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나누웬, 헨리, "친밀함" 두란노 2001
2 김유진, "치료놀이" 학지사 2011
3 라이스, F. 필립, "청소년 심리학" 시그마프레스 2001
4 이재호, "청소년 사이에 발생하는 사이버 폭력의 자기심리학적 고찰" 한국목회상담학회 24 : 138-168, 2015
5 정경은, "청소년 가출의 원인 및 현황과 유형변화" 한국청소년쉼터협의회 51-52, 2011
6 한국치료놀이학회, "제 2회 치료놀이 아시아 컨퍼런스: 몸과 치료놀이"
7 권수영, "임상현장의 작용적 신학: 기독교상담의 방법론적 정체성" 7 : 100-123, 2004
8 클레어, M. St, "인간의 관계 경험과 하나님 경험" 한국심리치료연구소 1998
9 데이비스, 마델레인, "울타리와 공간" 한국심리치료연구소 1997
10 이재현, "영성지도와 목회상담: 상담관계를 통한 영적 성숙" 한국목회상담학회 23 : 144-172, 2014
1 나누웬, 헨리, "친밀함" 두란노 2001
2 김유진, "치료놀이" 학지사 2011
3 라이스, F. 필립, "청소년 심리학" 시그마프레스 2001
4 이재호, "청소년 사이에 발생하는 사이버 폭력의 자기심리학적 고찰" 한국목회상담학회 24 : 138-168, 2015
5 정경은, "청소년 가출의 원인 및 현황과 유형변화" 한국청소년쉼터협의회 51-52, 2011
6 한국치료놀이학회, "제 2회 치료놀이 아시아 컨퍼런스: 몸과 치료놀이"
7 권수영, "임상현장의 작용적 신학: 기독교상담의 방법론적 정체성" 7 : 100-123, 2004
8 클레어, M. St, "인간의 관계 경험과 하나님 경험" 한국심리치료연구소 1998
9 데이비스, 마델레인, "울타리와 공간" 한국심리치료연구소 1997
10 이재현, "영성지도와 목회상담: 상담관계를 통한 영적 성숙" 한국목회상담학회 23 : 144-172, 2014
11 율라노프, 앤, "영성과 심리치료" 한국심리치료연구소 2005
12 김승돈, "영성 사회복지와 청소년개발(Spirituality, Social Welfare & Youth Development)" 신정 2010
13 신숙재, "아동중심 놀이치료" 동서문화원 2000
14 김현옥, "신대원생들의 내담자경험이 자기개념, 대인관계, 영적 성숙에 미치는 영향" 한국목회상담학회 17 : 277-297, 2011
15 위니캇, 도널드, "성숙과정과 촉진적 환경" 한국심리치료연구소 2000
16 최해림, "상담에서의 영성의 문제" 13 : 1-13, 2001
17 리주토, 애너-마리아, "살아있는 신의 탄생" 한국심리치료연구소 2000
18 이관직, "목회상담이론입문" 학지사 2009
19 최영민, "대상관계이론을 중심으로 쉽게 쓴 정신분석이론" 학지사 2010
20 문희경, "대상관계이론과 목회상담" 대서 2011
21 위니캇, 도널드, "놀이와 현실" 한국심리치료연구소 1997
22 권수영, "기독[목회]상담, 어떻게 다른가요" 학지사 2007
23 Hay, D., "The Spirit of the Child" HarperCollins 1998
24 Inhelder, B., "The Growth of Logical Thinking from Childhood to Adolescence" Basic Books 1958
25 Burkhardt, M. A., "Spirituality : analysis of the concept" 3 : 69-77, 1989
26 Paloutzian, R. F., "Loneliness: A Source-book of Current Theory, Research and Therapy" John Wiley & Sons 224-236, 198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