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초등학교 1학년의 영어 이야기책과 정보책의 선호도 및 선호 요소 = Investigating First Graders’ Preferences for English Storybooks and Informational Books and Their Preference Determinant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07291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first graders’ preferences for storybooks and informational books and to analyze the factors that determine their preferences. For this study, 25 students in Seoul G elementary school participated in the pref...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first graders’ preferences for storybooks and informational books and to analyze the factors that determine their preferences. For this study, 25 students in Seoul G elementary school participated in the preference survey. The preference survey consisted of multiple choice and descriptive questions and was conducted before and after English book reading classes. According to the results, students preferred storybooks over informational books, and their preference for storybooks became stronger after the English book reading class. The analysis of factors that determine their preferences revealed that key determinants were related to content, aesthetic, form, and learning. When the determinants are carefully considered in book selection, both storybooks and information books can be an effective and interesting reading material for students to learn English. This study has significance in that it provides valuable insights into understanding book preference determinants when we need to consider the selection of storybooks and informational book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경미, "초등학교 저학년 영어교육에 관한 학생과 학부모의 인식 연구" 글로벌영어교육학회 23 (23): 255-286, 2018

      2 김정렬, "초등학교 1,2학년 영어교육과 관한 델파이 조사" 한국영어교육학회 62 (62): 487-511, 2007

      3 전은실, "초등 영어교육을 위한 동화의 활용" 10 (10): 55-71, 2006

      4 서울신문, "초등 방과후 영어수업 재개 무산...개학 코앞에 두고 학부모들 분통"

      5 중앙일보, "초등 1∼2학년 방과후 영어 허용된다. 선행학습금지법개정"

      6 은정화, "정보 텍스트와 상호 읽기 저널쓰기를 기반으로 하는 초등 영어 쓰기 지도" 글로벌영어교육학회 18 (18): 185-215, 2013

      7 김혜경, "이야기책을 활용한 초등 영어 읽기·듣기 통합 교육의 효과" 9 (9): 99-119, 2004

      8 최은수, "아동문학을 활용한 초등 영어교육의 효과: 메타분석" 한국영어교육학회 72 (72): 167-194, 2017

      9 김태은, "아동문학과 초등영어교육에 관한 종합적 분석 연구: 2006년부터 2015년까지 출판된 논문 중심으로" 현대영어교육학회 18 (18): 213-241, 2017

      10 김혜리, "아동문학 텍스트 기반 초등영어 읽기 전략 지도" 한국초등영어교육학회 16 (16): 85-121, 2010

      1 이경미, "초등학교 저학년 영어교육에 관한 학생과 학부모의 인식 연구" 글로벌영어교육학회 23 (23): 255-286, 2018

      2 김정렬, "초등학교 1,2학년 영어교육과 관한 델파이 조사" 한국영어교육학회 62 (62): 487-511, 2007

      3 전은실, "초등 영어교육을 위한 동화의 활용" 10 (10): 55-71, 2006

      4 서울신문, "초등 방과후 영어수업 재개 무산...개학 코앞에 두고 학부모들 분통"

      5 중앙일보, "초등 1∼2학년 방과후 영어 허용된다. 선행학습금지법개정"

      6 은정화, "정보 텍스트와 상호 읽기 저널쓰기를 기반으로 하는 초등 영어 쓰기 지도" 글로벌영어교육학회 18 (18): 185-215, 2013

      7 김혜경, "이야기책을 활용한 초등 영어 읽기·듣기 통합 교육의 효과" 9 (9): 99-119, 2004

      8 최은수, "아동문학을 활용한 초등 영어교육의 효과: 메타분석" 한국영어교육학회 72 (72): 167-194, 2017

      9 김태은, "아동문학과 초등영어교육에 관한 종합적 분석 연구: 2006년부터 2015년까지 출판된 논문 중심으로" 현대영어교육학회 18 (18): 213-241, 2017

      10 김혜리, "아동문학 텍스트 기반 초등영어 읽기 전략 지도" 한국초등영어교육학회 16 (16): 85-121, 2010

      11 이재근, "동화를 활용한 의사 소통 기능 중심 학습 자료 개발 연구-초등 영어 5?6학년 교과서를 중심으로-" 한국초등영어교육학회 13 (13): 165-193, 2007

      12 한국경제, "‘방과후 영어’ 재개 무산...사교육 또 부추기나"

      13 Kubler, A., "What’s the time, Mr. Wolf?" Child’s Play International Limited 2003

      14 Arlon, P., "Weather" Dorling Kindersley 2007

      15 Bour-Chollet, C., "Time" Moonlight Publishing 1994

      16 Cousins, L., "Maisy’s wonderful weather book" Walker Books 2006

      17 Kachka, A., "Lexile level analysis as a collection development tool" 8 (8): 35-36, 2012

      18 Pentimonti, J. M., "Informational text use in preschool classroom read-alouds" 63 (63): 656-665, 2010

      19 Ghosn, I. K., "Four good reasons to use literature in primary school ELT" 56 (56): 172-179, 2002

      20 Chapman, M., "First graders’ preferences for narrative and/or information books and perceptions of other boys’ and girls’ preferences" 30 (30): 531-553, 2007

      21 Correia, M. P., "Fiction vs. informational text : Which will kindergartners choose?" 66 (66): 100-104, 2011

      22 Deitcher, D. B., "Does book genre matter? Boys’ and girls’ world learning from narrative and informational books in preschool years" 42 (42): 193-211, 2019

      23 Donovan, C. A., "Considering genre, content, and visual features in the selection of trade books for science instruction" 55 (55): 502-520, 2002

      24 Arlon, P., "Colour" Dorling Kindersley 2007

      25 Temple, C., "Children’s books in children’s hands: An introduction to their literature" Pearson Allyn and Bacon 2005

      26 Clark, C., "Children’s and young people’s reading habits and preferences the who, what, why, where, and when" National Literacy Trust 2005

      27 Cabrera, J., "Cat’s colors" Puffin Books 2000

      28 Bour, L., "Bears" Moonlight Publishing 1992

      29 Timothy, R. C., "Assessing readability: Formulas and alternatives" 1984

      30 Browne, A., "A bear-y tale" Walker Books 2013

      31 Duke, N. K., "3. 6 minutes per day : The scarcity of informational texts in first grade" 35 (35): 202-224, 2000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2006-02-17 학회명변경 한글명 : 호남영어교육학회 -> 글로벌영어교육학회
      영문명 : The Honam English Teachers Association -> Global English Teachers Association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84 0.84 0.9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87 0.85 1.499 0.1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