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어느 인문계 고등학교의 민주시민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연구 결과 중 일부를 담고 있다. 본 연구는 2016년 7월부터 방과후 수업으로 시작된 ‘젠트리피케이션(Gentrification, 둥지 내...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2475159
2016
-
370
KCI등재
학술저널
37-64(28쪽)
3
0
상세조회0
다운로드본 연구는 어느 인문계 고등학교의 민주시민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연구 결과 중 일부를 담고 있다. 본 연구는 2016년 7월부터 방과후 수업으로 시작된 ‘젠트리피케이션(Gentrification, 둥지 내...
본 연구는 어느 인문계 고등학교의 민주시민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연구 결과 중 일부를 담고 있다. 본 연구는 2016년 7월부터 방과후 수업으로 시작된 ‘젠트리피케이션(Gentrification, 둥지 내몰림 현상) 이해를 위한 동네시장 알리기 프로젝트’에 관한 질적 사례 연구이다. 연구자는 프로젝트 수업의 주요 활동에 대한 참여관찰 및 심층면담을 통해 학생들이 해당 프로젝트 수업을 통해 어떠한 학습 경험을 얻었는지 분석하고, 이 같은 시민교육 프로젝트 수업이 민주시민교육에 대해 가지는 시사점을 논의하고자 했다. 결론적 으로, 본 연구는 학생들이 교과서 위주의 교실수업에서 얻기 힘든 몇 가지 교육적 성취( 연구계획의 수정, 교과서 밖의 시장 개념의 이해, 연구 렌즈의 초점 맞추기, 쟁점 현상의 이해 및 의사결정 수행)를 경험했다. 본 연구는 입시위주의 고등학교 환경 속에서 민주시민교육의 가능성과 한계를 동시에 발견할 수 있었으며, 이를 통해 지속가능한 민주시민교육의 정착 방안의 탐색을 제언하고자 한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qualitative case study, as a part of a larger study of a multicultural citizenship education program implemented in a college preparatory school, attempted to analyze 8 students learning experiences who had participated in a project-based afters...
This qualitative case study, as a part of a larger study of a multicultural citizenship education program implemented in a college preparatory school, attempted to analyze 8 students learning experiences who had participated in a project-based afterschool course called Advertizing Muhan Market , focusing on the phenomenon called gentrification . From August through early November, 2016, the researcher conducted partial participant observation in major activities, as well as in-depth interviews with teachers and students to identify educational achievements those students experienced and to discuss their implications for citizenship education in our schools. In sum, this study found several types of authentic learning experiences, but also detected potential limitations posed by the institutional cultures of college preparatory high schools in Korea. The findings suggest several implications for successful citizenship education in Korea’s high schools.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서울특별시교육연구정보원, "함께해요, 프로젝트 수업" 서울특별시교육연구정보원 2014
2 SBS, "한수진의 시사 전망대: 리쌍 vs 우장창창, 어떻게 해결해야 하나?"
3 이동엽, "한국 중·고등학생의 다문화 교육에 관한 연구" 한국문화관광연구원 26 (26): 254-279, 2012
4 조영달, "학교 다문화교육의 실태 분석" 한국사회과교육학회 42 (42): 151-184, 2010
5 이성대, "프로젝트 수업, 교육과정을 만나다" 행복한미래 2015
6 박순덕, "초등학교 다문화교육의 실행과 과제: 경기도 다문화교육 중점학교를 중심으로" 초등교육연구원 26 (26): 315-335, 2015
7 박윤경, "초등 사회과 다문화 교육과정 및 수업안 개발 연구" 한국사회과교육학회 43 (43): 57-90, 2011
8 최종임, "초등 다문화교육 중점학교의 운영 프로그램 분석" 교육연구소 22 (22): 179-201, 2016
9 모경환, "중등 교사들의 다문화적 인식에 대한 연구-수도권 국어사회과 교사를 중심으로-" 한국사회과교육학회 39 (39): 79-100, 2007
10 동아일보, "젠트리피케이션 뜻, 외부인 유입으로지역활성화?"
