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에서는 모국어 화자인 독일인과 한국인, 그리고 독일에 사는 비모국어 화자인 한국인이 <소음 공해에 대한 불만표시>의 발화행위를 어떻게 수행하는지를 설문지 방식에 근거하...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모국어 화자인 독일인과 한국인, 그리고 독일에 사는 비모국어 화자인 한국인이 <소음 공해에 대한 불만표시>의 발화행위를 어떻게 수행하는지를 설문지 방식에 근거하...
본 연구에서는 모국어 화자인 독일인과 한국인, 그리고 독일에 사는 비모국어 화자인 한국인이 <소음 공해에 대한 불만표시>의 발화행위를 어떻게 수행하는지를 설문지 방식에 근거하여 상호 문화적인 관점에서 탐색하고 있다. 특히 발화행위의 언어적 실현 전략형태들이나 메시지의 표현 전달경로, 그리고 불만표시 빈도수와 관련하여 문화적 상이성과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이 무엇인지를 체계적으로 기술하고 있다.
이 연구의 결과를 간단히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한국인들은 가능하면 화자와 청자의 체면위협을 최소화시키는 "완화어법"이나 "이유"와 같은 간접적인 표현방식의 전략을 선호하며, 특히 비모국어 화자인 한국인은 상세한 이유전략을 사용함으로써 모국어 화자인 독일인보다 발화길이가 더 길게 나타나고 있다. 이와는 달리 독일인 화자들은 불만 표시 빈도수가 한국인들에 비해 높게 나타나며 그들의 불만표시 언어전략 선택은 대부분 객관적인 사실 기준에 따라 직접적인 강화어법이, 즉 비판에서 심지어는 경고나 위협에 이르기까지 다양하게 나타나고 있다.
결국 이런 문화적인 상이성은 상호 문화간의 의사소통 과정에서 화용론적 실패나 소통의 단절을 초래할 수 있다. 따라서 학습자들이 외국어 학습과정에서 목표문화의 구성원들과 효율적으로 의사소통을 하기위해서는 그들의 문법적 체계 외에도 화용론적 규칙에 대한 지식 또한 반드시 습득할 필요가 있다고 본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this paper, we investigate the way in which Korean learners of German and native speakers of Korean and German perform the speech act of complaining, specifically with respect to its linguistic realization patterns, frequency and channel of message...
In this paper, we investigate the way in which Korean learners of German and native speakers of Korean and German perform the speech act of complaining, specifically with respect to its linguistic realization patterns, frequency and channel of message transmission. It is our objective to describe some of the culturally specific differences and features. The data under study has been collected by using written discourse completion tests.
This study shows that social-cultural determination and contextual parameters such as social and situational factors are of crucial importance for the performance of the speech act of complaining, which holds for the Korean and the German cultural alike. Especially when realization patterns of non-native speakers are compared with those of native speakers of the target language strong differences in regard of frequency, strategy selection, use of intensfiers, softners and length of utterance become apparent. Korean learners of German tend to complain less using longer utterances and more softners, which serve to mitigate the face-threatening act of complaint.
Cross-cultural comparisons between native speaker of Korean and German also differ in respect of the channel of message transmission. Koreans attempt to select more the indirect strategies (written notes or via caretaker) in order to protect their face wants and social harmony in the interaction. The Germans, on the other hand, in order to achieve the same goals prefer to perform the speech act of complaint directly in face to face interaction. Such cultural differences are able to make more difficult the understanding in the intercultural communication. Therefore a learner needs to know how to communicate effectively as "competent" speakers in the target culture in order to achieve the goal of speech act of complaining successful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