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이 존재하는가’라는 문제에 관하여 토마스 아퀴나스(1225-1274)는 『신학대전』 제1부 제2문에서 소위 “다섯 가지 길들”을 통하여 신의 존재가 증명될 수 있다고 대답한다. 첫 번째 길...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1740605
2015
English
231.05
KCI등재
학술저널
65-89(25쪽)
0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신이 존재하는가’라는 문제에 관하여 토마스 아퀴나스(1225-1274)는 『신학대전』 제1부 제2문에서 소위 “다섯 가지 길들”을 통하여 신의 존재가 증명될 수 있다고 대답한다. 첫 번째 길...
‘신이 존재하는가’라는 문제에 관하여 토마스 아퀴나스(1225-1274)는 『신학대전』 제1부 제2문에서 소위 “다섯 가지 길들”을 통하여 신의 존재가 증명될 수 있다고 대답한다. 첫 번째 길은 운동으로부터 시작하여 부동의 제일운동자에게로 나아간다. 두 번째 길은 작용인으로부터 시작하여 제일원인에게로 나아간다. 세 번째 길은 가능성으로부터 시작하여 필연적 존재에로 나아간다. 네 번째 길은 부분적 완전성으로부터 시작하여 완전성에로 나아간다. 마지막으로, 다섯 번째 길은 세계의 통치로부터 시작하여 지적인 존재에로 나아간다.
이 다섯 가지 길들의 증명의 본성에 관하여 많은 논의들이 있어 왔다. 이 논문은 토마스가 “신의 존재(Dei esse, the existence of God)”라는 구절 대신에 “신이 존재한다(Deum esse, God exists)”는 구절을 사용하고 있음에 기본적으로 주목하면서, 이것들의 증명이 지닌 특성들을 탐구하고자 시도한다.
이를 위하여 이 논문은 토마스가 『신학대전』에서 거룩한 학문과 증명을 논의한 문맥 안에서 다섯 가지 길들을 검토한다. 그 결과로 “신이 존재한다”를 주장하는 증명이 지닌 한계들을 발견하게 된다. 다섯 가지 길들을 통하여 우리는 신의 존재 또는 본질을 알지는 못하고, 다만 “신이 존재한다”는 점을 안다. 다섯 가지 길들은 신이 누구이신지를 완전히 다 보여주지는 않는다. 다만, 신이 존재하는 방식들의 몇몇 측면들만을 보여줄 뿐이다.
이러한 까닭에 토마스는 다섯 가지 길들의 각각의 결론에서 이러한 존재가 신이다(This is God)라고 말하기를 피하고, 그 대신에 이러한 존재를 사람들이 신이라고 일컫는다(This being people call God)라고 느슨하게 표현한다. 그렇지만 이러한 한계들에도 불구하고, 다섯 가지 길들이 “신이 존재한다”는 점을 우리가 일반적으로 애매하게 아는 앎으로부터, “신이 존재한다”는 점을 절대적으로 아는 앎으로 좀 더 가까이 이끌어갈 수 있는 가능성이 여전히 있음을 또한 인정할 필요가 있다.
국문 초록 (Abstract)
‘신이 존재하는가’라는 문제에 관하여 토마스 아퀴나스(1225-1274)는 『신학대전』 제1부 제2문에서 소위 “다섯 가지 길들”을 통하여 신의 존재가 증명될 수 있다고 대답한다. 첫 번째 길...
‘신이 존재하는가’라는 문제에 관하여 토마스 아퀴나스(1225-1274)는 『신학대전』 제1부 제2문에서 소위 “다섯 가지 길들”을 통하여 신의 존재가 증명될 수 있다고 대답한다. 첫 번째 길은 운동으로부터 시작하여 부동의 제일운동자에게로 나아간다. 두 번째 길은 작용인으로부터 시작하여 제일원인에게로 나아간다. 세 번째 길은 가능성으로부터 시작하여 필연적 존재에로 나아간다. 네 번째 길은 부분적 완전성으로부터 시작하여 완전성에로 나아간다. 마지막으로, 다섯 번째 길은 세계의 통치로부터 시작하여 지적인 존재에로 나아간다.
이 다섯 가지 길들의 증명의 본성에 관하여 많은 논의들이 있어 왔다. 이 논문은 토마스가 “신의 존재(Dei esse, the existence of God)”라는 구절 대신에 “신이 존재한다(Deum esse, God exists)”는 구절을 사용하고 있음에 기본적으로 주목하면서, 이것들의 증명이 지닌 특성들을 탐구하고자 시도한다.
이를 위하여 이 논문은 토마스가 『신학대전』에서 거룩한 학문과 증명을 논의한 문맥 안에서 다섯 가지 길들을 검토한다. 그 결과로 “신이 존재한다”를 주장하는 증명이 지닌 한계들을 발견하게 된다. 다섯 가지 길들을 통하여 우리는 신의 존재 또는 본질을 알지는 못하고, 다만 “신이 존재한다”는 점을 안다. 다섯 가지 길들은 신이 누구이신지를 완전히 다 보여주지는 않는다. 다만, 신이 존재하는 방식들의 몇몇 측면들만을 보여줄 뿐이다.
