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연구는 지역사회복지관 일자리 질에 대한 사회복지사의 인식을 알아보는 연구로, 일자리 질을 측정하기 위한 하위 지표로 직무 특성(직무자율성, 직무 권한), 고용안정(객관적ㆍ주관적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는 지역사회복지관 일자리 질에 대한 사회복지사의 인식을 알아보는 연구로, 일자리 질을 측정하기 위한 하위 지표로 직무 특성(직무자율성, 직무 권한), 고용안정(객관적ㆍ주관적 ...
이 연구는 지역사회복지관 일자리 질에 대한 사회복지사의 인식을 알아보는 연구로, 일자리 질을 측정하기 위한 하위 지표로 직무 특성(직무자율성, 직무 권한), 고용안정(객관적ㆍ주관적 고용안정성), 발전가능성(숙련향상 가능성, 승진 가능성), 금전적 보상(급여, 부가급여), 관계(참여ㆍ발언, 인간관계)를 설정한 후, 이들 영역 각각에서 사회복지사의 성별에 따른 인식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는 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2010년 9월 27일부터 10월 15일까지 p지역에 소재하고 있는 전체 52개 지역사회복지관에 근무하는 사회복지사를 대상으로 우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각 기관 당 10부씩 배포하여 배포된 520부 설문지 중 회수된 424부 가운데, 성실히 응답한 420부를 최종 잠재평균분석에 포함시켰다. 이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지역사회복지관에 근무하는 사회복지사들은 참여ㆍ발언, 인간관계와 같은 관계, 그리고 직무자율성, 직무 권한과 같은 직무 특성 면에서는 비교적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으나, 급여, 부가급여와 같은 보상 면에서는 다소 낮게 인식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일자리 질의 각 하위 영역에서 성별 차이가 나는지 살펴본 결과, 여성 사회복지사들은 남성에 비해 숙련 향상 가능성, 승진 가능성 등의 발전가능성을 낮게 인식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지역사회복지관의 일자리 질을 높이고, 사회복지사의 근로조건을 개선하기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참고문헌 (Reference)
1 한국사회복지사협회, "한국사회복지근로환경백서" 2006
2 이성균, "중장년층의 취업과 “괜찮은 일자리”" 한국사회정책학회 15 (15): 181-216, 2009
3 박성현, "좋은 일자리에 대한 근로자의 인식" 건국대학교 대학원 2010
4 변경희, "임금근로장애인의 ‘고용의 질’ 개념 및 결정요인"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 20 (20): 189-212, 2010
5 Ciulla, J. B, "일의 발견" 다우 2000
6 박은하, "성별에 따른 ‘양질의 일자리’ 결정요인 연구" 한국여성학회 27 (27): 1-38, 2011
7 고용정보원, "산업직종별 고용구조조사" 2009
8 권태환, "사회학의 이해" 다산출판사 2009
9 이홍직, "미취업 장애인의 좋은 일자리에 관한 인식 유형 연구" 사회복지연구소 28 : 93-121, 2011
10 문순영, "돌봄노동 일자리의 일자리 질(quality of job)에 대한 탐색적 연구" 한국사회복지정책학회 (33) : 207-237, 2008
1 한국사회복지사협회, "한국사회복지근로환경백서" 2006
2 이성균, "중장년층의 취업과 “괜찮은 일자리”" 한국사회정책학회 15 (15): 181-216, 2009
3 박성현, "좋은 일자리에 대한 근로자의 인식" 건국대학교 대학원 2010
4 변경희, "임금근로장애인의 ‘고용의 질’ 개념 및 결정요인"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 20 (20): 189-212, 2010
5 Ciulla, J. B, "일의 발견" 다우 2000
6 박은하, "성별에 따른 ‘양질의 일자리’ 결정요인 연구" 한국여성학회 27 (27): 1-38, 2011
7 고용정보원, "산업직종별 고용구조조사" 2009
8 권태환, "사회학의 이해" 다산출판사 2009
9 이홍직, "미취업 장애인의 좋은 일자리에 관한 인식 유형 연구" 사회복지연구소 28 : 93-121, 2011
10 문순영, "돌봄노동 일자리의 일자리 질(quality of job)에 대한 탐색적 연구" 한국사회복지정책학회 (33) : 207-237, 2008
11 이현미, "노인의 일자리 특성과 이를 반영한 괜찮은 일자리 개념 논의" 4 : 79-102, 2010
12 김은하, "근로빈곤층의 일자리 특성과 빈곤 지위 -성별 비교를 중심으로-" 한국사회복지학회 60 (60): 5-29, 2008
13 최옥금, "근로빈곤층의 ‘괜찮은 일자리(Decent Job)' 이동에 관한 연구 : 임금일자리를 중심으로" 한국노동연구원 5 (5): 1-42, 2005
14 최옥금, "괜찮은 일자리(Decent Job)에 대한 탐색적 연구: 개념정의 및 실태파악을 중심으로" 한국사회보장학회 22 (22): 227-252, 2006
15 방하남, "고용의 질에 관한 지표개발 및 평가" 노동연구원 2006
16 방하남, "고용의 질" 한국노동연구원 2007
17 송영남, "‘좋은 일자리’의 결정요인과 지역 간 분포의 변화에 관한 연구" 한국지방행정연구원 24 (24): 209-234, 2010
18 방하남, "‘좋은 일자리’(Good job)의 개념구성 및 결정요인의 분석" 한국사회학회 40 (40): 93-126, 2006
19 이영면, "‘고용의 질’에 관한 글로벌 기준과 측정지표" 한국인사관리학회 31 (31): 149-177, 2007
