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연구는 매체를 활용한 불교 커뮤니케이션 확산 방향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인공지능(Chat GPT) 및 A대학교 불교 동아리 소속 학생 25명을 대상으로 불교에 관한 인식을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9243452
2024
Korean
KCI등재
학술저널
187-215(29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는 매체를 활용한 불교 커뮤니케이션 확산 방향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인공지능(Chat GPT) 및 A대학교 불교 동아리 소속 학생 25명을 대상으로 불교에 관한 인식을 ...
이 연구는 매체를 활용한 불교 커뮤니케이션 확산 방향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인공지능(Chat GPT) 및 A대학교 불교 동아리 소속 학생 25명을 대상으로 불교에 관한 인식을 조사하여, 이를 기반으로 전법 및 불교의 대중화를 위한 매체 활용 불교 커뮤니케이션 확산 방향을 제안하였다. 인공지능이 분석한 불교 이미지는 대체로 인간 내면 및 예술과 같은 정신적‧감성적 측면이었다. 사람들이 내면 건강을 챙기기 위한 도구로 불교를 활용한다는 점에서 불교가 대중과의 커뮤니케이션에서 긍정적으로 작용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불교 동아리 소속 대학생은 불교가 사회에 부합하는 정도가 크기 때문에 불교 커뮤니케이션을 위해서 매체를 효과적으로 활용하면 전법을 구현하고 불교에 대한 긍정적 이미지를 높일 수 있다고 인식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제시한 불교 커뮤니케이션 확산 방향은 총 3가지이다. 첫째, 숏폼형 소셜 미디어인 릴스(인스타그램), 숏츠(유튜브), 틱톡 등의 서비스를 활용하여 다양하면서도 짧고 강렬한 콘텐츠로 불교 노출 빈도를 높여 대중들이 부담 없이 볼 수 있도록 한다. 둘째, 넓은 의미에서는 ‘공간’ 역시 ‘매체’의 한 요소이므로, ‘공간 매체’로서 장소를 활용한 문화적 커뮤니케이션이 되도록 한다. 셋째, 공신력 및 인지도 있는 불교 관련 인물을 활용하여 홍보 활동을 한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the direction of spreading Buddhist communication using media. To this end, artificial intelligence (Chat GPT) investigated the image of Buddhism, investigated the perception of Buddhism among 25 students from 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the direction of spreading Buddhist communication using media. To this end, artificial intelligence (Chat GPT) investigated the image of Buddhism, investigated the perception of Buddhism among 25 students from the Buddhist club of University A, and based on this, the direction of spreading Buddhist communication using media for the popularization of tactics and Buddhism was suggested. The images of Buddhism analyzed by artificial intelligence were generally mental and emotional aspects such as human inner and art. It was found that Buddhism can play a positive role in communicating with the public in that people use Buddhism as a tool to take care of their inner health. In addition, university students belonging to Buddhist clubs recognized that since Buddhism has a large degree of conformity with society, effectively using media for Buddhist communication can implement tactics and enhance the positive image of Buddhism. There are a total of three directions for spreading Buddhist communication based on this. First, services such as short-form social media such as Reels (Instagram), Shots (YouTube), and TikTok are used to increase the frequency of Buddhist exposure with diverse, short, and intense content so that the public can see it without burden. Second, since 'space' is also an element of 'media' in a broad sense, cultural communication is made using temples and Buddhist culture experience places as a 'space medium'. Third, public relations activities are carried out by utilizing trusted Buddhist-related figures.
불교 역사 왜곡의 현황과 실태 - 주어사, 천진암에 대한 한국천주교회의 성지화 사업을 중심으로 -
불교 명상을 활용한 자기 성찰적 글쓰기 연구 -성찰 기록문 텍스트를 중심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