이러한 까닭에 토마스는 다섯 가지 길들의 각각의 결론에서 이러한 존재가 신이다(This is God)라고 말하기를 피하고, 그 대신에 이러한 존재를 사람들이 신이라고 일컫는다(This being people call God)라고 느슨하게 표현한다. 그렇지만 이러한 한계들에도 불구하고, 다섯 가지 길들이 “신이 존재한다”는 점을 우리가 일반적으로 애매하게 아는 앎으로부터, “신이 존재한다”는 점을 절대적으로 아는 앎으로 좀 더 가까이 이끌어갈 수 있는 가능성이 여전히 있음을 또한 인정할 필요가 있다.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박욱주, "종교경험의 가능근거인 표상을 향한 정향성(Conversio ad Phantasma) 연구: 아퀴나스와 칸트 인식론에 대한 칼 라너의 실존론적 통찰을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신과대학 연합신학대학원 77 : 65-103, 2014
2 Kim, Okjoo, "Understanding of the Procession of the Holy Spirit from the Son: Focusing on the Doctrine of Trinity of Thomas Aquinas" 80 (80): 79-110,
3 Kennedy, Leonard A, "Thomistic Papers Ⅳ" University of Notre Dame Press 1988
4 Connell, Richard, "Thomistic Papers Ⅳ" Center for Thomistic Studies 129-168, 1988
5 Knasas, John F. X, "Thomistic Existentialism and the Silence of the Quinque Viae" 63 (63): 157-171,
6 Aquinas, Thomas. St, "Thomas Aquinas Summa Theologiae Vol.1" Blackfriars 1964
7 Kerr, Fergus, "Theology in Philosophy: Revisiting the Five Ways" 50 : 115-130, 2001
8 Edwards, Rem B, "The Validity of Aquinas’ Third Way" 41 (41): 117-126,
9 Quinn, John M., "The Third Way to God: A New Approach" 42 (42): 50-68,
10 Prado, C. G, "The Third Way Revisited" 45 (45): 495-501,
1 박욱주, "종교경험의 가능근거인 표상을 향한 정향성(Conversio ad Phantasma) 연구: 아퀴나스와 칸트 인식론에 대한 칼 라너의 실존론적 통찰을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신과대학 연합신학대학원 77 : 65-103, 2014
2 Kim, Okjoo, "Understanding of the Procession of the Holy Spirit from the Son: Focusing on the Doctrine of Trinity of Thomas Aquinas" 80 (80): 79-110,
3 Kennedy, Leonard A, "Thomistic Papers Ⅳ" University of Notre Dame Press 1988
4 Connell, Richard, "Thomistic Papers Ⅳ" Center for Thomistic Studies 129-168, 1988
5 Knasas, John F. X, "Thomistic Existentialism and the Silence of the Quinque Viae" 63 (63): 157-171,
6 Aquinas, Thomas. St, "Thomas Aquinas Summa Theologiae Vol.1" Blackfriars 1964
7 Kerr, Fergus, "Theology in Philosophy: Revisiting the Five Ways" 50 : 115-130, 2001
8 Edwards, Rem B, "The Validity of Aquinas’ Third Way" 41 (41): 117-126,
9 Quinn, John M., "The Third Way to God: A New Approach" 42 (42): 50-68,
10 Prado, C. G, "The Third Way Revisited" 45 (45): 495-501,
11 Braine, David, "The Reality of Time and the Existence of God: The Project of Proving God's Existence" Clarendon Press 1988
12 Lauer, Rosemary, "The Notion of Efficient Cause in the Secunda Via" 38 (38): 754-767,
13 Kenny, Anthony, "The Five Ways: St. Thomas Aquinas’s Proofs of God’s Existence" Routledge & Kegan Paul 1969
14 Connolly, Thomas Kevin, O.P, "The Basis of the Third Proof for the Existence of God" 17 (17): 281-349,
15 Kelly, Charles J, "Some Fallacies in the First Movement of Aquinas’ 3rd Way" 12 (12): 39-54, 1981
16 Velecky, Lubor, "Proofs of God’s Existence?" 58 (58): 36-51,
17 White, Victor, O.P, "Prolegomena to the Five Ways" 5 (5): 134-158,
18 Quinn, John M., "Pathways to the Infinite" 63 (63): 560-597,
19 Lee, Sang-Sup, "One Consideration of the Validity of Proof of God’s Existence" 14 (14): 107-137,
20 Dewan, Lawrence, "Number and Order of St. Thomas’ Five Ways" 92 (92): 1-18, 1974
21 Brady, Jules M., "Note on the Fourth Way" 48 (48): 219-232,
22 Dilley, Frank B, "Misunderstanding the Cosmological Argument of St. Thomas" 50 (50): 96-107,
23 Centore, F. F, "Logic, Aquinas, and Utrum Deus Sit" 63 (63): 213-226,
24 Yang, Tai-Bum, "Five Ways and its Metaphysical Structure in the Existence of God in Thomas Aquinas" 35 (35): 117-144,
25 Faricy, Robert L, "Establishment of the Basic Principle of the Fifth Way" 31 (31): 189-208,
26 Bonnette, Dennis, "Aquinas’ Proofs for God’s Existence: St. Thomas Aquinas on ‘the Per Accidens Necessarily Implies the Per Se" Martinus Nijhoff 1972
27 Velecky, Lubor, "Aquinas’ Five Arguments in the Summa Theologiae 1a 2, 3" Kok Pharos 1994
28 Owens, Joseph, "Aquinas and the Five Ways" 58 (58): 16-35,
29 O’Donoghue, Dermot, "Analysis of the Tertia Via of St. Thomas" 20 (20): 129-151,
30 Fogelin, Robert J, "A Reading of Aquinas’s Five Ways" 27 (27): 305-314,
The Word of a Sword and the Sword of a Word: A Reconsideration on the ‘Eagle Speech’ (Exod. 19. 4-6)
Luke and the Pentecostal Spirit
From “Disconnected” to “Centered” The Implication of Centering Prayer for the Korean Young Adults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2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1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2-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11-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9-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34 | 0.34 | 0.38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36 | 0.33 | 0.816 | 0.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