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이승환, "한국 및 동양에서 ‘사회진화론’의 수용과 가능" 9 : 2002
2 김승환, "동아시아 담론과 동아시아적 인식" 27 : 2003
3 김철운, "대동(大同): 욕망의 동력으로 이루는 유가공동체" 철학연구소 (41) : 95-132, 2010
4 이연도, "근대중국의 진화론과 역사관?엄복과 강유위를 중심으로" 한국철학사연구회 (20) : 101-125, 2007
5 이규성, "강유위(康有爲)의 세계의식과 이상사회" 철학사상연구소 (17) : 3-114, 2003
6 李遠杰, "近現代以佛攝儒硏究" 巴蜀書社 2002
7 "禮記"
8 김태승, "現代中國의 歷史敍述에 나타난 近代主義와 近代性 ― 中國 近代史 認識을 중심으로" 한국중국학회 46 : 337-352, 2002
9 조병한, "淸末 法治관념의 수용과 改革運動" 한국법철학회 7 (7): 237-262, 2004
10 "河南程氏遺書"
1 이승환, "한국 및 동양에서 ‘사회진화론’의 수용과 가능" 9 : 2002
2 김승환, "동아시아 담론과 동아시아적 인식" 27 : 2003
3 김철운, "대동(大同): 욕망의 동력으로 이루는 유가공동체" 철학연구소 (41) : 95-132, 2010
4 이연도, "근대중국의 진화론과 역사관?엄복과 강유위를 중심으로" 한국철학사연구회 (20) : 101-125, 2007
5 이규성, "강유위(康有爲)의 세계의식과 이상사회" 철학사상연구소 (17) : 3-114, 2003
6 李遠杰, "近現代以佛攝儒硏究" 巴蜀書社 2002
7 "禮記"
8 김태승, "現代中國의 歷史敍述에 나타난 近代主義와 近代性 ― 中國 近代史 認識을 중심으로" 한국중국학회 46 : 337-352, 2002
9 조병한, "淸末 法治관념의 수용과 改革運動" 한국법철학회 7 (7): 237-262, 2004
10 "河南程氏遺書"
11 최민자, "梁啓超의 變法思想과 改革運動" 30 (30): 1996
12 梁啓超, "梁啓超哲學思想論文選" 北京大學 1984
13 "易緯"
14 "康有爲全集"
15 한성구, "康有爲 사상의 과학적 배경과 ‘天遊境界’" 한국철학사연구회 (27) : 197-222, 2009
16 이연도, "大同과 유토피아 : 강유위 사상의 특색" 한국철학사연구회 (18) : 241-263, 2006
17 康有爲, "大同書" 中州古籍 1998
18 彭春凌, "儒學轉型與文化新命 - 以康有爲、章太炎爲中心(1898-1927)" 北京大學 2014
19 李向平, "人間佛敎的現代轉換及其意義" (一) : 199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