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신라승의 受戒와 僧籍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신라승에 대한 종합적인 이해는 크게 出家와 度僧, 受戒와 僧籍, 師事와 求法, 創寺와 傳法 등 네 단계로 나누어 살필 수 있다. 僧傳과 선사들의 탑비에는 출가와 수계에 대한 기록은 소략하거나 누락된 경우가 많고, 師事와 傳法에 대해 많은 부분을 할애하고 있다. 비록 자료가 빈약하지만 受戒와 僧籍이라는 문제에 국한시켜 살펴보았다.
      첫째, 출가 이후 사미(사미니)계를 받을 때까지의 행적을 고찰하였다. 출가사원과 出家師는 어떻게 선정되었는가?라는 문제도 주목하였다. 출가사찰이나 出家師를 선정하는 것은 부모의 의지가 반영되고 있다. 그리고 출가인의 영향이 출가승의 일생에 큰 부분을 차지한다고는 할 수 없으나 이후 행적과 사상에 많은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밝혔다.
      둘째, 사미(사미니)계의 내용을 고찰하였다. 사분률에는 사미계로서 10개의 戒律門과 24科 284條로 구성된 威儀門을 들고 있다. 신라 사미(사미니)들이 사미계를 충실히 지키려고 노력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셋째, 사미(사미니) 이후 구족계를 받을 때까지의 행적을 고찰하였다. 사미계를 받고 난 이후 수학한 경전은 일정하지 않으나 경전 연구에 매진하였으며, 그것이 어느 정도 완성되면 또 다른 스승을 찾아 순력하거나 특정 사찰에 가서 수학하기도 하였다. 이러한 과정이 구족계를 받기 위한 필수적인 조건이었음을 밝혀보았다.
      넷째, 구족계의 내용과 수계 사원을 고찰하였다. 통도사 금강계단 설립 이전에는 어떻게 수계하였는가? 수계가 이루어진 사찰은 어느 곳인가? 출가사원과 수계사원을 의도적으로 구분했는가? 계단사원은 교종사찰에만 존재했는가? 사단사원도 있었는가? 私壇寺院도 있었는가? 등등의 문제도 주목하였다. 백제의 경우 587~588년경 이전부터 10사에 의한 수계 작법이 존재하였다. 신라 역시 四分律에 근거하여 수계시 10사 제도를 충실히 수행하고 있었다다. 관단사원으로 불리는 수계사원은 通度寺(良州)・嚴川寺(康州)・長谷寺・莊義寺(漢州)・福泉寺(溟州)・普願寺(熊州)・華嚴寺(全州)・靈神寺(武州)・法泉寺(朔州) 등이 있었다. 관단사원은 지역적인 안배로 각 州에 하나 혹은 두 개가 있었으며, 중고기에는 통도사가, 중대에는 화엄사가 수계의 대표적 사원이었다. 신라의 계율사상이 중고기에는 律師가, 중대에는 유가계 승려들을 중심으로 이루어졌다는 사실과 비교해 화엄계의 계단사원이 많다는 것은 화엄이 하대에도 성행하였음을 반증하는 한편 교단의 중심적인 역할을 수행했던 것을 알 수 있다. 그리고 화엄종 사원에도 수계와 관련한 승려가 존재했음을 부석사에서 확인할 것이다. ‘관단’이라는 표현을 쓰고 있는 것을 보면, 반대로 사찰이 독자적으로 계
      번역하기

      신라승에 대한 종합적인 이해는 크게 出家와 度僧, 受戒와 僧籍, 師事와 求法, 創寺와 傳法 등 네 단계로 나누어 살필 수 있다. 僧傳과 선사들의 탑비에는 출가와 수계에 대한 기록은 소략하...

