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중등 과학 교과서에 제시된 "기체의 성질" 내용 분석 = An Analysis of the Contents of “Gas Property” in Science Textbook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8239365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중학교부터 고등학교까지의 교과서에 걸쳐 제시된 기체의 성질에 대한 내용을 분석하는데 있다. 총 23종의 교과서를 분석 대상으로 선정했고 분석 내용으로는 기체의 성질 중 기체의 확산, 보일의 법칙, 샤를의 법칙 등 세 가지 내용을 선정했다. 위 내용들이 교과서에 제시된 개념 또는 정의, 비유, 탐구, 기타 등 네 가지 범주로 구분하여 분석했다. 분석 결과를 살펴보면, 개념 또는 정의는 과학적으로 오류 없이 상세하게 서술되어야 함에 불구하고 상당수의 교과서에서 확산의 근본 원인이나 보일, 샤를의 법칙의 핵심조건을 정확하게 제시하지 못하고 있었다. 기체 분자를 나타내는 비유로는 주로 동그라미를 사용하는 모형이 많았고 일부 교과서에서 손, 발, 얼굴을 가진 사람 모양 형상을 사용했다. 기체 분자의 운동을 나타내기 위해 상당수의 교과서에서 그림자, 음영 표시 또는 화살표를 사용했다. 보일의 법칙의 내용 중 기체 압력이 증가하는 이유를 기체 분자 운동론을 통해 설명하면 기체 분자가 벽에 충돌하는 빈도수가 증가를 들 수 있다. 그리고 샤를의 법칙의 내용 중 기체 압력이 증가하는 이유는 기체 분자가 벽에 충돌하는 빈도수와 세기가 증가하기 때문으로 설명할 수 있다. 하지만 상당수의 교과서에서는 이에 대한 충분한 내용 설명을 제공하지 못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학생들의 기본적 학습 자료인 교과서에서 주요 개념에 대한 설명을 충실하게 제공하지 못하면 학생들의 개념 형성과 이해에 혼란을 줄 수 있으므로 향후 교과서 개발에 주의를 기울여야 할 것이다.
      번역하기

      본 연구의 목적은 중학교부터 고등학교까지의 교과서에 걸쳐 제시된 기체의 성질에 대한 내용을 분석하는데 있다. 총 23종의 교과서를 분석 대상으로 선정했고 분석 내용으로는 기체의 성질...

      본 연구의 목적은 중학교부터 고등학교까지의 교과서에 걸쳐 제시된 기체의 성질에 대한 내용을 분석하는데 있다. 총 23종의 교과서를 분석 대상으로 선정했고 분석 내용으로는 기체의 성질 중 기체의 확산, 보일의 법칙, 샤를의 법칙 등 세 가지 내용을 선정했다. 위 내용들이 교과서에 제시된 개념 또는 정의, 비유, 탐구, 기타 등 네 가지 범주로 구분하여 분석했다. 분석 결과를 살펴보면, 개념 또는 정의는 과학적으로 오류 없이 상세하게 서술되어야 함에 불구하고 상당수의 교과서에서 확산의 근본 원인이나 보일, 샤를의 법칙의 핵심조건을 정확하게 제시하지 못하고 있었다. 기체 분자를 나타내는 비유로는 주로 동그라미를 사용하는 모형이 많았고 일부 교과서에서 손, 발, 얼굴을 가진 사람 모양 형상을 사용했다. 기체 분자의 운동을 나타내기 위해 상당수의 교과서에서 그림자, 음영 표시 또는 화살표를 사용했다. 보일의 법칙의 내용 중 기체 압력이 증가하는 이유를 기체 분자 운동론을 통해 설명하면 기체 분자가 벽에 충돌하는 빈도수가 증가를 들 수 있다. 그리고 샤를의 법칙의 내용 중 기체 압력이 증가하는 이유는 기체 분자가 벽에 충돌하는 빈도수와 세기가 증가하기 때문으로 설명할 수 있다. 하지만 상당수의 교과서에서는 이에 대한 충분한 내용 설명을 제공하지 못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학생들의 기본적 학습 자료인 교과서에서 주요 개념에 대한 설명을 충실하게 제공하지 못하면 학생들의 개념 형성과 이해에 혼란을 줄 수 있으므로 향후 교과서 개발에 주의를 기울여야 할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content of “gas property” in middle school through high school science textbooks. The concepts of gas diffusion, Boyle’s Law, and Charles’ Law from 23 different textbooks were analyzed. The analysis results were categorized into four perspectives: unit title, definition, metaphor, scientific activities, and others. The results are as followings: More than half of the textbooks analyzed do not contain the scientifically-defined concepts of gas diffusion, Boyle’s Law, and Charles’ Law. When modeling the gas molecules, circles are frequently used and human faces, hands, and legs are also used. To show the movement of gas molecules, most textbooks analyzed use shadows, shades, or arrows. Most textbooks fail in explaining the reasons for the increase of gas pressure in Boyle’s and Charles’ Laws. The textbooks without profound explanations might cause students’ difficulty in understanding the concepts and even lead to their misconception. Therefore, textbook developers should take care in writing the scientifically correct concepts.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content of “gas property” in middle school through high school science textbooks. The concepts of gas diffusion, Boyle’s Law, and Charles’ Law from 23 different textbooks were analyzed. The analysi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content of “gas property” in middle school through high school science textbooks. The concepts of gas diffusion, Boyle’s Law, and Charles’ Law from 23 different textbooks were analyzed. The analysis results were categorized into four perspectives: unit title, definition, metaphor, scientific activities, and others. The results are as followings: More than half of the textbooks analyzed do not contain the scientifically-defined concepts of gas diffusion, Boyle’s Law, and Charles’ Law. When modeling the gas molecules, circles are frequently used and human faces, hands, and legs are also used. To show the movement of gas molecules, most textbooks analyzed use shadows, shades, or arrows. Most textbooks fail in explaining the reasons for the increase of gas pressure in Boyle’s and Charles’ Laws. The textbooks without profound explanations might cause students’ difficulty in understanding the concepts and even lead to their misconception. Therefore, textbook developers should take care in writing the scientifically correct concept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조정일, "확산과 삼투 분자 운동모형을 활용한 개념 변화에의 효과" 14 (14): 293-303, 1994

