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행동의 활성화 및 억제 성향과 음주행동 간의 관계에서 음주 억제 및 거부의 역할 = The Roles of Drinking Control or Refusal in BAS/BIS and Drinking Behaviors of College Student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55736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행동활성화 및 행동억제와 대학생의 문제음주 간의 관계를 분석하고, 그 관계에서 음주 억제나 거부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참여자는 남녀 대학생 295명(남: 149, ...

      본 연구에서는 행동활성화 및 행동억제와 대학생의 문제음주 간의 관계를 분석하고, 그 관계에서 음주 억제나 거부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참여자는 남녀 대학생 295명(남: 149, 여: 146)이었으며, 평균 연령은 21.59세였다. 분석 결과, 행동활성화 체계는 대학생의 문제음주와 유의한 정적 상관이 있었지만, 행동억제 체계는 상관이 없었다. 음주 억제나 거부는 음주활성화 및 문제음주와 부적상관이 있었다. 단계적 회귀분석에서는 사회적 상황에서 음주 억제나 거부가 문제음주를 가장 잘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문제음주의 변량 26.3%과 위험음주 변량 38.8%를 설명하고 있었다. 음주 억제나 거부가 행동활성화와 위험음주 간의 관계를 부분적으로 매개하고, 행동활성화와 문제음주 간의 관계는 완전하게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기질적 성격인 행동활성화 체계와 음주와의 관계를 검증하고, 그 관계에서의 음주 억제나 거부의 역할을 확인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investigated the relation of behavioral activation system (BAS) or behavioral inhibition system (BIS) to problematic drinking of college students, and examined the mediating effect of drinking control or refusal. The participants were 295 (...

      This study investigated the relation of behavioral activation system (BAS) or behavioral inhibition system (BIS) to problematic drinking of college students, and examined the mediating effect of drinking control or refusal. The participants were 295 (149 males and 146 females) college students, and their average of ages was 12.59. Results indicated that BAS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problematic drinking, while BIS was not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Drinking control or refusal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problematic drinking as well as BAS. Stepwise regression analyses reveled that drinking control or refusal in social situation accounted the most variance of problematic drinking, it accounted 26.3% of problematic drinking and 38.8% of dangerous drinking. It was found that drinking control or refusal was partially mediating on BAS and dangerous drinking, and totally mediating on BAS and problematic drinking of college students. Results of this study identified relationship between BAS and problematic drinking, and suggests the role of drinking control or refusal in the relationship.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서경현, "행동활성화 및 행동억제 체계, 성별, 음주가족력과 대학생의 음주동기 및 문제음주" 한국건강심리학회 11 (11): 2006

      2 김교헌, "한국판 행동활성화 및 행동억제 체계(BAS/BIS)척도" 6 (6): 19-37, 2001

      3 양난미, "한국판 대학생활 음주 중요성 인식 척도 개발과 타당화 연구" 한국상담심리학회 27 (27): 41-61, 2015

      4 서지현, "자기관리수업을 통한 충동성의 감소가 건강증진 행동 및 전반적인 다양한 자기통제 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건강심리학회 19 (19): 929-955, 2014

      5 박현림, "알코올 중독자의 정서인식력과 자기개념, 대인관계 문제 간의 관계" 한국건강심리학회 19 (19): 219-234, 2014

      6 권영실, "알코올 사용 장애자의 자살생각과 자아 통제감, 무망감 및 가족지지의 관계" 한국건강심리학회 19 (19): 585-601, 2014

