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private writing, which is represented by ‘self – narration’ and ‘unsent letters’, to the curriculum of university writing course. Many students find it difficult to write and have d...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3269403
2017
Korean
KCI등재후보
학술저널
143-163(21쪽)
2
0
상세조회0
다운로드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private writing, which is represented by ‘self – narration’ and ‘unsent letters’, to the curriculum of university writing course. Many students find it difficult to write and have 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private writing, which is represented by ‘self – narration’ and ‘unsent letters’, to the curriculum of university writing course. Many students find it difficult to write and have difficulty releasing their writing. Self narrative and ‘unsent letters’ can be used as a way to overcome this.
Many college writing classes try to ease the objection to students" writing by choosing writing that does not reveal personal stories or feelings such as columns, book reviews, and criticisms. However, the more fundamental function of writing can be found in reflection and conversation about oneself.
Based on this recognition, this paper proposes ‘self - narrative writing’ and healing writing learning model as a way of reflexive writing in college writing class and analyzed the actual teaching practice.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박태진, "청소년기 자아의 치료와 정체성을 찾는 저널 쓰기 연구 ― 저널 도구 ‘대화’ 쓰기의 사례를 중심으로 ―" 한국작문학회 (11) : 9-44, 2010
2 Kathleen Adams, "저널치료- 자아를 찾아가는 나만의 저널쓰기" 학지사 2006
3 박현이, "자아정체성 구성을 위한 자전적 글쓰기 교육의 실제" 어문연구학회 58 : 439-463, 2008
4 임지연, "자서전적 자기서사 글쓰기의 통합적 효과를 위한 방법 연구 -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비평문학회 (48) : 313-345, 2013
5 이동순, "자기서사 쓰기가 자기성찰에 미치는 영향 연구" 한국 리터러시 학회 (15) : 219-237, 2016
6 "위키백과"
7 강영심, "예비특수교사의 반성적 사고 증진을 위한 저널쓰기 활용 방안" 한국특수교육학회 2010
8 이봉희, "문학치료에서 활용되는 글쓰기의 치유적 힘에 대한 고찰과 문학치료사례" 한국교양교육학회 8 (8): 281-310, 2014
9 박소연, "대학생의 저널쓰기를 통한 자아성찰 과정에서의 자아정체감 형성 경험 분석" 한국교양교육학회 6 (6): 153-178, 2012
10 정영진, "대학 기초교양에서의 ‘창의적 글쓰기’ 인식 연구- ‘창의적 글쓰기’ 교재를 중심으로 -" 한국작문학회 (18) : 267-295, 2013
1 박태진, "청소년기 자아의 치료와 정체성을 찾는 저널 쓰기 연구 ― 저널 도구 ‘대화’ 쓰기의 사례를 중심으로 ―" 한국작문학회 (11) : 9-44, 2010
2 Kathleen Adams, "저널치료- 자아를 찾아가는 나만의 저널쓰기" 학지사 2006
3 박현이, "자아정체성 구성을 위한 자전적 글쓰기 교육의 실제" 어문연구학회 58 : 439-463, 2008
4 임지연, "자서전적 자기서사 글쓰기의 통합적 효과를 위한 방법 연구 -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비평문학회 (48) : 313-345, 2013
5 이동순, "자기서사 쓰기가 자기성찰에 미치는 영향 연구" 한국 리터러시 학회 (15) : 219-237, 2016
6 "위키백과"
7 강영심, "예비특수교사의 반성적 사고 증진을 위한 저널쓰기 활용 방안" 한국특수교육학회 2010
8 이봉희, "문학치료에서 활용되는 글쓰기의 치유적 힘에 대한 고찰과 문학치료사례" 한국교양교육학회 8 (8): 281-310, 2014
9 박소연, "대학생의 저널쓰기를 통한 자아성찰 과정에서의 자아정체감 형성 경험 분석" 한국교양교육학회 6 (6): 153-178, 2012
10 정영진, "대학 기초교양에서의 ‘창의적 글쓰기’ 인식 연구- ‘창의적 글쓰기’ 교재를 중심으로 -" 한국작문학회 (18) : 267-295, 2013
11 이봉희, "내 마음을 만지다" 생각속의집 2011
12 이숙정, "교양수업에서 ‘자기 서사적 글쓰기’가 대학생의 신뢰성향과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양교육학회 8 (8): 271-297, 20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