      2 노태희, "화학양론과 기체 상태에 대한 중?고등학생의 개념 이해도 비교" 15 (15): 437-451, 1995

      3 권혁순, "화학교육에서 사용되는 비유에 대한 학생들의 이해도 및 비유 사용의 제한점" 24 (24): 287-297, 2004

      4 고영환, "화학과 생물교과서에서 삼투 개념에 관한 설명 유형 분석" 22 (22): 683-695, 2002

      5 노태희, "협동적인 컴퓨터 보조 수업이 중학생들의 과학학습에 미치는 효과" 19 (19): 266-274, 1999

      6 이우영, "최신화학용어사전" 탐구당 1990

      7 백성혜, "초등?중등학교 과학교과서에 나타난 열,온도 개념에 대한 분석" 22 (22): 478-489, 2002

      8 노태희, "중학교 과학수업에서 입자수준의 애니메이션을 이용한 컴퓨터 보조수업의 효과" 18 (18): 161-171, 1998

      9 백성혜, "중등 과학교과서에서 증발,끓음의 설명에 제시된 개념간의 관련정도 분석" 24 (24): 429-441, 2004

      10 박상태, "제7차 교육과정의 7학년 과학 교과서에 제시된 과학 개념 분석-에너지와 지구 영역 중심으로" 22 (22): 276-285, 2002

      1 조정일, "확산과 삼투 분자 운동모형을 활용한 개념 변화에의 효과" 14 (14): 293-303, 1994

      2 노태희, "화학양론과 기체 상태에 대한 중?고등학생의 개념 이해도 비교" 15 (15): 437-451, 1995

      3 권혁순, "화학교육에서 사용되는 비유에 대한 학생들의 이해도 및 비유 사용의 제한점" 24 (24): 287-297, 2004

      4 고영환, "화학과 생물교과서에서 삼투 개념에 관한 설명 유형 분석" 22 (22): 683-695, 2002

      5 노태희, "협동적인 컴퓨터 보조 수업이 중학생들의 과학학습에 미치는 효과" 19 (19): 266-274, 1999

      6 이우영, "최신화학용어사전" 탐구당 1990

      7 백성혜, "초등?중등학교 과학교과서에 나타난 열,온도 개념에 대한 분석" 22 (22): 478-489, 2002

      8 노태희, "중학교 과학수업에서 입자수준의 애니메이션을 이용한 컴퓨터 보조수업의 효과" 18 (18): 161-171, 1998

      9 백성혜, "중등 과학교과서에서 증발,끓음의 설명에 제시된 개념간의 관련정도 분석" 24 (24): 429-441, 2004

      10 박상태, "제7차 교육과정의 7학년 과학 교과서에 제시된 과학 개념 분석-에너지와 지구 영역 중심으로" 22 (22): 276-285, 2002

      11 교육부, "제7차 교육과정 과학과 교육과정" 대한교과서 주식회사 1998

      12 이진형, "제7차 과학 교육과정에 의한 고등학교 화학I 교과서 비교 분석-탐구활동 중심으로" 32 : 91-102, 2007

      13 최선영, "제 6차와 7차 초등학교 과학과 교과서에 제시된 탐구기능과 교수-학습 방법의 비교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 22 (22): 706-716, 2002

      14 노태희, "전국 수학 과학 경시대회(화학 분야)수상 학생들의 기체와 화학양론에 대한 개념" 51 : 111-132, 1995

      15 국동식, "인지갈등 수업모형이 대기압 개념 변화에 미치는 영향" 21 (21): 369-379, 2000

      16 백성혜, "유치원,초등,중등학교 과학 교재의 ‘물질의 성질’관련 학습 내용 전개에 대한 특징 분석" 20 (20): 527-541, 2000

