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중국근대의 담론에서 본 지식인의 變法운동과 민족주의적 經世觀 = Chinese Intellectuals’ Bianfa Reform Movement and the Nationalistic View of Administrating the World from the Perspective of Modern China Discourse - Focusing upon Kang Yu-wei’s Datong World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39859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essay is focused upon understanding how the modernization of China played a vital role in satisfying the comprehensive need of the Chinese community in general, which is characteristic of the fusion of western culture into the traditional Confucian culture. What is called the nationalism comes from the slogan of the wealth and military power of a nation and the survival of its people, intellectuals advocated such social reform as the enlightenment of people, the abolition of class distinctions and the abolishment of racialism and feudalism. In this modern movement, particularly, Kang Yu-wei attached importance to the administrativistic view of world, which is characteristic of national administration and its application. With the help of the theory of social evolution, in Datongshu, he had the modern thought of reformation, that is, the self-consciousness of requesting the equal right of people, the freedom and will of individuals, the survival of people, and so on. His doctrine of Datong world strengthened the awakening of Chinese community through the spirit of contradiction. He tried to vindicate the consciousness of people-right in the recognition of non-discriminative equality of people. He argued the nationalism of defending the Chinese country in the dimension of the salivation of people. In particular, the nationalism of defending and saving the Chinese country from the Western powers was a representative exemplar of Chinese modernization. It reflected a kind of turn to the modernization of China closely connected with intellectuals’ will to participate in the worldly reality.
      번역하기

      The essay is focused upon understanding how the modernization of China played a vital role in satisfying the comprehensive need of the Chinese community in general, which is characteristic of the fusion of western culture into the traditional Confucia...

      The essay is focused upon understanding how the modernization of China played a vital role in satisfying the comprehensive need of the Chinese community in general, which is characteristic of the fusion of western culture into the traditional Confucian culture. What is called the nationalism comes from the slogan of the wealth and military power of a nation and the survival of its people, intellectuals advocated such social reform as the enlightenment of people, the abolition of class distinctions and the abolishment of racialism and feudalism. In this modern movement, particularly, Kang Yu-wei attached importance to the administrativistic view of world, which is characteristic of national administration and its application. With the help of the theory of social evolution, in Datongshu, he had the modern thought of reformation, that is, the self-consciousness of requesting the equal right of people, the freedom and will of individuals, the survival of people, and so on. His doctrine of Datong world strengthened the awakening of Chinese community through the spirit of contradiction. He tried to vindicate the consciousness of people-right in the recognition of non-discriminative equality of people. He argued the nationalism of defending the Chinese country in the dimension of the salivation of people. In particular, the nationalism of defending and saving the Chinese country from the Western powers was a representative exemplar of Chinese modernization. It reflected a kind of turn to the modernization of China closely connected with intellectuals’ will to participate in the worldly reality.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논문에서는 중국의 근대화 속에서 지식인들이 ‘근대’라는 자기정체성을 찾아가는 시대정신을 모색해보고자 한다. 그들의 세계관에서 근대화는 중국이 서양의 존재를 타자로 받아들이면서 자신을 주체로 새롭게 인식하는 과정이다. 그들은 기존의 전통적 사상과 서구의 사상 사이에 공존하는 괴리감을 어떻게 해소할 것인가 하는 현실적 문제를 고민하였다. 그들은 서구의 사회진화론을 수용하면서 부국강병과 민족생존과 같은 시대적 절박감과 역사적 사명감에 직면하였던 한편, 자유와 평등의 이념 하에서 반봉건주의적 진보성, 교화주의적 계몽성, 반제국주의적 애국심 등을 기치로 내걸으며 變法自强운동, 戊戌政變 등을 추진하였다. 특히 강유위는 道義만을 명분으로 하는 봉건제도의 불합리성과 전통적 사고의 질곡을 비판하며 이른바 大同의 세계 혹은 太平의 경지를 지향하였다. 그의 大同三世論은 升平世의 단계에 있던 중국의 상황에서 사회진화론과 같은 필연적인 역사적 과정에서 이해될 수 있다. 여기에는 전통의 重建과 근대의 轉換의 이중적인 과제가 있다. 전통의 重建이 민족주의의 함양과 관련된다면 근대의 轉換은 국가주의의 고양과 관련된다. 지식인들은 天下의 大同사회의 공동체적 차원에서 민족생존의 민족주의와 국민의식의 국가주의를 추구하였다. 그들은 문명화된 세계에 중국을 끊임없이 새롭게 투사하면서 구국적 애국심과 주체적 민권의식을 발판으로 하여 근대적 국가의 조감도를 그려내고자 하였다. 이러한 근대적 사고는 經世致用의 기조 속에 大同의 민족주의와 文明의 보편주의에 관한 담론을 낳았으며 더 나아가 구미의 열강들과 어깨를 나란히 하려는 中華主義의 극단적 민족주의로 치닫게 하였다.
      번역하기

      본 논문에서는 중국의 근대화 속에서 지식인들이 ‘근대’라는 자기정체성을 찾아가는 시대정신을 모색해보고자 한다. 그들의 세계관에서 근대화는 중국이 서양의 존재를 타자로 받아들이...

