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외국인 대학원생의 실시간 온라인 토론 경험 연구 = A study on the online synchronous discussion experience of foreign graduate student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89116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목적 본 연구는 국내 외국인 대학원생의 실시간 온라인 토론 경험을 통해 토론 수행 과정에서 방해요소가 존재하는지를 파악하고, 이에 적절한 실시간 온라인 토론 교육을 위한 시사점을 도...

      목적 본 연구는 국내 외국인 대학원생의 실시간 온라인 토론 경험을 통해 토론 수행 과정에서 방해요소가 존재하는지를 파악하고, 이에 적절한 실시간 온라인 토론 교육을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방법 국내 K대학의 외국인 대학원생 3명을 유의적 표집한 후 세 차례의 면담과 추가 검토를 통해 질적 자료를 수집하는 내러티브 연구를 진행하였고, 연구 참여자의 실시간 온라인 토론에 대한 경험에서 나타나는 공통된 방해요소를 도출하기 위해 내용 분석법을 활용하였다. 결과 외국인 대학원생은 실시간 온라인 토론 수행 중 많은 토론 참여자의 수로 인한 의사소통의 어려움, 비언어적 표현의 부재, 순서 교대의 복잡성, 토론 진행과 평가에 소홀한 교수자, 컴퓨터 기반 의사소통의 기술적 어려움이라는 방해요소를 경험하였고, 이로 인해 언어적인 어려움과 인지적⋅행동적 불안이 동반되었다. 결론 외국인 대학원생이 원활하게 실시간 온라인 토론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학습자의 경험을 통해 인한 여러 방해요소를 해소할 수 있는 적절한 교육 방안 마련이 필요하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Objectives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identify the existence of difficulties in the online synchronous discussion through the experience of online synchronous discussion by foreign graduate students in Korea and derive implications for proper ...

      Objectives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identify the existence of difficulties in the online synchronous discussion through the experience of online synchronous discussion by foreign graduate students in Korea and derive implications for proper online synchronous discussion education. Methods After purposive sampling three foreign graduate students from K university in Korea, a narrative study was conducted to collect qualitative data through three interviews and additional reviews and content analysis was used to derive common obstacles that appear in the study participants online synchronous discussion experience. Results Foreign graduate students experienced difficulties in communication due to the number of participants in online synchronous discussion, lack of non-verbal expression, complexity of sequencing, professors who were negligent in discussion progression and evaluation, and technical difficulties in computer-based communication. Conclusions In order to conduct online synchronous discussion smoothly for foreign graduate students, it is necessary to come up with appropriate education measures to address various difficulties appearing in the learners experience.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강숙희, "효과적인 온라인 토론전략에 대한 예비교사들의 인식 연구" 한국교원교육학회 29 (29): 175-194, 2012

      2 김지애, "한국어 학습자의 학문적 구술력 연구"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6

      3 이윤정, "학습자의 심리적 특성을 고려한 사회과 온라인 토론학습 전략" 한국사회과교육연구학회 53 (53): 143-162, 2014

      4 한하림, "학문 목적 한국어 학습자의 토론 불안 연구" 이중언어학회 (71) : 333-360, 2018

      5 이선영, "학문 목적 한국어 학습자의 말하기 불안 통제 전략 사용 양상" 우리어문학회 (56) : 321-352, 2016

      6 곽도형, "퍼실리테이션(Facilitation)을 활용한 외국인대학원생 대상 학문적 토론 수업 구성 연구" 고려대학교 대학원 2021

      7 김영천, "질적연구방법론Ⅰ: Bricoleur" 아카데미프레스 2016

      8 유기웅, "질적 연구방법의이해" 박영스토리 2021

      9 전형길, "중국인 학부생의 한국어 말하기 불안 요인 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 (20): 89-110, 2020

      10 김정란, "중국인 유학생의 경험 내러티브에 나타난 한국어 말하기 불안 연구" 한민족어문학회 (90) : 45-78, 2020

      1 강숙희, "효과적인 온라인 토론전략에 대한 예비교사들의 인식 연구" 한국교원교육학회 29 (29): 175-194, 2012

      2 김지애, "한국어 학습자의 학문적 구술력 연구"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6

      3 이윤정, "학습자의 심리적 특성을 고려한 사회과 온라인 토론학습 전략" 한국사회과교육연구학회 53 (53): 143-162, 2014

      4 한하림, "학문 목적 한국어 학습자의 토론 불안 연구" 이중언어학회 (71) : 333-360, 2018

      5 이선영, "학문 목적 한국어 학습자의 말하기 불안 통제 전략 사용 양상" 우리어문학회 (56) : 321-352, 2016

      6 곽도형, "퍼실리테이션(Facilitation)을 활용한 외국인대학원생 대상 학문적 토론 수업 구성 연구" 고려대학교 대학원 2021

      7 김영천, "질적연구방법론Ⅰ: Bricoleur" 아카데미프레스 2016

      8 유기웅, "질적 연구방법의이해" 박영스토리 2021

      9 전형길, "중국인 학부생의 한국어 말하기 불안 요인 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 (20): 89-110, 2020

