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하나님의 선교와 창조신학의 관점에서 본 ‘은총의 숲’ 사역 = A Ministry of ‘the Grove of Grace’ from the Perspective of God’s Mission and Creation Theolog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24856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examines the ‘Grove of Grace’ project in Mongolia, which is actively participating in the preservation and restoration of creation from the perspective of God’s mission and seeks its missiological implications. Since the IMC at Willingen in 1952, the notion of missio Dei has been developed in direct connection with ecclesiology rather than the Triune God itself. In the case of Korea, it did not provide an appropriate answer to the issue of materialism and other religions but focused on the soteriology of Jesus Christ. The Grove of Grace ministry, which started in Mongolia in 2009, is to prevent desertification in Mongolia due to global warming, to provides economic help to the Mongolians, and more than anything else to present a new mission plan for Korean Christianity. The Grove of Grace is practicing the intrinsic ‘fellowship’ of the Triune God with local people and creatures through ecological mission.
      번역하기

      This paper examines the ‘Grove of Grace’ project in Mongolia, which is actively participating in the preservation and restoration of creation from the perspective of God’s mission and seeks its missiological implications. Since the IMC at Willin...

      This paper examines the ‘Grove of Grace’ project in Mongolia, which is actively participating in the preservation and restoration of creation from the perspective of God’s mission and seeks its missiological implications. Since the IMC at Willingen in 1952, the notion of missio Dei has been developed in direct connection with ecclesiology rather than the Triune God itself. In the case of Korea, it did not provide an appropriate answer to the issue of materialism and other religions but focused on the soteriology of Jesus Christ. The Grove of Grace ministry, which started in Mongolia in 2009, is to prevent desertification in Mongolia due to global warming, to provides economic help to the Mongolians, and more than anything else to present a new mission plan for Korean Christianity. The Grove of Grace is practicing the intrinsic ‘fellowship’ of the Triune God with local people and creatures through ecological mission.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고는 창조세계의 보존과 회복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있는 몽골 ‘은총의 숲’ 사업을 하나님의 선교 관점에서 검토하고 그 선교학적인 함의를 모색하고자 한다. 1952년 빌링겐IMC 이후 하나님의 선교(missio Dei)에 대한 다양한 논의들이 있었는데, 하나님의 선교가 삼위일체 하나님 자체보다는 교회론과 직접적으로 연관되어 발전되어 왔고, 한국의 경우 물질주의와 타종교 이슈에 대한 적절한 답변을 제시하지 못했으며, 예수 그리스도의 구원론에 집중하면서 창조론에 대한 논의가 미약했다는 점이 제기되었다. 2009년 몽골에서 시작된 ‘은총의 숲’ 사역은 지구 온난화로 인한 몽골의 사막화를 방지하고, 몽골인에게 경제적인 도움을 주며, 무엇보다도 한국기독교의 새로운 선교방안을 제시한다. 은총의 숲은 삼위일체 하나님의 내재적인 ‘사귐’을 현지인과 피조물과 함께 생태선교로 실천하고 있다.
      번역하기

      본고는 창조세계의 보존과 회복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있는 몽골 ‘은총의 숲’ 사업을 하나님의 선교 관점에서 검토하고 그 선교학적인 함의를 모색하고자 한다. 1952년 빌링겐IMC 이후 하...

      본고는 창조세계의 보존과 회복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있는 몽골 ‘은총의 숲’ 사업을 하나님의 선교 관점에서 검토하고 그 선교학적인 함의를 모색하고자 한다. 1952년 빌링겐IMC 이후 하나님의 선교(missio Dei)에 대한 다양한 논의들이 있었는데, 하나님의 선교가 삼위일체 하나님 자체보다는 교회론과 직접적으로 연관되어 발전되어 왔고, 한국의 경우 물질주의와 타종교 이슈에 대한 적절한 답변을 제시하지 못했으며, 예수 그리스도의 구원론에 집중하면서 창조론에 대한 논의가 미약했다는 점이 제기되었다. 2009년 몽골에서 시작된 ‘은총의 숲’ 사역은 지구 온난화로 인한 몽골의 사막화를 방지하고, 몽골인에게 경제적인 도움을 주며, 무엇보다도 한국기독교의 새로운 선교방안을 제시한다. 은총의 숲은 삼위일체 하나님의 내재적인 ‘사귐’을 현지인과 피조물과 함께 생태선교로 실천하고 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Moltmann, Jürgen, "창조 안에 계신 하나님: 생태학적 창조론" 대한기독교서회 2017

