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의사관형구조 ‘에의’의 형성 과정과 요인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50599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고는 의사관형구조 ‘에의’가 국어의 통사구조에 나타난 시기와 그 원인을 분석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에의’가 국어의 문헌에서 확인되는 것은 1920년대이지만 적극적으로 쓰인 것은...

      본고는 의사관형구조 ‘에의’가 국어의 통사구조에 나타난 시기와 그 원인을 분석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에의’가 국어의 문헌에서 확인되는 것은 1920년대이지만 적극적으로 쓰인 것은 1930년대부터이다. 그러나 이러한 ‘에의’ 구조는 1920년대에 새롭게 형성된 통사구조가 아니라 중세국어부터 근대국어에 이르기까지 지속적으로 쓰이고 있었던 구조이다. ‘에의’의 소급형인 전기 중세국어의 ‘□□’(앗)이나 후기 중세국어의 ‘엣’이 국어의 통사구조에서 활발하게 쓰이다가 근대국어에 접어들어서 점진적으로 약화되었고 19세기에 이르면 거의 소멸 상태까지 이르다가 1920년을 전후하여 다시 재활성한다. 이러한 약화 현상의 근본적인 원인은 관형격조사 ‘ㅅ’의 기능 약화와, 17세기에 나타난 관형격조사 ‘에’와 부사격조사 ‘의’의 형태적 혼용 양상과 같은 요인이 가장 큰 영향을 끼쳤다고 본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한영균, "현대 한국어 문체 성립 과정의 한 변인" 2008

      2 남윤진, "현대 국어의 계량언어학적 연구" 서울대학교 1998

      3 김영민, "한국의 근대 신문과 근대 소설" 한국현대소설학회 29 (29): 9-29, 2006

      4 이선영, "한국어의 ‘NP1+엣+NP2’ 구성과 ‘NP1+ㅅ+NP2’ 구성" 형태론 8 (8): 295-311, 2006

      5 김미형, "한국어 문체의 현대화 과정 연구-신문 문장을 중심으로" 상명대학교 어문학연구소 7 : 1998

      6 전정례, "한·일 두 언어의 관형격조사와 열거격 조사의 변천연구" 6 : 229-254, 2000

      7 안병희, "중세국어의 속격어미 ‘ㅅ’ In: 국어사 연구" 문학과 지성사 1968

      8 안병희, "중세국어문법론" 학연사 1990

      9 이숭녕, "중세국어문법" 을유문화사 1981

      10 이광호, "중세국어 복합격조사의 연구 In: 국어문법의 이해 1" 태학사 1991

      1 한영균, "현대 한국어 문체 성립 과정의 한 변인" 2008

      2 남윤진, "현대 국어의 계량언어학적 연구" 서울대학교 1998

      3 김영민, "한국의 근대 신문과 근대 소설" 한국현대소설학회 29 (29): 9-29, 2006

      4 이선영, "한국어의 ‘NP1+엣+NP2’ 구성과 ‘NP1+ㅅ+NP2’ 구성" 형태론 8 (8): 295-311, 2006

      5 김미형, "한국어 문체의 현대화 과정 연구-신문 문장을 중심으로" 상명대학교 어문학연구소 7 : 1998

      6 전정례, "한·일 두 언어의 관형격조사와 열거격 조사의 변천연구" 6 : 229-254, 2000

      7 안병희, "중세국어의 속격어미 ‘ㅅ’ In: 국어사 연구" 문학과 지성사 1968

      8 안병희, "중세국어문법론" 학연사 1990

      9 이숭녕, "중세국어문법" 을유문화사 1981

      10 이광호, "중세국어 복합격조사의 연구 In: 국어문법의 이해 1" 태학사 1991

      11 이승희, "중세국어 ‘NP1앳 NP2’ 구성의 의미 유형에 대한 고찰" 국어학회 54 (54): 197-224, 2009

      12 정광, "일본어투 문장 표현" 5 (5): 87-107, 1995

      13 조재형(趙宰亨), "소위 複合格助詞 ‘엣’의 通時的 考察" 한국어문교육연구회 36 (36): 193-216, 2008

      14 홍윤표, "근대국어연구Ⅰ" 태학사 1994

      15 김영민, "근대계몽기 신문의 문체와 한글 소설의 정착과정" 한국문학연구학회 22 (22): 47-88, 2004

      16 남풍현, "국어사를 위한 구결 연구" 태학사 1999

      17 이기문, "국어사개설" 태학사 1972

      18 남풍현, "국어 처격조사의 발달 In: 이숭녕선생고희기념 국어국문학논총" 탑출판사 1977

      19 권용경, "국어 사이시옷에 대한 통시적 연구" 서울대 2001

      20 심재기, "관형화의 의미기능" 15 (15): 109-121, 1979

      21 김선효, "관형격조사 ‘의’의 격 지위와 기능 In:우리말 연구 서른 마당" 태학사 2004

      22 김선효, "관형격 조사구의 조사 중첩과 변천 양상," 2009

      23 이건식, "고려시대 석독구결의 조사에 대한 연구" 단국대 1996

      24 박진호, "고대문법, ≪국어의 시대별 변천연구3≫, 국립국어원"

      25 황선엽, "고대국어의 처격 조사" 18 : 305-328, 2006

      26 최경옥, "개화기 외래번역한자어의 수용" 55 (55): 2003

      27 김동언, "개화기 번역 문체 연구-‘텬로력뎡’을 중심으로" 4 : 1996

      28 한영균, "現代 國漢 混用 文體의 定着과 語彙의 變化 - ‘單音節 漢字+하(하)-’형 用言의 경우" 국어학회 51 (51): 229-256, 2008

      29 일본국립국어연구소[日本国立国語研究所編], "太陽コーパス" 博文館新社 2005

      30 이시가키 겐지[石垣謙二], "助詞の歴史的変遷" 岩波書店 1955

      31 하시모토 신키치[橋本進吉], "助詞·助詞句の研究" 岩波書店 1969

      32 니시다 나오토시[西田直敏], "助詞(1) In: 日本語7: 文法Ⅱ" 精興社 1977

      33 이현희, "19세기 초기부터 20세기 초기까지의 한국어는 어떤 모습이었나: 주로 문법사적 기술을 중심으로" 41 : 1-40, 2007

      34 이현희, "19세기 국어의 문법사적 고찰" 15 : 57-81, 1994

      35 민현식, "19세기 국어에 대한 종합적 검토" 국어국문학회 149 (149): 23-68, 2008

      36 上保 敏, "15세기 한국어의 처격체계" 구결학회 (18) : 289-315, 2007

      37 홍윤표, "15세기 국어의 격연구" 서울대 1969

      38 김영욱, "14세기 문법형태 ‘-/(의/ㅅ)’의 교체에 대하여" 2 : 1997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3 평가예정 계속평가 신청대상 (등재유지)
      2018-01-01 평가 우수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1998-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45 1.45 1.4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41 1.52 2.572 0.2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