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한국 아동 학교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아동심리, 사회환경, 어머니 양육행동의 효과에 대한 연구 = Effects of psychological, socio-environmental, and mother parenting behavior factors on school adjustment in Korean childre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46803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한국 아동의 학교적응에 대한 영향 요인을 탐색하고 남녀 아동의 학교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비교 분석하고자 수행되었다. 한국아동패널 10차년도 (2017) 자료를 이용하여 전국의 아동 633명의 학교적응 관련요인을 분석하였다. 학교적응 관련요인으로 아동심리 변인, 사회환경 변인, 어머니 양육 변인 및 아동 성별에 따른 학교적응 예언 변인의 상대적 영향력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아동 학교적응을 예언하는 변인은 또래소외, 학교선호도, 교사선호도, 어머니 권위주의적 양육행동이었다. 아동 심리변인, 사회환경 변인, 어머니 양육 변인 각각의 상대적 영향력을 분석한 결과 아동 심리변인 중 전반적 행복감이 유의미한 예언 변인이었으며, 사회환경 요인의 상대적 영향력이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성별에 따른 분석결과, 남아의 경우는 또래신뢰, 학교선호도, 교사선호도, 어머니 권위주의적 양육행동이 학교적응을 예언하는 변인이었고 여자의 경우는 또래소외, 학교선호도, 교사선호도가 유의미한 변인이었다. 성별에 따라 상대적 영향력에 차이가 있음을 논의하였으며 추후 연구를 위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한국 아동의 학교적응에 대한 영향 요인을 탐색하고 남녀 아동의 학교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비교 분석하고자 수행되었다. 한국아동패널 10차년도 (2017) 자료를 이용하여 전...

      본 연구는 한국 아동의 학교적응에 대한 영향 요인을 탐색하고 남녀 아동의 학교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비교 분석하고자 수행되었다. 한국아동패널 10차년도 (2017) 자료를 이용하여 전국의 아동 633명의 학교적응 관련요인을 분석하였다. 학교적응 관련요인으로 아동심리 변인, 사회환경 변인, 어머니 양육 변인 및 아동 성별에 따른 학교적응 예언 변인의 상대적 영향력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아동 학교적응을 예언하는 변인은 또래소외, 학교선호도, 교사선호도, 어머니 권위주의적 양육행동이었다. 아동 심리변인, 사회환경 변인, 어머니 양육 변인 각각의 상대적 영향력을 분석한 결과 아동 심리변인 중 전반적 행복감이 유의미한 예언 변인이었으며, 사회환경 요인의 상대적 영향력이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성별에 따른 분석결과, 남아의 경우는 또래신뢰, 학교선호도, 교사선호도, 어머니 권위주의적 양육행동이 학교적응을 예언하는 변인이었고 여자의 경우는 또래소외, 학교선호도, 교사선호도가 유의미한 변인이었다. 성별에 따라 상대적 영향력에 차이가 있음을 논의하였으며 추후 연구를 위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resent study examined how affect Korean children’s school adjustment. The data used for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came from Korea children’s panel data. A total of 633 children, their mother, and teacher responded a self-reported questionnaire survey. Data were analyzed with bivariate correlations and multiple regression to investigate the relevant predictors of school adjustment with such variables as psychological factors(happiness, self-esteem, problem behaviors), socio-environmental factors(number of friends, peer attachment, school preference, teacher preference), and mother parenting behavior factors(authoritative, authoritarian, permissive).
      Results indicated that socio-environmental and mother parenting behavior factor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predictors of school adjustment. Peer trust, school preference, and teacher preferenc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predictors of school adjustment in male children, while peer rejection, school preference, and teacher preference were the significant predictors of school adjustment in female children. Future directions for further studies into this area and the implications for the practices of children’s school adjustment were discussed.
      번역하기

      The present study examined how affect Korean children’s school adjustment. The data used for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came from Korea children’s panel data. A total of 633 children, their mother, and teacher responded a self-reported questionn...

      The present study examined how affect Korean children’s school adjustment. The data used for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came from Korea children’s panel data. A total of 633 children, their mother, and teacher responded a self-reported questionnaire survey. Data were analyzed with bivariate correlations and multiple regression to investigate the relevant predictors of school adjustment with such variables as psychological factors(happiness, self-esteem, problem behaviors), socio-environmental factors(number of friends, peer attachment, school preference, teacher preference), and mother parenting behavior factors(authoritative, authoritarian, permissive).
      Results indicated that socio-environmental and mother parenting behavior factor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predictors of school adjustment. Peer trust, school preference, and teacher preferenc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predictors of school adjustment in male children, while peer rejection, school preference, and teacher preference were the significant predictors of school adjustment in female children. Future directions for further studies into this area and the implications for the practices of children’s school adjustment were discussed.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희은, "학령기 아동의 학교적응 관련변인들 간의 관계 구조분석" 한국가정관리학회 29 (29): 161-174, 2011

      2 유설희, "학령 후기 아동의 또래관계 및 자아존중감이 주관적 안녕감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 한국아동학회 36 (36): 55-74, 2015

