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문제 제기 2. 민족의 이름으로 선택된 가치로서의 민주주의 3. 한국전쟁과 민주주의 담론의 저항담론화 4. 민주주의의 한국화 대 한국의 민주화 5. 새로운 민주주의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G3605824
2004년
Korean
한국연구재단(NRF)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1. 문제 제기 2. 민족의 이름으로 선택된 가치로서의 민주주의 3. 한국전쟁과 민주주의 담론의 저항담론화 4. 민주주의의 한국화 대 한국의 민주화 5. 새로운 민주주의
1. 문제 제기
2. 민족의 이름으로 선택된 가치로서의 민주주의
3. 한국전쟁과 민주주의 담론의 저항담론화
4. 민주주의의 한국화 대 한국의 민주화
5. 새로운 민주주의
국문 초록 (Abstract)
이 글은 민주주의를 재현한 다양한 주체 중 저항세력이 재현한 민주주의 담론을 살펴보고자 한다. 지배세력들이 기득권을 유지하기 위해 민주주의 담론을 이용하여 민주주의의 실현을 가로...
이 글은 민주주의를 재현한 다양한 주체 중 저항세력이 재현한 민주주의 담론을 살펴보고자 한다. 지배세력들이 기득권을 유지하기 위해 민주주의 담론을 이용하여 민주주의의 실현을 가로막았다면, 피지배세력들은 민주주의를 실현하기 위해 지배층의 민주주의 담론과는 다른 민주주의 담론을 구성했다. 이 글은 한국사회의 다양한 집단 중 저항세력이 구성해낸 민주주의 담론을 추적한다. 이것은 무엇보다 왜 한국에서는 민주주의 담론이 헤게모니 담론이 되었는가? 다시 말해서 피지배세력 뿐만 아니라 지배세력까지도 왜 민주주의 담론을 활용할 수밖에 없었는가에 대한 물음에서 시작하여 피지배세력은 민주주의라는 상징을 자신의 것을 만들기 위해 어떤 담론전략을 활용했으며, 그것의 내용은 무엇인지를 살피려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