      7 정나래, "수용 전념 치료(ACT)가 알코올 의존 환자들의 정신건강에 미치는 효과" 한국건강심리학회 19 (19): 909-927, 2014

      8 신행우, "성격과 음주동기가 음주문제에 미치는 영향" 高麗大學校 大學院 1998

      9 김인석, "성격, 주변인의 영향, 음주동기가 음주 및 음주문제에 미치는 영향" 한국임상심리학회 22 (22): 525-541, 2003

      10 원성두, "목표중심 자기조절 척도의 개발 및 타당화" 한국건강심리학회 20 (20): 785-802, 2015

      1 서경현, "행동활성화 및 행동억제 체계, 성별, 음주가족력과 대학생의 음주동기 및 문제음주" 한국건강심리학회 11 (11): 2006

      2 김교헌, "한국판 행동활성화 및 행동억제 체계(BAS/BIS)척도" 6 (6): 19-37, 2001

      3 양난미, "한국판 대학생활 음주 중요성 인식 척도 개발과 타당화 연구" 한국상담심리학회 27 (27): 41-61, 2015

      4 서지현, "자기관리수업을 통한 충동성의 감소가 건강증진 행동 및 전반적인 다양한 자기통제 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건강심리학회 19 (19): 929-955, 2014

      5 박현림, "알코올 중독자의 정서인식력과 자기개념, 대인관계 문제 간의 관계" 한국건강심리학회 19 (19): 219-234, 2014

      6 권영실, "알코올 사용 장애자의 자살생각과 자아 통제감, 무망감 및 가족지지의 관계" 한국건강심리학회 19 (19): 585-601, 2014

      7 정나래, "수용 전념 치료(ACT)가 알코올 의존 환자들의 정신건강에 미치는 효과" 한국건강심리학회 19 (19): 909-927, 2014

      8 신행우, "성격과 음주동기가 음주문제에 미치는 영향" 高麗大學校 大學院 1998

      9 김인석, "성격, 주변인의 영향, 음주동기가 음주 및 음주문제에 미치는 영향" 한국임상심리학회 22 (22): 525-541, 2003

      10 원성두, "목표중심 자기조절 척도의 개발 및 타당화" 한국건강심리학회 20 (20): 785-802, 2015

      11 고유미, "대학생의 음주억제와 음주행동의 관계에서 음주거부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한국건강심리학회 14 (14): 891-909, 2009

      12 고유미, "대학생의 음주억제, 음주거부 자기효능감과 음주행동간의 관계" 중앙대학교 대학원 2006

      13 제갈정, "대학생의 음주실태와 개선방안" 42-, 2011

      14 전재은, "대학생의 성별에 따른 음주행위와 학업자기효능감이 학업성과에 미치는 영향 분석: 학업태만행위의 매개효과" 교육연구소 16 (16): 263-288, 2015

      15 김광기, "대학교의 환경적 특성이 음주폐해에 미친 영향" 한국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 23 (23): 65-83, 2006

      16 Oei, T. P. S., "Young schema questionnaire : review of psychometric and measurement issues" 59 : 78-86, 2007

      17 Gray, J. A., "The neuropsychology of anxiety: An enquiry into the functions of the septo-hippocampal system" Oxford University Press 2000

      18 Baron, R. M., "The moderator-mediator variable distinction in social psychological research" 51 : 1173-1182, 1986

      19 Hasking, P. A., "The differential role of alcohol expectancies, drinking refusal self-efficacy and coping resources in predicting alcohol consumption in community and clinical samples" 10 : 465-494, 2002

      20 Oei, T. P. S., "The differential role of alcohol expectancies and DRSE in problem and non-problem drinkers" 59 : 704-711, 1998

      21 Ruderman, A. J., "The development of a Restrained Drinking Scale : A test of the abstinence violation effect among alcohol users" 9 : 365-371, 1984

      22 Eysenck, H. J., "The biological basis of personality" Charles Thomas 1967

      23 성근혜, "The Associations between Aggression, Acquired Capability for Suicide and Suicidal Behavior in Male Alcohol Use Disorders" 한국건강심리학회 20 (20): 253-265, 2015

      24 Nathan, P. E., "The Addictive personalty is the behavior of the addict" 56 : 395-402, 1988

      25 Burling, T. A., "Self-efficacy and relapse among inpatient drug and alcohol abusers: A predictor of outcome" 50 : 354-360, 1989