20 Jencks, C., "What Is a Good Job?A New Measure of Labor-market Success" 93 (93): 1322-1357, 1988
21 ILO., "Towards a Policy Framework for Decent Work" 141 : 161-174, 2002
22 Lowe, G. S., "The Quality of Work:APeople-centeredAgenda" Oxford University.Press 2000
23 Hong, S., "Testing Configural,Metric, Scalar,and Latent Mean Invariance Across Genders in Sociotropy and Autonomy Using a Non-Western Sample" 63 (63): 636-654, 2003
24 West, S. G., "Structural Equation Models with`Non-normal Variables: Problems and Remedies, In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Concepts,Issues and Applications" Sage 56-75, 1995
25 Hancock, G. R, "Structural Equati on Modeling Methods of Hypothesis Testing of Latent Variable Means" 30 : 91-105, 1997
26 Cohen, J., "Statistical Power Analysis for the Behavioral Sciences(2nded.)" Lawrence Erlbaum 1988
27 Lozano, E., "Quality in Work:Dimensions and Indicatorsin the Framework of the European Employment Strategy" Seminaron the Quality of Work 2005
28 Marsh,H.W, "Public/Catholic Differences`in the High Schooland Beyond Data:A Multi-group Structural Equation Modelling Approach to Testing Mean Differences" 15 : 199-235, 1990
29 Jackson,A, "Measuring and Monitoringthe Quality of Jobsand the WorkEnvironment in Canada,Ottawa, Centre for the Study of Living Standards,CSLS Conference on the State of Living Standard sand the Quality of Lifein Canada, Session7 Well-beingand Quality of Working Life" 1998
30 Anker, R., "Measuring Decent Work with Statistical Indicators" 142 (142): 147-177, 2003
31 Clark, A. E., "Measures of Job Satisfaction,What Makesa Good Job? Evidence from OECD Countries" OECD 1998
32 Anselme, M, "Good Jobsand Bad Jobs:A Differentiated Structuring of the LaborMarket" 28 : 211-235, 1985
33 Ritter,A.J, "Good Jobs,Bad Jobs:Workers' Evaluations in FiveCountries" 141 (141): 331-358, 2002
34 Ganzeboom, H. B. G., "A Standard International Socio-Economic Index of Occupational Status" 21 : 1-56, 1992
35 Bonnet,F, "A Familyof Decent Work Indexes" 142 (142): 213-238, 2003
36 보건복지부, "2009년 사회복지시설평가" 2010
37 최희경, "'괜찮은 일자리'(Decent Job) 개념의 노인 돌봄 서비스직에 대한 적용" 사회복지연구소 21 : 27-57, 2009
노인의 자아존중감, 생활만족도, 사회참여욕구가 사회참여활동에 미치는 영향
일상생활의 신자유주의화와 헤게모니 담론전략 - 2000년대 ‘경제교육’담론을 중심으로
전라북도 사회복지시설 인증제 도입에 대한 현장 실무자의 인식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1 | 평가예정 | 신규평가 신청대상 (신규평가) | |
2020-12-01 | 평가 | 등재후보 탈락 (계속평가) | |
2018-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2017-12-01 | 평가 | 등재후보 탈락 (계속평가) | |
2016-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5-12-01 | 평가 | 등재후보로 하락 (기타) | ![]()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10-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9-01-01 | 평가 | 신청제한 (등재후보1차) | |
2008-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2차) | ![]() |
2007-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5-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26 | 0.26 | 0.25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41 | 0.6 | 0.642 | 0.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