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연구의 목적은 새로운 메시지 전달양식 변화의 한 예라고 할 수 있는 애드버토리얼의 사용현황과 의미를 국내 신문의 내용분석을 통해 조사하는 것이었다. 내용분석(content analysis) 기법...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의 목적은 새로운 메시지 전달양식 변화의 한 예라고 할 수 있는 애드버토리얼의 사용현황과 의미를 국내 신문의 내용분석을 통해 조사하는 것이었다. 내용분석(content analysis) 기법...
이 연구의 목적은 새로운 메시지 전달양식 변화의 한 예라고 할 수 있는 애드버토리얼의 사용현황과 의미를 국내 신문의 내용분석을 통해 조사하는 것이었다.
내용분석(content analysis) 기법을 이용하여 얻은 결과에 의하면 애드버토리얼이 처음 도입된 1994년보다 1999년 현재에는 애드버토리얼 활용에 있어 양적인 팽창이 이루어진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애드버토리얼의 형식과 내용과 관련된 다양한 측면에서 1994년과 1999년의 애드버토리얼은 많은 차이를 보이고 있으며, 그러한 결과는 통계적으로도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애드버토리얼 형식의 경우, 게재형식, 위치, 크기, 구성 등에 있어 많은 변화가 일어난 것을 알 수 있었고 특히 애드버토리얼 크기가 전반적으로 늘어난 점, 기획특집과 애드버토리얼을 함께 게재하는 방법, 사진이나 삽화를 많이 이용하는 점등의 변화가 있었다.
내용의 측면에서는 주제, 내용, 광고주 관련 정보, 기사 작성자의 표기 등에서 많은 변화가 있었다. 애드버토리얼의 가장 큰 문제점 중에 하나라고 할 수 있는 기만성과 관련된 사항으로서 우선 광고와 기사를 구별할 수 있는 최소한의 장치는 이루어지고 있었다. 또한 광고임을 나타내는 레이블의 부착도 99년에는 증가되어 기만성과 관련한 외형적인 측면에서의 애드버토리얼의 문제점은 점차 감소되고 있는 것을 파악할 수 있었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oncept and its use of advertorial in Korean newspapers. Two time periods (April 1994 - September 1994 and April 1999 - September 1999) were examined to investigate the change over time in the usages of adv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oncept and its use of advertorial in Korean newspapers. Two time periods (April 1994 - September 1994 and April 1999 - September 1999) were examined to investigate the change over time in the usages of advertorials in the newspapers.
A total of 393 advertorials are content-analyzed in this study. The sample is gathered from the two major daily and economic newspapers, JoongAng Ilbo and Maekyung, which publications are likely to represent advertorials in the newspaper best as it is currently practiced.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there a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advertorials in 1994 and those in 1999 in terms of the aspects of advertorial format, including the various format types such as size, location, usage of photos and pictures and so on. The bigger size and more pictures are found in the advertorials in 1999 newspapers compared to those in 1994.
However, there a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contents of the advertorials between the two periods, though minor changes are found. The major topics covered in the advertorials between the two periods are basically same. It is found that health/diet, education, or electronics related materials are the most frequently appeared topics in the advertorials both time periods. Also, the number of subtopics is not much changed between the two periods. However, there are slightly differences between the two periods in terms of the most frequently appeared topics. The main topics in 1994 are health related issues, followed by electronics, whereas education materials are the most frequently appeared in the 1999.
Concerning the labelling, eight six percent of the total advertorials is labelled as advertisements. Specifically, seventy six percent of the advertorials in 1994 is labelled, whereas eighty eight percent of those in 1999 was presented with label. Basically it is safe to say that the usages of advertorials in the Korean newspapers are expanding substantially, though not much progress is found in terms of quality.
국문 초록 (Abstract)
1. 문제제기 2. 애드버토리얼의 개념과 의미 1) 애드버토리얼과 유사 개념들 2) 매체환경 변화와 애드버토리얼 3) 애드버토리얼 관련 연구와 이슈들 3. 국내 신문의 애드버토리...
1. 문제제기
2. 애드버토리얼의 개념과 의미
1) 애드버토리얼과 유사 개념들
2) 매체환경 변화와 애드버토리얼
3) 애드버토리얼 관련 연구와 이슈들
3. 국내 신문의 애드버토리얼 현황
1) 연구문제
2) 연구방법
3) 연구결과
4. 요약 및 결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