      26 Bandura, A., "Self-Efficacy: The Exercise of Control" Freeman 1997

      27 Williams, R. J., "Restrained drinking and cognitive control among adolescents" 34 : 557-565, 1999

      28 Eysenck, H. J., "Response variability to psychotropic drugs" pergamon 1983

      29 Nusslock, R., "Psychosocial Interventions for Bipolar Disorder : Perspective from the Behavioral Approach System(BAS)Dysregulation Theory" 16 (16): 449-469, 2009

      30 Gray, J. A., "Perspectives on anxiety and impulsivity : A commentary" 21 : 493-509, 1987

      31 Sher, K. J., "Personalty and disinhibitory psychopathology : Alcoholism and antisocial personalty disorder" 103 : 92-102, 1994

      32 Claridge, G. S., "Personality and arousal" Pergamon 1967

      33 Olivier, G., "Individual differences in prefrontal cortex function and the transition from drug use to drug dependence" 35 : 232-247, 2010

      34 Goldman, M. S., "Handbook of implicit cognition and addiction" Sage 105-119, 2006

      35 Wheeler, R. E., "Frontal brain asymmetry and emotional reactivity : A biological substrate of affective style" 30 : 82-89, 1993

      36 Stevens, R., "Erik Erikson: An Introduction" St. Martin's Press 1983

      37 U. S. DHHS., "Eight special report to the U.S. Congress on Alcohol and Health" 1996

      38 Connor, J. P., "Drinking restraint versus alcohol expectancies : which is the better indicator of alcohol problems?" 61 : 352-359, 2000

      39 Collins, R. L., "Drinking restraint and risk for alcohol abuse" 1 : 44-54, 1993

      40 Oei, T. P. S., "Drinking refusal self-efficacy questionnaire-revised(DRSEQ-R) : A new factor structure with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78 : 297-307, 2005

      41 O'Connor, R. M., "Distinguishing BAS risk for university students' drinking, smoking, and gambling behaviors" 46 : 514-519, 2009

      42 Fishbein, D. H., "Differential susceptibility to comorbid drug abuse and violence. Journal of Drug Issues" 28 : 859-891, 1998

      43 Sher, K. J., "Characteristics of children of alcoholics : Putative risk factors, substance use and abuse, and psychopathology" 100 : 427-448, 1991

      44 Papachristou, H., "Can't stop the craving : The effect of impulsivity on cue-elicited craving for alcohol in heavy and light social drinkers" 219 : 511-518, 2012

      45 Gray, J. A., "Brain systems that mediate both emotion and cognition" 4 : 269-288, 1990

      46 Nebylitsyn, V. D., "Biological bases of individual behavior" Academic Press, Inc 1972

      47 Collins, R. L., "Binge drinking among underage college students : A test of a restraint-based conceptualization of risk for alcohol abuse" 15 : 333-340, 2001

      48 Carver, C. S., "Behavioral inhibition, behavioral activation, and affective responses to impending reward and punishment : The BIS/BAS scales" 67 : 319-333, 1994

      49 Gable, L. S., "Behavioral activation and inhibition in everyday life" 78 : 1135-1149, 2000

      50 Wallace, J., "Alcoholism: New light on the disease" Edgehill Publications 1985

      51 Allan, C. A., "Alcohol problems and anxiety disorders : Clinical review" 30 : 145-151, 1995

      52 Giancola, P. R., "Alcohol myopia revisited : Clarifying aggression and other acts of disinhibition through a distorted lens" 5 (5): 265-278, 2010

      53 MacLaren, V., "Alcohol dependence and the reinforcement sensitivity theory of personality" 7 (7): 219-242, 2011

      54 Babor, T. F., "AUDIT-the Alcohol Use Disorders Identification Test: Guidelines for Use in Primary Heath Care" World Health Organization, Division of Mental Health 1989

      55 Cloninger, C. R., "A Systematic method for clinical description and classification of personality variants" 44 : 573-588, 1987

      56 경찰청, "2012년 범죄통계" 경찰청 2013

      57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03년도 국민건강영양조사-보건의식행태조사" 2003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1999-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2.14 2.14 2.1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2.34 2.47 2.766 0.5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