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독일의 新思潮 행정법학 사반세기 – 평가와 전망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26927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행정법학에서 법학방법론을 완성시킨 오토마이어는 실정법의 규정이나 체계와는 무관하게 매우 추상적인 개념적 요소로 구성된 행정행위라는 법적 행위형식을 상정함에 따라서 당시 행정...

      행정법학에서 법학방법론을 완성시킨 오토마이어는 실정법의 규정이나 체계와는 무관하게 매우 추상적인 개념적 요소로 구성된 행정행위라는 법적 행위형식을 상정함에 따라서 당시 행정법학의 방법론과 도그마는 매우 추상적인 차원의 체계화를 지향하였다. 이와 같은 오토마이어의 법학방법론은 독일행정법학사에 큰 획을 긋는 업적을 이룬 것으로 오늘날 평가할 수 있다. 무엇보다도 확인가능하고 윤곽이 뚜렷한 법적 형식을 상정하고 여기에 인정되는 독특한 효력을 부여하며, 이를 대상으로 하는 권리구제방식을 마련함으로서 행정법학이 하나의 학문분야로서 정체성을 가질 수 있는 토대를 구축하였다는 점에서 그 가치와 존재의의를 인정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법학방법론은 모든 법학의 연구 분야에서 법적용과 법해석에 과도한 비중을 둔 나머지 입법론이나 법사회학적인 방법론은 전적으로 관심의 대상밖에 두었다. 이와 같은 이유 때문에 고전적인 법학방법론은 행정법학의 기능을 법적 형식론과 법적용과 법해석을 위한 보조적 기능에 국한하는 편협함을 벗어나지 못한다. 기존의 전통적인 법학방법론과 행정법이론은 오늘날의 복잡하고 多岐한 현대국가에서 발생하는 문제를 적절하게 포착하고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필요한 인적, 물적 인프라를 서로 연결하고 공동체와 국민에게 필요한 최적의 결과를 도출하는 데에는 근본적인 한계를 드러낸 것이 분명하다. 이와 같은 상황 하에서 자연스럽게 행정법과 행정법학의 기능을 새롭게 정립하고 이른바 제어학으로서의 신사조 행정법학이라는 방법론이 등장한 배경이 된 것이다. 특정 시스템이나 제도를 작동시키고 일정한 결과를 도출하기 위하여 다양한 행위주체에게 지속적인 영향력을 행사하는 것, 그것이 제어이며, 이러한 제어의 수단이 바로 행정법이고, 그러한 현상을 연구하고 일정한 도그마를 만들어 내는 것이 행정법학이다. 제어라는 의미를 “무엇인가 결과를 도출하도록 하는 것”이라는 의미로 사용하기도 한다. 즉 특정한 과제를 처리하여 최적의 결과를 얻기 위해서 행정법은 실정법의 해석과 적용에만 매달리지 않고 규범적인 관점을 입법과 행정을 통하여 적극적으로 실현한다. 이러한 점에서 주로 행정의 법형식과 그 하자에 따르는 권리구제를 위하여 법원이 주도적 역할을 수행하는 법학방법론과 확연하게 구별된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초록
      • Ⅰ. 문제의 제기
      • Ⅱ. 신사조 행정법의 등장 배경
      • Ⅲ. 조직과 절차를 통한 법형성
      • IV. 독일행정법의 글로벌화와 유럽화
      • 국문초록
      • Ⅰ. 문제의 제기
      • Ⅱ. 신사조 행정법의 등장 배경
      • Ⅲ. 조직과 절차를 통한 법형성
      • IV. 독일행정법의 글로벌화와 유럽화
      • V. 맺는 말
      • 참고문헌
      • Zusammenfassung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Schoch Friedrich, "Zur Europäisierung des Verwaltungsrechts" 21 : 2014