      본 논문에서는 중국의 근대화 속에서 지식인들이 ‘근대’라는 자기정체성을 찾아가는 시대정신을 모색해보고자 한다. 그들의 세계관에서 근대화는 중국이 서양의 존재를 타자로 받아들이면서 자신을 주체로 새롭게 인식하는 과정이다. 그들은 기존의 전통적 사상과 서구의 사상 사이에 공존하는 괴리감을 어떻게 해소할 것인가 하는 현실적 문제를 고민하였다. 그들은 서구의 사회진화론을 수용하면서 부국강병과 민족생존과 같은 시대적 절박감과 역사적 사명감에 직면하였던 한편, 자유와 평등의 이념 하에서 반봉건주의적 진보성, 교화주의적 계몽성, 반제국주의적 애국심 등을 기치로 내걸으며 變法自强운동, 戊戌政變 등을 추진하였다. 특히 강유위는 道義만을 명분으로 하는 봉건제도의 불합리성과 전통적 사고의 질곡을 비판하며 이른바 大同의 세계 혹은 太平의 경지를 지향하였다. 그의 大同三世論은 升平世의 단계에 있던 중국의 상황에서 사회진화론과 같은 필연적인 역사적 과정에서 이해될 수 있다. 여기에는 전통의 重建과 근대의 轉換의 이중적인 과제가 있다. 전통의 重建이 민족주의의 함양과 관련된다면 근대의 轉換은 국가주의의 고양과 관련된다. 지식인들은 天下의 大同사회의 공동체적 차원에서 민족생존의 민족주의와 국민의식의 국가주의를 추구하였다. 그들은 문명화된 세계에 중국을 끊임없이 새롭게 투사하면서 구국적 애국심과 주체적 민권의식을 발판으로 하여 근대적 국가의 조감도를 그려내고자 하였다. 이러한 근대적 사고는 經世致用의 기조 속에 大同의 민족주의와 文明의 보편주의에 관한 담론을 낳았으며 더 나아가 구미의 열강들과 어깨를 나란히 하려는 中華主義의 극단적 민족주의로 치닫게 하였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승환, "한국 및 동양에서 ‘사회진화론’의 수용과 가능" 9 : 2002

      2 김승환, "동아시아 담론과 동아시아적 인식" 27 : 2003

      3 김철운, "대동(大同): 욕망의 동력으로 이루는 유가공동체" 철학연구소 (41) : 95-132, 2010

      4 이연도, "근대중국의 진화론과 역사관?엄복과 강유위를 중심으로" 한국철학사연구회 (20) : 101-125, 2007

      5 이규성, "강유위(康有爲)의 세계의식과 이상사회" 철학사상연구소 (17) : 3-114, 2003

      6 李遠杰, "近現代以佛攝儒硏究" 巴蜀書社 2002

      7 "禮記"

      8 김태승, "現代中國의 歷史敍述에 나타난 近代主義와 近代性 ― 中國 近代史 認識을 중심으로" 한국중국학회 46 : 337-352, 2002

      9 조병한, "淸末 法治관념의 수용과 改革運動" 한국법철학회 7 (7): 237-262, 2004

      10 "河南程氏遺書"

      1 이승환, "한국 및 동양에서 ‘사회진화론’의 수용과 가능" 9 : 2002

      2 김승환, "동아시아 담론과 동아시아적 인식" 27 : 2003

      3 김철운, "대동(大同): 욕망의 동력으로 이루는 유가공동체" 철학연구소 (41) : 95-132, 2010

      4 이연도, "근대중국의 진화론과 역사관?엄복과 강유위를 중심으로" 한국철학사연구회 (20) : 101-125, 2007

      5 이규성, "강유위(康有爲)의 세계의식과 이상사회" 철학사상연구소 (17) : 3-114, 2003

      6 李遠杰, "近現代以佛攝儒硏究" 巴蜀書社 2002

      7 "禮記"

      8 김태승, "現代中國의 歷史敍述에 나타난 近代主義와 近代性 ― 中國 近代史 認識을 중심으로" 한국중국학회 46 : 337-352, 2002

      9 조병한, "淸末 法治관념의 수용과 改革運動" 한국법철학회 7 (7): 237-262, 2004

      10 "河南程氏遺書"

      11 최민자, "梁啓超의 變法思想과 改革運動" 30 (30): 1996

      12 梁啓超, "梁啓超哲學思想論文選" 北京大學 1984

      13 "易緯"

      14 "康有爲全集"

      15 한성구, "康有爲 사상의 과학적 배경과 ‘天遊境界’" 한국철학사연구회 (27) : 197-222, 2009

      16 이연도, "大同과 유토피아 : 강유위 사상의 특색" 한국철학사연구회 (18) : 241-263, 2006

      17 康有爲, "大同書" 中州古籍 1998

      18 彭春凌, "儒學轉型與文化新命 - 以康有爲、章太炎爲中心(1898-1927)" 北京大學 2014

      19 李向平, "人間佛敎的現代轉換及其意義" (一) : 1997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75 0.75 0.6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68 0.68 1.432 0.3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