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도에 도래하여 번식하는 긴꼬리딱새의 분포현황을 파악하기 위하여 2010년 번식기에 조사한 결과 124개체가 관찰되었다. 고도별로는 해발 83m에서부터 해발 1,106m까지 관찰되었으며, 해발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82643883
2011
Korean
긴꼬리딱새 ; 분포 ; 곶자왈 ; 하천 ; Black Paradise Flycatcher ; Distribution ; Gotjawal Forest ; Streams
484.05
KCI등재후보
학술저널
141-148(8쪽)
3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제주도에 도래하여 번식하는 긴꼬리딱새의 분포현황을 파악하기 위하여 2010년 번식기에 조사한 결과 124개체가 관찰되었다. 고도별로는 해발 83m에서부터 해발 1,106m까지 관찰되었으며, 해발 ...
제주도에 도래하여 번식하는 긴꼬리딱새의 분포현황을 파악하기 위하여 2010년 번식기에 조사한 결과 124개체가 관찰되었다. 고도별로는 해발 83m에서부터 해발 1,106m까지 관찰되었으며, 해발 500m에서 가장 높은 빈도로 분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곶자왈 지역인 저지와 동백동산 일대를 조사한 결과, 저지 곶자왈 지역은 70,344㎡당 1마리, 동백동산 곶자왈 지역은 8,213㎡ 당 1마리가 확인되어 동백동산 곶자왈 지역이 저지 곶자왈 지역보다 8배정도 높은 밀도로 관찰되었다. 이 결과는 두 지역에 있어 습지와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나 습지의 유무가 긴꼬리딱새의 서식에 중요한 요인임을 알 수 있었다. 제주도의 긴꼬리딱새 서식처인 곶자왈과 하천 주변은 무분별한 개발로 파괴되어 감소하고 있으나 이에 대한 보전노력은 전무한 실정이다. 또한 레저산업의 발달로 인해 사진을 찍거나 탐방하는 생태관광 인구가 늘어나면서 번식을 방해하는 경우가 증가하고 있어 이에 대한 보전 대책이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is surveyed for distribution of Black Paradise Flycatcher on Jeju Island, Korea. A total of 124 individuals were observed in Jeju in 2010. They were found at altitude between 83 and 1106 meters from the sea level, and their population densi...
This study is surveyed for distribution of Black Paradise Flycatcher on Jeju Island, Korea. A total of 124 individuals were observed in Jeju in 2010. They were found at altitude between 83 and 1106 meters from the sea level, and their population density was highest at around 500 meters above sea level. Two sites in ‘Gotjawal’ (a local term for ‘evergreen forest’) forest were studied and compared. There was one individual per 70,344 square meters in Jeoji Gotjawal Forest, while there was one individual per 8,213 square meters in Dongbaekdongsan Gotjawal Forest. The reason that one site has a population 8 times larger than that of the other similar site (Gotjawal forest) is the existence of wetlands (water ponds) in Dongbakedongsan Gotjawal Forest. This means that water is a very important factor for the successful breeding of the Black Paradise Flycatcher. While the breeding habitats are being destroyed every year, there are no efforts to protect them. Due to the development of Gotjawal Forest and streams, however, the bird’s habitats are decreasing. In addition, ecological tourism or wild bird photographing are also threatening the safe breeding of the birds. Thus, the long-term monitoring of the breeding sites is most essential for the protection of the birds.
참고문헌 (Reference)
1 제주도, "한라산의 하천" 한라산생태문화연구소 343-, 2006
2 임양재, "한라산의 식생" 1991
3 이우신, "한국의 새" LG상록재단 384-, 2000
4 제주특별자치도, "제주특별자치도 통계연보" 재승인쇄정보출판사 668-, 2010
5 영산강유역환경청, "제주의 삼광조․팔색조 이야기" 도서출판 한그루 90-, 2009
6 제주도, "제주어사전" 대영인쇄 625-, 1995
7 김완병, "제주도의 조류목록" 한국조류학회II 18 (18): 93-113, 2011
8 김완병, "제주도에서 흑로(Egretta sacra)의 번식성공율과 실패 요인" 한국조류학회II 16 (16): 1-9, 2009
9 송시태, "제주도 지하수의 함양과 오염에 영향을 미치는 숨골구조와 곶자왈 지대에 관한 연구" (1) : 68-69, 1996
10 제주도, "제주도 중산간지역 종합조사.제주도.716쪽" 제주도 716-, 1997
1 제주도, "한라산의 하천" 한라산생태문화연구소 343-, 2006
2 임양재, "한라산의 식생" 1991
3 이우신, "한국의 새" LG상록재단 384-, 2000
4 제주특별자치도, "제주특별자치도 통계연보" 재승인쇄정보출판사 668-, 2010
5 영산강유역환경청, "제주의 삼광조․팔색조 이야기" 도서출판 한그루 90-, 2009
6 제주도, "제주어사전" 대영인쇄 625-, 1995
7 김완병, "제주도의 조류목록" 한국조류학회II 18 (18): 93-113, 2011
8 김완병, "제주도에서 흑로(Egretta sacra)의 번식성공율과 실패 요인" 한국조류학회II 16 (16): 1-9, 2009
9 송시태, "제주도 지하수의 함양과 오염에 영향을 미치는 숨골구조와 곶자왈 지대에 관한 연구" (1) : 68-69, 1996
10 제주도, "제주도 중산간지역 종합조사.제주도.716쪽" 제주도 716-, 1997
11 송시태, "제주도 곶자왈지대의 용암No. 1. 조천-함덕 곶자왈지대" 대한지질학회 38 (38): 377-389, 2002
12 최태영, "설악산 국립공원의 산양 보호구역 설정기법에 관한 연구 : 서식지 적합성 모형, 서식지 수용능력, 최소 존속 개체군 이론을 이용하여" 한국조경학회 32 (32): 23-35, 2005
13 환경부, "멸종위기야생 동 ․ 식물 화보집(개정판)" 환경부 249-, 2009
14 영산강유역환경청, "남도의 멸종위기 야생 동 ․ 식물" 시보출판사 203-, 2006
15 Currie D., "The distribution and population of Seychelles Black Paradise-flycatcher Terpsiphone corvina in La Digue: Implications for conservation and translocation" 13 : 307-318, 2003
16 Saiki M, "The breeding habitat of the Black Paradise Flycatcher in the Kiyosumi mountains, Chiba Prefecture" 55 : 18-23, 2006
17 Brazil M, "The Birds of East Asia" Black Publishers Ltd 302-303, 2009
18 Kim Y. H, "Nest environment selection of Black Paradise Flycatcher (Tersiphone atrocaudata)" 17 (17): 11-19, 2010
19 Currie D., "Habitat requirements of the Seychelles Black Paradise Flycatcher Terpsiphone corvina: a re-evaluation of translocation priorities" 145 (145): 624-636, 2003
20 Bibby C. J, "Bird Census Techniques" Academic Pess 257-, 1992
한국에서의 참매 Accipiter gentilis 번식생태 연구
한국산 야생 청둥오리의 카드뮴(Cd)과 납(Pb) 오염
월악산에 서식하는 노랑할미새 Motacilla cinerea의 번식생태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8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2-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 |
2018-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7-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5-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2013-04-01 | 평가 | 등재후보 탈락 (기타) | |
2011-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 ![]() |
2009-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06 | 0.06 | 0.04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19 | 0.17 | 0.296 | 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