      2 Kaufmann Erich, "Worterbuch des Deutschen Staatsund Verwaltungsrechts" 1914

      3 Schmitt-Aßmann Eberhard, "Wege und Verfahren des Verfassungslebens, FS" Peter Lerche 1993

      4 Kim, Sung-Soo, "Vom paternalistischen zum partnerschaftlichen Rechtsstaat. Entwicklungen im öffentlichen Recht Koreas und Japans an der Schwelle zum 21. Jahrhundert" Nomos Verlag 2000

      5 Burgi Martin, "Verwaltungsverfahrensrecht zwischen europäischem Umsetzungsdruck und natinalem Gestaltungsunwillen" 2010

      6 Schwarze J., "Verfassungsstaatlichkeit im Wandel, FS" Thomas Württenberger

      7 Schulte Martin, "Schlichtes Verwaltungshandeln" 1995

      8 Hermann Hill, "Renaissance einer rationalen Politikgestaltung" FS Klaus König

      9 Hoffmann-Riem Wolfgang, "Reform des allgemeinen Verwaltungsrechts" 1993

      10 Schuppert Gunnar Folke, "Reform des Allgemeinen Verwaltungsrechts"

      1 Schoch Friedrich, "Zur Europäisierung des Verwaltungsrechts" 21 : 2014

      2 Kaufmann Erich, "Worterbuch des Deutschen Staatsund Verwaltungsrechts" 1914

      3 Schmitt-Aßmann Eberhard, "Wege und Verfahren des Verfassungslebens, FS" Peter Lerche 1993

      4 Kim, Sung-Soo, "Vom paternalistischen zum partnerschaftlichen Rechtsstaat. Entwicklungen im öffentlichen Recht Koreas und Japans an der Schwelle zum 21. Jahrhundert" Nomos Verlag 2000

      5 Burgi Martin, "Verwaltungsverfahrensrecht zwischen europäischem Umsetzungsdruck und natinalem Gestaltungsunwillen" 2010

      6 Schwarze J., "Verfassungsstaatlichkeit im Wandel, FS" Thomas Württenberger

      7 Schulte Martin, "Schlichtes Verwaltungshandeln" 1995

      8 Hermann Hill, "Renaissance einer rationalen Politikgestaltung" FS Klaus König

      9 Hoffmann-Riem Wolfgang, "Reform des allgemeinen Verwaltungsrechts" 1993

      10 Schuppert Gunnar Folke, "Reform des Allgemeinen Verwaltungsrechts"

      11 Hoffmann-Riem Wolfgang, "Offene Rechtswissenschaft" 2010

      12 Bumke Christian, "Methoden der Verwaltungsrechtswissenschaft" 73-, 2004

      13 Bredemeier B., "Kommunikative Verfahrenshandlungen im deutschen und europäischen Verwaltungsrecht" Mohr Siebeck 2007

      14 Ritter Ernst-Hasso, "Integratives Management und Strategieentwicklung in der staatlichen Verwaltung" 93-, 2003

      15 Kahl W., "Grundrechtsschutz durch Verfahren in Deutschland und in der EU" 2004

      16 Bumke Christian, "Grundlagen des Verwaltungsrechts, 제3권"

      17 Voßkuhle Andreas, "Grundlagen des Verwaltungsrechts, 제1권"

      18 Danwitz T. v., "Europäisches Verwaltungsrecht" 2008

      19 Gurlit Elke, "Eigenwert des Verfahrens im Verwaltungsrecht" 70 :

      20 Wahl Rainer, "Die Rechtsbildung in Europa als Entwicklungslabor" 2012

      21 Ritter Ernst-Hasso, "Der koperative Staat. Bemerkungen zum Verhältnis von Staat und Wirtschaft" 104 : 1979

      22 Schmitt-Aßmann Eberhard, "Das Europäische Verwaltungsrecht in der Konsolidi erungsphase" Die Verwaltung Beiheft 2010

      23 Kokott J., "Das BVerwG und das europäische Umweltrecht" 2013

      24 Wahl Rainer, "Allgemeines Verwaltungsrecht – zur Tragfähigkeit eines Konzepts" Mohr Siebeck 2008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5-05-26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kangwon Law Review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92 0.92 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93 0.86 1.122 0.4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