1 서울특별시교육연구정보원, "함께해요, 프로젝트 수업" 서울특별시교육연구정보원 2014
2 SBS, "한수진의 시사 전망대: 리쌍 vs 우장창창, 어떻게 해결해야 하나?"
3 이동엽, "한국 중·고등학생의 다문화 교육에 관한 연구" 한국문화관광연구원 26 (26): 254-279, 2012
4 조영달, "학교 다문화교육의 실태 분석" 한국사회과교육학회 42 (42): 151-184, 2010
5 이성대, "프로젝트 수업, 교육과정을 만나다" 행복한미래 2015
6 박순덕, "초등학교 다문화교육의 실행과 과제: 경기도 다문화교육 중점학교를 중심으로" 초등교육연구원 26 (26): 315-335, 2015
7 박윤경, "초등 사회과 다문화 교육과정 및 수업안 개발 연구" 한국사회과교육학회 43 (43): 57-90, 2011
8 최종임, "초등 다문화교육 중점학교의 운영 프로그램 분석" 교육연구소 22 (22): 179-201, 2016
9 모경환, "중등 교사들의 다문화적 인식에 대한 연구-수도권 국어사회과 교사를 중심으로-" 한국사회과교육학회 39 (39): 79-100, 2007
10 동아일보, "젠트리피케이션 뜻, 외부인 유입으로지역활성화?"
11 김현아, "젠트리피케이션" 커뮤니케인션북스 2016
12 김명정, "사회과 교육과정에 나타난 시민교육 목표와 내용의 변천 -고등학교 일반사회 영역을 중심으로-" 한국사회과교육학회 44 (44): 1-28, 2012
13 배현주, "미디어를 활용한 다문화교육의 가능성 모색" 교육연구소 15 (15): 139-164, 2009
14 전영은, "문화예술 체험활동 ‘국경없는마을 RPG’ 참여 고등학생의 다문화경험에 관한 연구" 한국문화교육학회 8 (8): 55-77, 2013
15 정원오, "도시의 역설, 젠트리피케이션" 후마니타스 2016
16 은지용, "다문화적 인성 발달 이론에 기반한 다문화 학습 모형 탐색" 한국사회과교육학회 41 (41): 107-139, 2009
17 조대훈, "다문화사회 이야기: 방과 후 다문화 수업에 관한 질적 사례 연구" 한국사회과교육연구학회 51 (51): 147-162, 2012
18 김효선, "다문화교육 중점학교 교육 프로그램 운영 현황 및 발전 방향에 대한 연구 - 우수 학교를 중심으로 -" 한국교육과정평가원 19 (19): 73-96, 2016
19 허창수, "다문화교육 교사연수 프로그램 분석을 통한 교육과정 제언" 한국교육과정학회 28 (28): 77-101, 2010
20 정지현, "다문화 리터러시 교육 프로그램 참여 고등학생의 다문화 인식에 관한 연구" 한국열린교육학회 22 (22): 19-41, 2014
21 정지현, "다문화 리터러시 교육 참여 고등학생의 ‘세계시민 되기’의 의미"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5 (15): 323-350, 2015
22 최안복, "다문화 교육프로그램이 유아의 국가정체성 및 인종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효과" 교육문제연구소 47 : 159-192, 2010
23 나장함, "다문화 교육 관련 다양한 접근법에 대한 분석 :이론과 교육과정 변형을 중심으로" 한국사회과교육연구학회 49 (49): 97-119, 2010
24 나장함, "다문화 교사교육과정 연구에 대한 분석" 한국교육과정학회 29 (29): 173-197, 2011
25 안병환, "고등학교 학생들의 다문화교육에 대한 인식과 태도 연구" 한국홀리스틱융합교육학회 16 (16): 43-66, 2012
26 조대훈, "고등학교 「사회」 교과서에 나타난 다문화교육의 관점 분석" 교육문제연구소 59 : 67-87, 2014
27 머니투데이, "가수 리쌍-우장창창 퇴거논란…'강제집행'이 뭐길래"
28 국민일보, "“당신, 약자 맞습니까?” 을질 논란차가워지는 시선"
29 Bogdan, R. C., "Qualitative research for education : An introduction to theory and methods" Allyn and Bacon 2003
30 Patton, M. Q., "Qualitative research & evaluation methods : integrating theory and practice" Sage 2015
31 Kvale, S., "InterViews : An introduction to qualitative research interviewing" Sage 1996
32 LeCompte, M. D., "Ethnography and Qualitative Design in Educational research" Academic Press 2003
학교 인권 교육 개선을 위한 중학교 사회 교과서 분석 연구
도덕과 자유학기제 실시 현황 및공동체교육으로의 가능성 모색
예비교사와 경력교사의 교육과정 문해력 수준 비교에 대한 사례 연구* - 국어교과를 중심으로 -
학술지 이력
|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 2016-02-18 | 학술지명변경 | 외국어명 : 미등록 -> EDUCATIONAL RESEARCH | ![]() |
| 2014-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 |
| 2013-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 2012-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 ![]() |
| 2011-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 ![]() |
| 2009-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 2016 | 0.78 | 0.78 | 0.72 |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 0.66 | 0.65 | 0.972 | 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