      3 이진화, "학교환경, 가정환경, 개인환경이 아동의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교육과학연구소 49 (49): 39-59, 2018

      4 이희정, "학교적응의 종단적 변화와 예측 변인 탐색" 한국청소년학회 17 (17): 253-278, 2010

      5 이강훈, "학교적응에 영향을 미치는유아기 변인들 간의 관계에 대한 종단연구"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3 (23): 399-426, 2018

      6 김영숙, "학교생활적응, 학업성취도 및 주관적 안녕감의 종단적 인과관계와 성별에 따른 차이 분석" 한국교육심리학회 29 (29): 845-871, 2015

      7 채선화, "학교급별 부모애착, 교사애착, 또래애착과 학교적응 간 상관관계 메타분석" 한국상담학회 16 (16): 339-358, 2015

      8 백승영, "학교급과 성별에 따른 아동과 청소년 정서행동문제의 정도 및 임상위험 차이" 한국정서행동장애학회 30 (30): 207-231, 2014

      9 박성혜, "초중등생의 학교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 탐색 : 개인적 변인과 가정환경 변인을 중심으로"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4 (24): 147-169, 2013

      10 이정윤, "초등학생의 학교적응과 관련된 개인 및 가족요인" 한국상담심리학회 16 (16): 261-276, 2004

      1 이희은, "학령기 아동의 학교적응 관련변인들 간의 관계 구조분석" 한국가정관리학회 29 (29): 161-174, 2011

      2 유설희, "학령 후기 아동의 또래관계 및 자아존중감이 주관적 안녕감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 한국아동학회 36 (36): 55-74, 2015

      3 이진화, "학교환경, 가정환경, 개인환경이 아동의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교육과학연구소 49 (49): 39-59, 2018

      4 이희정, "학교적응의 종단적 변화와 예측 변인 탐색" 한국청소년학회 17 (17): 253-278, 2010

      5 이강훈, "학교적응에 영향을 미치는유아기 변인들 간의 관계에 대한 종단연구"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3 (23): 399-426, 2018

      6 김영숙, "학교생활적응, 학업성취도 및 주관적 안녕감의 종단적 인과관계와 성별에 따른 차이 분석" 한국교육심리학회 29 (29): 845-871, 2015

      7 채선화, "학교급별 부모애착, 교사애착, 또래애착과 학교적응 간 상관관계 메타분석" 한국상담학회 16 (16): 339-358, 2015

      8 백승영, "학교급과 성별에 따른 아동과 청소년 정서행동문제의 정도 및 임상위험 차이" 한국정서행동장애학회 30 (30): 207-231, 2014

      9 박성혜, "초중등생의 학교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 탐색 : 개인적 변인과 가정환경 변인을 중심으로"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4 (24): 147-169, 2013

      10 이정윤, "초등학생의 학교적응과 관련된 개인 및 가족요인" 한국상담심리학회 16 (16): 261-276, 2004

      11 권혜진, "초등학생의 자아존중감이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또래애착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대한가정학회 52 (52): 395-403, 2014

      12 이영애, "초등학생의 자아존중감과 성격 특성이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한국청소년학회 20 (20): 257-281, 2013

      13 선영운, "초등학생의 사회적 관심, 안녕감, 학교 적응 간의 관계" 한국상담심리학회 26 (26): 525-543, 2014

      14 김분, "초등학생의 부모·교사·또래 애착 유형별 자아개념 및 학교생활적응" 대한가정학회 50 (50): 1-13, 2012

      15 현의숙, "초등학교 고학년생이 지각한 교사애착과 또래애착이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학교생활적응의 매개효과 검증"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9 (19): 451-472, 2019

      16 김충일, "초등학교 1학년 아동의 인구·사회학적 요인이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 한국아동교육학회 27 (27): 157-172, 2018

      17 강지숙, "초기 청소년의 성별에 따른 스트레스와 자아존중감 및 학교생활적응" 대한스트레스학회 20 (20): 149-157, 2012

      18 김혜선,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 양육태도와 자아탄력성이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 성별 및 고등학교 계열에 따른 비교" 한국상담심리교육복지학회 5 (5): 91-102, 2018

      19 곽수란, "청소년의 학교적응도 분석" 한국교육사회학회 16 (16): 1-26, 2006

      20 백소영, "청소년의 학교생활 적응에 미치는 위험요인의 영향에서보호요인인 또래요인의 조절효과와 매개효과 검증" 한국청소년복지학회 20 (20): 109-136, 2018

      21 염정원, "청소년의 외현화, 내재화 문제행동과 학교생활적응의 종단적 인과관계 분석" 한국교육심리학회 30 (30): 195-223, 2016

      22 남영자, "청소년의 가족건강성과 학교적응의 관계에서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에 관한 연구" 한국청소년학회 16 (16): 47-71, 2009

