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중학교 가정과교사의 교과관련 자기장학에 대한 수행 실태 = Middle School Home Economics Teachers' Performance Conditions of Self Supervision Related to the Home Economic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33057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method used in this descriptive study is the survey.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investigate performances of middle school home economics(HE) teachers regarding the HE subject. Respondents in this study were 177 HE teachers. Questionnaires from HE teachers were collected through e-mails. With the operation of the SPSS/Win (ver10.1) program, the analyses such as mean, standard deviation, frequencies, percents, t-test and ANOVA are done to see the relations between the related variables.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First, the middle school HE teachers performed well above the standards in terms of planning, execution, and evaluation about self supervision related to HE. Second, the HE teachers collected materials for instruction by using literary (books) survey, Internet and mass media. They mainly focused on improving ways of “teaching and learning” and deepening the studies related to contents of textbooks.
      번역하기

      The method used in this descriptive study is the survey.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investigate performances of middle school home economics(HE) teachers regarding the HE subject. Respondents in this study were 177 HE teachers. Questionnaires from...

      The method used in this descriptive study is the survey.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investigate performances of middle school home economics(HE) teachers regarding the HE subject. Respondents in this study were 177 HE teachers. Questionnaires from HE teachers were collected through e-mails. With the operation of the SPSS/Win (ver10.1) program, the analyses such as mean, standard deviation, frequencies, percents, t-test and ANOVA are done to see the relations between the related variables.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First, the middle school HE teachers performed well above the standards in terms of planning, execution, and evaluation about self supervision related to HE. Second, the HE teachers collected materials for instruction by using literary (books) survey, Internet and mass media. They mainly focused on improving ways of “teaching and learning” and deepening the studies related to contents of textbook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중학교 가정과교사의 교과관련 자기장학에 대한 수행 실태를 알아봄으로써 앞으로의 가정과수업 개선 및 전문성 신장에 도움이 되는 기초 자료를 제시하는데 있다. 본 연구는 설문지법을 사용하였으며 설문지는 이메일을 통하여 전국의 가정과교사에게 발송하였고 총 177부가 회수되었다. 회수된 설문지는 SPSS/Win (ver10.1)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평균, 표준편차, 빈도, 백분율, t-test, ANOVA 분석을 시행하였고,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첫째, 중학교 가정과교사는 실제 자기장학에 대한 계획실행평가를 모두 보통 보다 약간 높은 수준으로 수행하고 있었다. 둘째, 중학교 가정과교사는 문헌(서적) 조사나 인터넷 및 대중매체를 활용하여 수업 자료를 수집하거나 제작하는 등의 방법을 통해 교수-학습 방법의 개선과 교과내용학의 심화에 치중하고 있었다. 셋째, 중학교 가정과교사는 가정교과관련 자기장학을 위하여 대중매체를 가장 많이 활용하였고 다음으로 문헌(서적) 조사, 연구회 및 모임 참여, 각종 연수 참여, 현장 견학의 순으로 하고 있었다. 중학교 가정과교사의 절반 이상은 대학원에 진학하였고, 연구회 및 모임에 가입하였으며, 사교육기관의 강의를 수강한 경험이 있었다. 또한 1년에 1~2회 정도 현장견학을 실시하였고, 대중매체 중에서는 일반 TV프로그램과 교육방송을 많이 활용하였으며, 동료 교사와의 정보 공유는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으나, 수업 분석 및 평가와 자원인사의 활용은 매우 미비하였다. 비록 가정과교사들이 교과관련 자기장학을 어느 정도 수행하고 있다고 응답하였으나 이는 응답자의 절반 수준에 불과하고 그 영역이 주로 교수-학습 방법이나 교과내용학 영역에 치우쳐 있다. 따라서 자기장학에 대한 동기를 유발하기 위하여 연구회 및 모임이 활성화되고 다양한 연수 프로그램이 개발되어야 하며, 자기장학의 방법을 구체적으로 소개한 책자 발간이나 지원센터연구소 등을 통한 행정적제도적 지원이 모색되어야겠다.
      번역하기

      본 연구의 목적은 중학교 가정과교사의 교과관련 자기장학에 대한 수행 실태를 알아봄으로써 앞으로의 가정과수업 개선 및 전문성 신장에 도움이 되는 기초 자료를 제시하는데 있다. 본 연...

