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전위차법을 이용한 페놀성 두 팔을 가진 크라운계 화합물과 전이금속과의 착물에 관한 연구 = A Potentiometric Study on the Complex between Diazacrown Ethers Containing Phenolic Side Arms and Transition Metal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3001475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페놀성 양팔을 가진 4,13 디아자-18-크라운-6-에테르계 리간드 2-6을 Mannich 반응을 통해 합성하였으며, 리간드와 금속 이온간의 착물 형성에 있어서 리간드에 양팔로 존재하는 페놀기의 영향과 디아자 크라운고리의 효과를 비교하기 위해서 모델화합물 7과 8을 합성하였다. 리간드의 양성자 첨가 평형상수와 금속 착물의 안정수 상수를 95% 메탄올 용액에서 전위차 적정법으로 측정한 결과, 염기성 조건에서 리간드 2-6과 전이금속 이온간의 안정도 상수의 크기는 Co^2-<Ni^2-<Cu^2- 순서였으며, 이는 William-Irving의 안정도 순서와 일치하였다. 페놀성 양팔을 갖는 리간드 2-6은 팔이 없는 거대고리 리간드 1 또는 벤질기가 양팔로 존재하는 리간드 7보다는 안정도 상수가 크나, 거대고리는 없고 페놀성 양팔이 있는 리간드 8의 안정도 상수와는 근사한 값을 갖는다. 이와 같은 사실은 금속이온과의 착물형성 시 리간드 양팔에 달려 있는 페놀성 음이온이 아자크라운 고리 보다 더 큰 역할을 함을 말해주는 것이다. 양팔에 para 치환체를 가지는 다섯 종류의 리간드 2-6과 여러 가지 금속 이온간의 착물 형성시 페놀고리에 전자를 끄는 기로 치환된 리간드가 전자를 주는 기로 치환된 리간드보다 큰 안정도 상수를 가짐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치환기 효과는, 페놀 고리에 전자 주는 기가 있으면 페놀 고리 내에 전자밀도가 커짐으로 인해 양성자성 용매가 페놀성 음이온을 더욱 세게 용매화하는 소위 용매효과에 의한 것으로 여겨진다.
      번역하기

      페놀성 양팔을 가진 4,13 디아자-18-크라운-6-에테르계 리간드 2-6을 Mannich 반응을 통해 합성하였으며, 리간드와 금속 이온간의 착물 형성에 있어서 리간드에 양팔로 존재하는 페놀기의 영향과 ...