      17 김효남, "유치원,초등,중등 학생들의 고체,액체,기체의 압력 개념 유형 분석" 13 (13): 9-29, 2003

      18 김희경, "우리나라 과학교과서에 나타난 기초탐구과정 분석-분류,예상 및 추리탐구 요소를 중심으로" 26 (26): 499-508, 2007

      19 이봉우, "우리나라 3-10학년 과학교과서에 나타난 기초탐구과정 분석:관찰 및 측정,탐구요소를 중심으로" 27 (27): 421-431, 2007

      20 김상명, "열과 온도에 대한 중학교 학생들의 오개념 조사 및 수업 처치 효과" 이화여자대학교 1993

      21 하성자, "어는점 내림 현상에 대한 교과서 내용 및 중등 과학 교사들의 개념 분석" 25 (25): 88-97, 2005

      22 신동희, "양성 평등 교육의 관점에서 본 초등학교"자연"교과서 분석" 20 (20): 193-199, 2000

      23 홍순경, "밀도의 개념변화에 미치는 순환학습의 효과" 한국교원대학교 1990

      24 노태희, "물질의 입자성을 강조한 컴퓨터 보조 수업이 고등학생들의 화학 개념이해에 미치는 효과.서울대학교" 57 : 89-105, 1998

      25 백성혜, "물의 상태,상태변화 및 그 조건에 대한 유치원,초등,중등 과학 교재의 내용 분석" 22 (22): 215-229, 2002

      26 백성혜, "대기 중의 수증기량이 증발과 끓음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고등학생과 화학 전공 교사들의 인식 조사 및 관련 교과서 내용 분석" 25 (25): 773-786, 2005

      27 조인영, "기체분자 운동론에 관한 고등학생의 선개념 체계 유형에 따른 개념 변화 학습 과정의 특성" 한국교원대학교 2000

      28 신동희, "교육 과정 목표에 따른 교과서 내용 분석-고등학교"지구과학"교과서를 중심으로" 20 (20): 605-612, 1999

      29 김희정, "과학적 소양에 근거한 제7차 중학교 과학 교과서의 분석" 26 (26): 601-609, 2006

      30 백성혜, "과학 교과서에 기압과 대기압에 대한 설명 방식의 차이점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 22 (22): 240-251, 2002

      31 홍미영, "고체,액체,기체 상태의 분자 운동에 대한 학생들의 개념 조사" 서울대학교 1991

      32 조희형, "고등학교 생물과정에 필요한 기본개념의 확인 및 결정" 5 (5): 11-17, 1985

      33 조희형, "강원도 중등 과학교육 실태조사 및 중학교 과학2의 교수/학습 자료개발:?물질의 구성? 단원 학습지도 전략과 자료" 11 (11): 49-65, 1991

      34 De Berg, K. C., "The Presentation of Gas Properties in Chemistry Textbooks and as Reported by science Teachers" 30 : 871-882, 1993

      35 De Berg,K.C., "The Emergence of Quantification in the Pressure-Volume Relationship for Gases:A Textbook Analysis" 73 (73): 115-134, 1989

      36 Lin, H. S., "The Assessment of Students and Teachers’ Understanding of Gas Laws" 77 : 235-238, 2000

      37 De Berg,K.C., "Students’ thinking in relation to pressure-volume changes of a fixes amount of air:the semiquantitative context" 14 : 295-303, 1992

      38 Griffiths, A. K., "Students’ Misconceptions Relating to Fundamental Characteristics of Atoms and Molecules" 29 : 661-, 1992

      39 De Berg,K.C., "Student Understanding of the Volume,Mass,and Pressure of Air within a Sealed Syringe in Different States of Compression" 32 : 871-884, 1995

      40 De Berg,K.C., "Semi-quantitative exercises illustrating the effect of pressure and volume changes for fixed amount of air." 36 : 60-63, 1990

      41 Gabel, D., "Problem solving skills of high school chemistry students" 21 : 221-233, 1984

      42 Oxtoby, D. W., "Principles of Modern Chemistry 5/E" Thomson Learning 2002

      43 Reif,F., "How can chemists teach problem solving?" 60 : 948-953, 1983

      44 Nakhleg, M., "Concept Learning versus Problem Solving" 70 : 190-192, 1993

      45 Driver, R., "Childrens’ Ideas in Science" Open University Press 105-122, 1985

      46 Han, J., "Chemical Inscription in Korean textbooks: Semiotics of macro- and micro-world. Science Education, 173-201"

      47 Nakhleg,M., "Are Our Student Conceptual Thinkers or Algorithmic Solver?" 70 : 52-55, 1993

      48 여상인, "7차 교육과정의 화학Ⅱ 교과서에 도입된 과학사 내용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 25 (25): 820-827, 2005

      49 김희경, "7차 교육과정에 따른 중학교 과학 교과서 물리단원 실험의 특징" 47 (47): 387-394, 2003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66 1.66 1.6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73 1.75 1.963 0.27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