      10 김정란, "중국인 유학생의 경험 내러티브에 나타난 한국어 말하기 불안 연구" 한민족어문학회 (90) : 45-78, 2020

      11 교육부, "일반대학의 원격수업 운영 기준"

      12 김수현, "웹기반 비동기적 토론에서 토론촉진전략의 유형에 따른 학습자의 사회적 실재감, 상호작용, 만족도, 학업 성취에 대한 효과"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 12 (12): 299-321, 2006

      13 권성호, "웹기반 가상교육에서 협력적 상호작용 촉진을 위한 학습자 지원전략 개발 : 튜터의 역할을 중심으로" 17 (17): 91-106, 2001

      14 박상훈, "원격교육수업 실행 방안" KREIS 한국교육학술정보원 2020

      15 두이령, "외국인 대학원생을 위한 학문적 토론하기 과제 구성 방안 연구"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8

      16 정은주, "온라인 한국어 수업의 교수실재감 향상을 위한 항목 선정 연구" 한국언어문화교육학회 16 (16): 283-312, 2020

      17 진성희, "온라인 토론활동 참여정보에 대한 피드백 유형이 학습참여 및 학습성과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육공학회 36 (36): 561-588, 2020

      18 이옥화, "온라인 수업의 실시간 토론 내용 분석" 한국교육공학회 19 (19): 29-50, 2003

      19 민경아, "실시간 원격 화상 한국어 강의에서의 상호작용에 대한 학습자와 교사 인식 연구" 국제한국언어문화학회 17 (17): 1-36, 2020

      20 이은성, "실시간 온라인 화상 수업 효과 연구 -한국어 학업 성취도와 학습자 만족도를 기준으로-" 이중언어학회 (81) : 269-287, 2020

      21 노정은, "실시간 온라인 한국어 수업 환경에서의 교수자 및 학습자 인식에 대한 사례 연구" 국제한국어교육학회 31 (31): 21-53, 2020

      22 Ayres, J., "말하기 불안 어떻게 극복하는가" 한국문화사 2008

      23 김혜민, "독일 대학 교육에서의 온라인 한국어 수업 운영 사례와 시사점 - 튀빙겐대학교 한국학과를 중심으로 -" 국어교육연구소 (46) : 173-207, 2020

      24 강성배, "대학 온라인 원격수업에 대한 운영 및 만족도 연구: 실시간, 비실시간 원격수업을 중심으로" 한국문화융합학회 43 (43): 15-30, 2021

      25 구양미, "구조화된 상호작용과 의사소통을 촉진하기 위한 육색사고모자 온라인 실시간 토론 도구 개발" 한국정보교육학회 16 (16): 107-121, 2012

      26 Dillon, J. T., "Using discussion in classroom" Open University Press 1994

      27 Koivisto, J., "The rise of Motivational Information Systems : A Review of Gamification Research" 45 : 191-210, 2019

      28 Rachman, S., "The passing of the two-stage theory of fear and avoidance : fresh possibilities" 14 (14): 125-131, 1976

      29 Douglas, A., "The Three Systems Model of Fear and Anxiety : Implications for Assessment of Social Anxiety" 16 (16): 15-22, 1988

      30 Rashid, T., "Technology use, Self-directed Learning, Student Engagement and Academic Performance : Examining the Interrelations" 63 : 604-612, 2016

      31 Daly, J. A., "Self-focused attention and public speaking anxiety" 10 (10): 903-913, 1989

      32 Wang, C., "Questioning skills facilitate online synchronous discussions" 21 : 303-313, 2005

      33 Harasim, L. M., "Online education : Perspectives on a new environment" Greenwood Publishing Group Inc 1990

      34 Bruner, J., "Life as narrative" 54 : 11-32, 1987

      35 Marjanovic, O., "Learning about teaching in a synchronous collaborative environment" 15 : 129-138, 1999

      36 Lang, P. J., "Handbook of psychotherapy and behavior change" Wiley 75-125, 1971

      37 Connelly, F. M., "Handbook of complementary methods in education research" Lawrence Erlbaum 477-487, 2006

      38 Frankland, T., "English-major community college presidents : A narrative inquiry" 37 (37): 243-260, 2010

      39 Salmon, G., "E-moderating : the key to teaching and learning online" Routledge 2000

      40 Hara, N., "Content analysis of online discussion in an applied educational psychology course" 28 (28): 115-152, 2000

      41 Rapport, M., "Computer mediated communication : Bulletin boards, computer conferencing, electronic mail, information retrieval" Wiley & Sons 1991

      42 Orvis, K. L., "Communication Patterns during Synchronous Web-based Military Training in Problem Solving" 18 : 783-795, 2002

      43 Herni, F., "Collaborative learning through computer conferencing: The Najaden papers" Springer 115-136, 1992

      44 Chen, N. -S., "A model for synchronous learning using the internet" 42 (42): 181-194, 2005

      45 이신모, "4차 산업혁명 사전대응태도와 대학교육 변화방향" 한국경영교육학회 33 (33): 107-131, 2018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6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 The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29 1.29 1.3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37 1.42 1.436 0.3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