      2 IPCC, "지구 온난화 1.5도" 2018

      3 Bouma-Prediger, Steven, "주님주신 아름다운 세상" 복있는 사람 2011

      4 Moltmann, Jürgen, "예수 그리스도의 길: 메시야적 차원의그리스도론" 대한기독교서회 1990

      5 Robson, George, "에딘버러대회의 역사와 기록" 미션아카데미 2012

      6 곽명근, "세계선교대회 속에 나타난 동반자 선교에 관한 연구: 암스테르담 WCC, 빌링겐 IMC, 에반스톤 WCC를 중심으로" 세계선교연구원 (57) : 129-165, 2022

      7 이종우, "생태환경 돌봄에 대한 로잔운동의 선교실천 논의" 한국선교신학회 (60) : 352-381, 2020

      8 장남혁, "생태위기에 대한 로잔운동의 선교적 대응" 한국선교신학회 (51) : 149-177, 2018

      9 김도훈, "생태신학과 생태영성" 장로회신학대학교출판부 2009

      10 Boff, Leonardo, "생태신학" 가톨릭출판사 1996

      1 Moltmann, Jürgen, "창조 안에 계신 하나님: 생태학적 창조론" 대한기독교서회 2017

      2 IPCC, "지구 온난화 1.5도" 2018

      3 Bouma-Prediger, Steven, "주님주신 아름다운 세상" 복있는 사람 2011

      4 Moltmann, Jürgen, "예수 그리스도의 길: 메시야적 차원의그리스도론" 대한기독교서회 1990

      5 Robson, George, "에딘버러대회의 역사와 기록" 미션아카데미 2012

      6 곽명근, "세계선교대회 속에 나타난 동반자 선교에 관한 연구: 암스테르담 WCC, 빌링겐 IMC, 에반스톤 WCC를 중심으로" 세계선교연구원 (57) : 129-165, 2022

      7 이종우, "생태환경 돌봄에 대한 로잔운동의 선교실천 논의" 한국선교신학회 (60) : 352-381, 2020

      8 장남혁, "생태위기에 대한 로잔운동의 선교적 대응" 한국선교신학회 (51) : 149-177, 2018

      9 김도훈, "생태신학과 생태영성" 장로회신학대학교출판부 2009

      10 Boff, Leonardo, "생태신학" 가톨릭출판사 1996

      11 Moltmann, Jürgen, "생명의 영: 총체적 성령론" 대한기독교서회 2017

      12 Moltmann, Jürgen, "삼위일체와하나님의 나라" 대한기독교서회 2017

      13 강찬수, "발원지 몽골 기온 1.7도 상승, 사막화 더 심해졌다"

      14 임희모, "몽골의 사막화방지 생태선교 -기독교환경운동연대의 ‘은총의 숲’ 프로젝트를 중심으로" 한국기독교학회 (71) : 295-319, 2010

      15 임희모, "몽골 ‘은총의 숲’ 생태선교: 북한 산림녹화 생태선교에 주는 함의" 세계선교연구원 (27) : 47-77, 2011

      16 신옥수, "몰트만 신학 새롭게 읽기" 새물결플러스 2015

      17 김영동, "동반자 선교의 신학 정립과 실천적 방향 연구" 한국선교신학회 (53) : 56-83, 2019

      18 "기환연 홈페이지"

      19 Sunquist, Scott, "기독교 선교의 이해" 주안대학원대학교출판부 2015

      20 이진형, "그린 엑소더스" 삼원사 2020

      21 백충현, "‘미시오 데이(missio Dei)’ 개념에 대한 비판적 분석: 삼위일체적 이해를위한 제언" 9 : 67-90, 2021

      22 "https://worldpopulationreview.com/world-cities/ulaanbaatar-populati on"

      23 Goodall, Norman, "Missions under the Cross" Edinburgh House Press 1953

      24 Chai, Soo-il, "Missio Dei-Its Development and Limitations in Korea" XCII (XCII): 538-549, 2003

      25 Kinurung, Maleh Maden, "Eco-Empowerment and Christian Mission" 161-195, 2010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8-25 학회명변경 영문명 : The Korean Society For Mission Studies -> The Korean Society of Mission Studies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29 1.29 1.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91 0.84 0.564 0.69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