      23 좌현숙, "청소년 학교적응의 종단적 변화양상과 예측요인" 한국청소년학회 19 (19): 1-28, 2012

      24 이경상, "청소년 학교부적응의 종단적 변화의 영향요인" 한국청소년학회 18 (18): 131-155, 2011

      25 이영애, "청소년 내재화 및 외현화 문제행동의 변화양상과 영향요인" 한국청소년상담복지개발원 23 (23): 253-276, 2015

      26 박용한, "중학생의 미디어이용, 정서행동문제, 학교적응 간의 구조적 관계에서 자기조절의 역할" 한국교육심리학회 28 (28): 691-710, 2014

      27 원재순, "자아존중감과 학교적응 간 상관관계 메타분석" 한국청소년학회 23 (23): 177-205, 2016

      28 백승희, "자기회귀교차지연모형을 적용한 종단연구: 휴대전화의존도, 정서문제, 학교생활적응간의 관계" 교육연구소 15 (15): 167-188, 2014

      29 안선희, "유아의 어머니, 교사, 또래와의 관계와 유치원 적응" 미래유아교육학회 9 (9): 163-180, 2002

      30 천유리, "영재아동과 일반아동의 또래관계성향 및 관계유지노력과 학교생활적응 간의 관계" 한국영재학회 22 (22): 875-892, 2012

      31 강수현, "어머니의 온정적 양육행동이 아동의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자아 존중감 및 학교적응의 매개효과 : 초등학교 1학년 중심으로" 한국유아교육ㆍ보육복지학회 23 (23): 165-194, 2019

      32 박희경, "아동의 행복에 대한 개념 연구" 한국아동권리학회 18 (18): 367-385, 2014

      33 백미숙, "아동의 행복감과 학교생활적응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의 역학" 6 (6): 13-31, 2017

      34 박은영, "아동의 학교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청소년학회 18 (18): 1-27, 2011

      35 정미영, "아동의 학교생활적응 관련 변인 연구" 한국아동학회 28 (28): 37-54, 2007

      36 이경님, "아동의 학교생활 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생태학적 변인" 한국가정관리학회 26 (26): 211-224, 2008

      37 서혜전, "아동의 자아존중감, 주관적 행복감, 학교적응의 구조적 관계분석" 열린부모교육학회 10 (10): 55-70, 2018

      38 이은주, "아동의 내재화 및 외현화 행동문제와 부모양육행동의 상호적 인과관계: 부모효과 및 아동효과의 검증" 한국인간발달학회 18 (18): 21-41, 2011

      39 이봉주, "아동·청소년기 내재화 문제와외현화 문제 간의 종단적 인과관계" 한국청소년학회 22 (22): 335-361, 2015

      40 조윤주, "아동 돌봄 유형과 부모 감독이 아동의 학교 적응에 미치는 영향" 한국생활과학회 28 (28): 95-105, 2019

      41 이귀옥, "성별, 자아탄력성, 학습습관과 부모양육방식이 초등학교 고학년의 학교적응 변화 궤적에 미치는 영향"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7 (17): 295-322, 2017

      42 조용주, "부모의 양육태도가 자녀의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력 검증 : 교사애착과 또래애착의 간접효과" 한국학교사회복지학회 30 : 47-70, 2015

      43 성정혜, "부모의 교육열과 아동의 자아존중감,내재화 및 외현화 문제, 학교적응 간 구조적 관계: 아동의 성별에 따른 다집단 분석" 육아정책연구소 13 (13): 47-71, 2019

      44 임선아, "민주적 부모양육태도가 아동의 자기조절학습능력, 자존감, 학교적응에 미치는 구조모형 비교: 저소득층 아동과 비저소득층 아동" 한국교육심리학회 27 (27): 125-142, 2013

      45 김신애, "남녀 청소년의 가족체계유형과 학교생활적응 및 행동문제의 관련성" 한국가정과교육학회 20 (20): 1-17, 2008

      46 박영진, "개인, 가족, 사회변인이 초등학생의 학교적응에 미치는 설명력" 한국아동교육학회 28 (28): 39-57, 2019

      47 임혜림, "가정 및 학교 내 대인관계와 아동의 행복감 간 구조적 관계- 학교급 차이를 중심으로 -" 한국사회복지학회 70 (70): 145-170, 2018

      48 Bronfenbrenner, U., "The ecology of human development" Harvard University Press 1979

      49 Diener, E., "Subjective well-being : three decades of progress" 125 (125): 276-302, 1999

      50 W. M., "Preadolescent friendship and peer rejection as predictors of adult adjustment" 69 (69): 140-153, 1998

      51 Bonanno, G. A., "Loss, trauma, and human resilience: Have we understand the human capacity to thrive after extremely aversive event?" 59 : 20-28, 2004

      52 Compton, W. C., "Introduction to positive psychology" Thomson Wadsworth 2005

      53 Bartels, M., "Genetics of wellbeing and its components satisfaction with life, happiness, and quality of life : A review and meta-analysis of heritability studies" 45 (45): 137-156, 2015

      54 Ladd, G. W., "Friendship quality as a predictor of young children’s early school adjustment" 67 (67): 1103-1118, 1996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1999-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22 1.22 1.3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39 1.45 2.085 0.2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