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에서는 청말 입헌운동의 전개과정을 ①입헌주의 사상 형성기, ②입헌주의 정치세력화 시기, ③입헌주의 제도화 시기, ④입헌주의 성문화 시기 등 4단계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특히, 당...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82754934
2007
Korean
淸末 ; 立憲主義 ; 維新變法 ; 豫備立憲 ; 欽定憲法大綱 ; 明治憲法 ; 立憲派 ; 革命派 ; China ; Qing Dynasty ; constitution ; constitutionalism ; Japan ; constitutional movement ; constitutional history ; Kang Youwei ; Liang Qichao ; Yan Fu ; Yang Du
KCI등재후보
학술저널
269-294(26쪽)
6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논문에서는 청말 입헌운동의 전개과정을 ①입헌주의 사상 형성기, ②입헌주의 정치세력화 시기, ③입헌주의 제도화 시기, ④입헌주의 성문화 시기 등 4단계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특히, 당...
논문에서는 청말 입헌운동의 전개과정을 ①입헌주의 사상 형성기, ②입헌주의 정치세력화 시기, ③입헌주의 제도화 시기, ④입헌주의 성문화 시기 등 4단계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특히, 당시 중국의 입헌운동이 주 모델로 삼았던 일본 메이지헌법과의 비교?검토에 중점을 두었다. 근대 동아시아 세계에 있어서 입헌주의의 요청은 헌법의 힘으로써 부강한 국가를 건설하여 제국주의 열강의 침략으로부터 벗어나려는 데 그 주안점이 놓여 있었다. 하지만 일본과 달리 중국의 경우, 중앙과 지방 사이의 권력투쟁이 한족과 만주족 사이의 민족대립과 결부되어, 만주족 황제를 중심으로 안정적이고 강력한 입헌군주제 체제를 수립하는 것이 불가능했다. 결국 체제 안에서의 입헌주의 개혁은 체제 밖에서의 공화주의 혁명으로 대체되고 말았지만, 입헌에서 혁명으로의 전환에 중요한 합법적?제도적 공간을 제공한 점에서 그 역사적 의미가 평가되어야 한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Constitutional Movement("Li-xian Yun-dong") in the late Qing Dynasty followed the Japanese reformist line from the "Meiji Restoration(1868)" till the promulgation of the "Constitution of the Empire of Japan(1889)." In the article I traced the 4-st...
The Constitutional Movement("Li-xian Yun-dong") in the late Qing Dynasty followed the Japanese reformist line from the "Meiji Restoration(1868)" till the promulgation of the "Constitution of the Empire of Japan(1889)." In the article I traced the 4-step development of the early Chinese Constitutionalism: birth of ur-constitutionalism, politicalization of constitution-making movement("Yu-bei Li-xian"), and codification of constitutional plan("Qin-ding Xian-fa Da-gang"). Here, I examined the constitutional thoughts of such scholars as Wei Yuan(魏源), Liang Tingnan(梁廷?), Xu Jiyu(徐繼?), Feng Guifen(馮桂芬), Zheng Guanying(鄭觀應), Wang Tao(王韜), Chen Chi(陳熾), Kang Youwei(康有爲), Liang Qichao(梁啓超), Yan Fu(嚴復) and Yang Du(楊度). I also analyzed the "Qin-ding Xian-fa Da-gang(欽定憲法大綱)(1908)" article by article, and made a comparison between Chinese constitutionalism and Japanese one. As a result, I drew a sharp distinction between the two types: the Manchurian Emperor could not integrate the whole nation as efficient as the Japanese Emperor "Tenno" did, and the road of the "Constitutional Monarchy" was therefore not available in China.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范中信, "梁啓超法學文集" 北京 : 中國政法大學出版社 2000
2 "성세위언 : 난세를 향한 고언" 책세상 2003
3 大, "重<定法大>" 湖南范大社科 1987.6.
4 "近現代中國憲政運動發的國內環境" 陳小平 憲政文本
5 "近代中國憲政史" 上海 : 上海人民出版社社 1997
6 "近代中國の立憲構想 : 嚴復楊度梁啓超と明治啓蒙思想" 東京 : 法政大學出版局 2005
7 "百年政的史省思" 瀚 中國新聞網
8 劉軍寧, "淸末商民的憲政情懷"
9 宋四輩, "淸末‘豫備立憲’芻議" 鄭州大學學報 2005.5
10 "淸末‘豫備立憲’在中國歷史上的地位" 天 林 公法評論
1 范中信, "梁啓超法學文集" 北京 : 中國政法大學出版社 2000
2 "성세위언 : 난세를 향한 고언" 책세상 2003
3 大, "重<定法大>" 湖南范大社科 1987.6.
4 "近現代中國憲政運動發的國內環境" 陳小平 憲政文本
5 "近代中國憲政史" 上海 : 上海人民出版社社 1997
6 "近代中國の立憲構想 : 嚴復楊度梁啓超と明治啓蒙思想" 東京 : 法政大學出版局 2005
7 "百年政的史省思" 瀚 中國新聞網
8 劉軍寧, "淸末商民的憲政情懷"
9 宋四輩, "淸末‘豫備立憲’芻議" 鄭州大學學報 2005.5
10 "淸末‘豫備立憲’在中國歷史上的地位" 天 林 公法評論
11 起, "末策移的背景和目的" 北方 1994.2.
12 "末立與日本明治政" 近代史硏究 1991.5.
13 大, "末治集部的立派" 江 1987.9.
14 "末新政期的立及其代示" 功秦 中華文史網
15 "末新政中的保守主思潮" 功秦 中華文史網
16 "末‘立’日本明治政模中的保留" 河北刊 1992.6.
17 null, "末‘立’何模日本明治政" 北方 1991.3.
18 "晩淸豫備立憲述評" 26 (26): 2004
19 大, "於末立幾個的商" 史月刊 1988.1.
20 "新政期中央與各省系初探" 中范大: 人文社科版 2003.6
21 "憲法槪念在中國的起源" 濟南 : 山東人民出版社 2005
22 "憲政的中國之道" 濟南 : 山東人民出版社 2003/2004
23 云, "季主立的官政的" 史究 2000.1
24 "大淸法律法規大全" 憲政部第1冊
25 "地方督與末立" 河北刊 1996.5
26 "回到歷史的起點"
27 蕭 武, "反抗革命: 晩淸憲政改革再認識" 書屋 2003.2
28 "中國近代社會與法制文明" 北京 : 中國政法大學出版社 2003
29 起, "‘戊戌法’與‘末新政’異同辨析" 北方 1986.2.
30 "1949年以前的中國近代憲政史回顧與反思"
『秋曹審理案』을 통해 본 19世紀 中葉 朝鮮의 刑事政策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8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2-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2-01-01 | 평가 |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 ![]() |
200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8-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7-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 ![]() |
2006-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5-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 ![]() |
2004-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 ![]() |
2003-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1.1 | 1.1 | 0.94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81 | 0.76 | 1.284 | 0.3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