
참고문헌 (Reference)
1 "후한서(後漢書)"
2 "환단고기(桓檀古記)"
3 "해동역사"
4 "한서지리지(漢書地理誌)"
5 "한서(漢書)"
6 "통지(通誌)"
7 "통전(通典)"
8 "태백일사(太白逸事)"
9 "천부경(天符經)"
10 "참전계경(參佺戒經)"
1 "후한서(後漢書)"
2 "환단고기(桓檀古記)"
3 "해동역사"
4 "한서지리지(漢書地理誌)"
5 "한서(漢書)"
6 "통지(通誌)"
7 "통전(通典)"
8 "태백일사(太白逸事)"
9 "천부경(天符經)"
10 "참전계경(參佺戒經)"
11 "진역유기"
12 "진서(晋書)"
13 "주역(周易)"
14 "조대기(朝代記)"
15 "전한서(前漢書)"
16 "일통지(一統誌)"
17 "음부경"
18 "위지(魏志)"
19 "위서(魏書)"
20 "운급헌원기"
21 "요사지리지(遼史地理誌)"
22 "오제설(五帝說)"
23 "신당서(新唐書)"
24 "신단민사(神壇民事)"
25 "송사(宋史)"
26 "세종실록"
27 "설문(說文)"
28 "상서(尙書)"
29 "삼한습유기(三韓拾遺記)"
30 "삼한비기"
31 "삼일신고(三一神誥)"
32 "삼성비기(三聖秘記)"
33 "삼성밀기(三聖密記)"
34 "삼성기(三聖記)"
35 "삼국유사(三國遺事)"
36 "산해경(山海經)"
37 "사문록(四聞錄)"
38 "사기(史記)"
39 "북사(北史)"
40 "북부여기(北夫餘記)"
41 "명서(明書)"
42 "맹자(孟子)"
43 "동사찬요(東史簒要)"
44 "동국통감(東國通鑑)"
45 "동국여지승람(東國輿地勝覽)"
46 "동국문헌비고(東國文獻備考)"
47 "대변경"
48 "당서지리지(唐書地理誌)"
49 "단기고사(檀紀古事)"
50 "단군세기(檀君世紀)"
51 "단군세기(檀君世紀)"
52 "금서(金書)"
53 "금사(金史)"
54 "규원사화(揆園史話)"
55 "괄지지(括地誌)"
56 "고려판관기"
중국 남조의 사찰명 분석을 통해 본 남조불교의 특징 ― 백제 불교 이해를 위한 전제 ―
조선후기 中人層의 예술관 검토 ― 18⋅19세기 ‘서화론’을 중심으로 ―
한국전쟁과 낙동강, 가려진 현실의 융기 − 임권택의 「洛東江은 흐르는가」를 대상으로 −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0 | 평가예정 | 신규평가 신청대상 (신규평가) | |
2019-12-01 | 평가 | 등재후보 탈락 (계속평가) | |
2018-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7-12-01 | 평가 |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 ![]() |
2013-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0-01-01 | 평가 |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 ![]() |
200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4-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3-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 | ![]() |
2001-07-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44 | 0.44 | 0.41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38 | 0.38 | 0.811 | 0.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