      본 연구의 목적은 중학교 가정과교사의 교과관련 자기장학에 대한 수행 실태를 알아봄으로써 앞으로의 가정과수업 개선 및 전문성 신장에 도움이 되는 기초 자료를 제시하는데 있다. 본 연구는 설문지법을 사용하였으며 설문지는 이메일을 통하여 전국의 가정과교사에게 발송하였고 총 177부가 회수되었다. 회수된 설문지는 SPSS/Win (ver10.1)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평균, 표준편차, 빈도, 백분율, t-test, ANOVA 분석을 시행하였고,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첫째, 중학교 가정과교사는 실제 자기장학에 대한 계획실행평가를 모두 보통 보다 약간 높은 수준으로 수행하고 있었다. 둘째, 중학교 가정과교사는 문헌(서적) 조사나 인터넷 및 대중매체를 활용하여 수업 자료를 수집하거나 제작하는 등의 방법을 통해 교수-학습 방법의 개선과 교과내용학의 심화에 치중하고 있었다. 셋째, 중학교 가정과교사는 가정교과관련 자기장학을 위하여 대중매체를 가장 많이 활용하였고 다음으로 문헌(서적) 조사, 연구회 및 모임 참여, 각종 연수 참여, 현장 견학의 순으로 하고 있었다. 중학교 가정과교사의 절반 이상은 대학원에 진학하였고, 연구회 및 모임에 가입하였으며, 사교육기관의 강의를 수강한 경험이 있었다. 또한 1년에 1~2회 정도 현장견학을 실시하였고, 대중매체 중에서는 일반 TV프로그램과 교육방송을 많이 활용하였으며, 동료 교사와의 정보 공유는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으나, 수업 분석 및 평가와 자원인사의 활용은 매우 미비하였다. 비록 가정과교사들이 교과관련 자기장학을 어느 정도 수행하고 있다고 응답하였으나 이는 응답자의 절반 수준에 불과하고 그 영역이 주로 교수-학습 방법이나 교과내용학 영역에 치우쳐 있다. 따라서 자기장학에 대한 동기를 유발하기 위하여 연구회 및 모임이 활성화되고 다양한 연수 프로그램이 개발되어야 하며, 자기장학의 방법을 구체적으로 소개한 책자 발간이나 지원센터연구소 등을 통한 행정적제도적 지원이 모색되어야겠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강말수, "초등교사의 자기장학 참여 실태와 요구 분석" 2001

      2 "체육교사의 자기수업장학이 교수행동에 미치는 영향" 19 : 23-47, 2001

      3 "중학교 자율장학에 대한 교사의 요구 분석" 2005

      4 "중학교 교사 집단의 자기장학의 실태와 개선 방안에 관한 연구" 1998

      5 김순주, "중학교 가정과교사의 직무분석 연구" 1999

      6 "중학교 가정과교사의 가정교과교육의 일반적 성격에 관한 인식과 관련변인" 9 (9): 31-45, 1997

      7 기순임, "중학교 가정과교사의 가정과 교육에 대한 견해와 역할수행에 관한 연구" 36 (36): 187-201, 1998

      8 "중등학교 가정교과 직무연수 실태 및 인식조사" 13 (13): 85-99, 2001

      9 "중등학교 가정과교사의 교수 능력에 관한 교육 요구 분석" 15 (15): 2-22, 2003

      10 김유정, "중등학교 가정과교사의 교사효능감 유형과 관련변인" 17 (17): 129-143, 2005

      1 강말수, "초등교사의 자기장학 참여 실태와 요구 분석" 2001

      2 "체육교사의 자기수업장학이 교수행동에 미치는 영향" 19 : 23-47, 2001

      3 "중학교 자율장학에 대한 교사의 요구 분석" 2005

      4 "중학교 교사 집단의 자기장학의 실태와 개선 방안에 관한 연구" 1998

      5 김순주, "중학교 가정과교사의 직무분석 연구" 1999

      6 "중학교 가정과교사의 가정교과교육의 일반적 성격에 관한 인식과 관련변인" 9 (9): 31-45, 1997

      7 기순임, "중학교 가정과교사의 가정과 교육에 대한 견해와 역할수행에 관한 연구" 36 (36): 187-201, 1998

      8 "중등학교 가정교과 직무연수 실태 및 인식조사" 13 (13): 85-99, 2001

      9 "중등학교 가정과교사의 교수 능력에 관한 교육 요구 분석" 15 (15): 2-22, 2003

      10 김유정, "중등학교 가정과교사의 교사효능감 유형과 관련변인" 17 (17): 129-143, 2005

      11 "중등 초임교사의 자기장학 의식에 관한 연구" 2003

      12 권지영, "제7차 중학교 기술가정 교육과정 운영 평가" 2003

      13 "장학의 이론과 기법" 학지사 2003

      14 "자기장학이 교직의 전문성 신장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2001

      15 권혜경, "유치원교사의 자기장학에 대한 기대수준과 실행수준의 비교연구" 2005

      16 박화윤, "유치원 교사의 자기장학의 실행에 관한 연구" 358-372, 2003

      17 "유치원 교사의 자기장학 수행수준과 교직전문성 발달에 대한 연구" 2003

      18 "유치원 교사의 자기장학 경향과 활성화방안에 관한 연구" 17 : 243-273, 1998

      19 김한솔, "수업개선을 위한 초등학교 교사들의 자기장학 실태" 2004

      20 모경환, "사회과 교사의 전문성 제고를 위한 교과 장학 개선에 관한 연구" 43 (43): 61-85, 2004

      21 김경철, "사립중학교 교사들의 전문성 신장을 위한 자기장학 활성화 방안" 2003

      22 강미자, "교내 자율장학의 실태와 그 개선에 관한 연구" 1999

      23 "공립 유치원 교사의 자기장학 실행정도가 학급경영에 미치는 영향" 14 (14): 5-19, 2005

      24 강 률, "고등학교 교사의 자기장학 활동 실태와 효과에 관한 인식 연구" 2002

      25 박미정, "가정과교육의 미래 발전 전략 탐색 정체성과 임파워먼트 및 비전을 중심으로" 2006

      26 송미선, "가정과교사의 연수실태 분석 및 가정과 연수의 방향" 61-87, 2006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9-03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 Journal of Home Economics Education Research KCI등재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0-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43 1.43 1.3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49 1.37 1.63 0.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