      페놀성 양팔을 가진 4,13 디아자-18-크라운-6-에테르계 리간드 2-6을 Mannich 반응을 통해 합성하였으며, 리간드와 금속 이온간의 착물 형성에 있어서 리간드에 양팔로 존재하는 페놀기의 영향과 디아자 크라운고리의 효과를 비교하기 위해서 모델화합물 7과 8을 합성하였다. 리간드의 양성자 첨가 평형상수와 금속 착물의 안정수 상수를 95% 메탄올 용액에서 전위차 적정법으로 측정한 결과, 염기성 조건에서 리간드 2-6과 전이금속 이온간의 안정도 상수의 크기는 Co^2-<Ni^2-<Cu^2- 순서였으며, 이는 William-Irving의 안정도 순서와 일치하였다. 페놀성 양팔을 갖는 리간드 2-6은 팔이 없는 거대고리 리간드 1 또는 벤질기가 양팔로 존재하는 리간드 7보다는 안정도 상수가 크나, 거대고리는 없고 페놀성 양팔이 있는 리간드 8의 안정도 상수와는 근사한 값을 갖는다. 이와 같은 사실은 금속이온과의 착물형성 시 리간드 양팔에 달려 있는 페놀성 음이온이 아자크라운 고리 보다 더 큰 역할을 함을 말해주는 것이다. 양팔에 para 치환체를 가지는 다섯 종류의 리간드 2-6과 여러 가지 금속 이온간의 착물 형성시 페놀고리에 전자를 끄는 기로 치환된 리간드가 전자를 주는 기로 치환된 리간드보다 큰 안정도 상수를 가짐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치환기 효과는, 페놀 고리에 전자 주는 기가 있으면 페놀 고리 내에 전자밀도가 커짐으로 인해 양성자성 용매가 페놀성 음이온을 더욱 세게 용매화하는 소위 용매효과에 의한 것으로 여겨진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aminomethylation of phenols with para-substituents by the Mannich reaction has successfully been accomplished to produce tin1 Mannich bases 2-6. The compounds 7-8 have been also synthesized in order to identify the effect of side arms and the macrocycle in the complex formation. The protonation constants of ligands and stability constants of the double armed 4,13-diaza-18-crown-6-ethers containing nitrogen and oxygen donors with metal ions have been determined by potentiometric method at 25℃ in 95% methanol solution. Under the basic condition, the double-armed crown ethers 2-6 revealed stronger interaction with divalent metal ions than the simple monocyclic crown ether 1. The stability constants for these metal ions were Co^2-<Ni^2-<Cu^2->Zn^2- in increasing order, which were in accordance with Williams-Irving series. It is noteworthy that the ligands 2-6, which have phenolic side arms and a macrocycle, bound strongly with metal ions than the ligand 1 and 7. On the other hand, the ligand 8, which has phenolic side arms with a pyperazine ring provided comparable stability constants to those with the ligands 2-6. This fact demonstrates that phenolic side arms play more important role than the aza-crown ether ring in the process of making a complex with metal ions especially in the basic condition. In particular, the log K_ML values for complexation of divalent metal ions with the ligands 2-6 had the sequence, ie., 2(R=OCH_3) <3(R=CH_3) <4(R=H) <5(R=Cl) <6(R=CF_3). The stability currants of ligands containing electron-withdrawing group showed larger stability constants than ligands containing of electron donating group. This substituent effect is attributed to the solvent effect in that the aryl oxide with an electron donating group has a tendency to be tied strongly with protic solvents.
      번역하기

      The aminomethylation of phenols with para-substituents by the Mannich reaction has successfully been accomplished to produce tin1 Mannich bases 2-6. The compounds 7-8 have been also synthesized in order to identify the effect of side arms and the macr...

      The aminomethylation of phenols with para-substituents by the Mannich reaction has successfully been accomplished to produce tin1 Mannich bases 2-6. The compounds 7-8 have been also synthesized in order to identify the effect of side arms and the macrocycle in the complex formation. The protonation constants of ligands and stability constants of the double armed 4,13-diaza-18-crown-6-ethers containing nitrogen and oxygen donors with metal ions have been determined by potentiometric method at 25℃ in 95% methanol solution. Under the basic condition, the double-armed crown ethers 2-6 revealed stronger interaction with divalent metal ions than the simple monocyclic crown ether 1. The stability constants for these metal ions were Co^2-<Ni^2-<Cu^2->Zn^2- in increasing order, which were in accordance with Williams-Irving series. It is noteworthy that the ligands 2-6, which have phenolic side arms and a macrocycle, bound strongly with metal ions than the ligand 1 and 7. On the other hand, the ligand 8, which has phenolic side arms with a pyperazine ring provided comparable stability constants to those with the ligands 2-6. This fact demonstrates that phenolic side arms play more important role than the aza-crown ether ring in the process of making a complex with metal ions especially in the basic condition. In particular, the log K_ML values for complexation of divalent metal ions with the ligands 2-6 had the sequence, ie., 2(R=OCH_3) <3(R=CH_3) <4(R=H) <5(R=Cl) <6(R=CF_3). The stability currants of ligands containing electron-withdrawing group showed larger stability constants than ligands containing of electron donating group. This substituent effect is attributed to the solvent effect in that the aryl oxide with an electron donating group has a tendency to be tied strongly with protic solvents.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