      신라승에 대한 종합적인 이해는 크게 出家와 度僧, 受戒와 僧籍, 師事와 求法, 創寺와 傳法 등 네 단계로 나누어 살필 수 있다. 僧傳과 선사들의 탑비에는 출가와 수계에 대한 기록은 소략하거나 누락된 경우가 많고, 師事와 傳法에 대해 많은 부분을 할애하고 있다. 비록 자료가 빈약하지만 受戒와 僧籍이라는 문제에 국한시켜 살펴보았다.
      첫째, 출가 이후 사미(사미니)계를 받을 때까지의 행적을 고찰하였다. 출가사원과 出家師는 어떻게 선정되었는가?라는 문제도 주목하였다. 출가사찰이나 出家師를 선정하는 것은 부모의 의지가 반영되고 있다. 그리고 출가인의 영향이 출가승의 일생에 큰 부분을 차지한다고는 할 수 없으나 이후 행적과 사상에 많은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밝혔다.
      둘째, 사미(사미니)계의 내용을 고찰하였다. 사분률에는 사미계로서 10개의 戒律門과 24科 284條로 구성된 威儀門을 들고 있다. 신라 사미(사미니)들이 사미계를 충실히 지키려고 노력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셋째, 사미(사미니) 이후 구족계를 받을 때까지의 행적을 고찰하였다. 사미계를 받고 난 이후 수학한 경전은 일정하지 않으나 경전 연구에 매진하였으며, 그것이 어느 정도 완성되면 또 다른 스승을 찾아 순력하거나 특정 사찰에 가서 수학하기도 하였다. 이러한 과정이 구족계를 받기 위한 필수적인 조건이었음을 밝혀보았다.
      넷째, 구족계의 내용과 수계 사원을 고찰하였다. 통도사 금강계단 설립 이전에는 어떻게 수계하였는가? 수계가 이루어진 사찰은 어느 곳인가? 출가사원과 수계사원을 의도적으로 구분했는가? 계단사원은 교종사찰에만 존재했는가? 사단사원도 있었는가? 私壇寺院도 있었는가? 등등의 문제도 주목하였다. 백제의 경우 587~588년경 이전부터 10사에 의한 수계 작법이 존재하였다. 신라 역시 四分律에 근거하여 수계시 10사 제도를 충실히 수행하고 있었다다. 관단사원으로 불리는 수계사원은 通度寺(良州)・嚴川寺(康州)・長谷寺・莊義寺(漢州)・福泉寺(溟州)・普願寺(熊州)・華嚴寺(全州)・靈神寺(武州)・法泉寺(朔州) 등이 있었다. 관단사원은 지역적인 안배로 각 州에 하나 혹은 두 개가 있었으며, 중고기에는 통도사가, 중대에는 화엄사가 수계의 대표적 사원이었다. 신라의 계율사상이 중고기에는 律師가, 중대에는 유가계 승려들을 중심으로 이루어졌다는 사실과 비교해 화엄계의 계단사원이 많다는 것은 화엄이 하대에도 성행하였음을 반증하는 한편 교단의 중심적인 역할을 수행했던 것을 알 수 있다. 그리고 화엄종 사원에도 수계와 관련한 승려가 존재했음을 부석사에서 확인할 것이다. ‘관단’이라는 표현을 쓰고 있는 것을 보면, 반대로 사찰이 독자적으로 계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Examined the data is poor, but to confine the problem is upasampada(具足戒) and seungjeok's(僧籍;priesthood).
      First of all, get ordained after Sami preceptse(沙彌戒) received until the acts were investigated. Reflect the willingness of the parents to have been ordained Buddhist temples or select monks(出家师). And a lot of influence on the acts and thoughts of the impact of being monks a big part in your life that you can, but since has said.
      Second, the contents of Sami preceptse(沙彌戒) were investigated. Silla Sami faithfully defend the effort was able to verify that.
      Third, since Sami upasampada(gujokgye) receive until the acts were investigated. Sami, was sold in an irreverent study, go to another teacher or go to certain temples and studied.
      Fourth, the contents of the upasampada(gujokgye) and the precept that temples were investigated. Silla Dharmagupta Vinaya(四分律) based on 10 monks system had to fulfill. Gwandan Temple(官壇寺院) was Tongdosa, Umcheonsa, Janggoksa, Janguiesa, Bokcheonsa, Bowonsa, Hwaumsa, Youngsinsa, Beopcheonsa. Regional arrangement, each gwandan temple county(州) one or two were Tongdosa the pre-stage(中古期), Middle Ages(中代) Hwaeomsa representative temple.
      Fifth, since the process of being incorporated in the seungjeok's(僧籍;priesthood) upasampada(gujokgye) investigated. Se
      번역하기

      Examined the data is poor, but to confine the problem is upasampada(具足戒) and seungjeok's(僧籍;priesthood). First of all, get ordained after Sami preceptse(沙彌戒) received until the acts were investigated. Reflect the willingness of the par...

      Examined the data is poor, but to confine the problem is upasampada(具足戒) and seungjeok's(僧籍;priesthood).
      First of all, get ordained after Sami preceptse(沙彌戒) received until the acts were investigated. Reflect the willingness of the parents to have been ordained Buddhist temples or select monks(出家师). And a lot of influence on the acts and thoughts of the impact of being monks a big part in your life that you can, but since has said.
      Second, the contents of Sami preceptse(沙彌戒) were investigated. Silla Sami faithfully defend the effort was able to verify that.
      Third, since Sami upasampada(gujokgye) receive until the acts were investigated. Sami, was sold in an irreverent study, go to another teacher or go to certain temples and studied.
      Fourth, the contents of the upasampada(gujokgye) and the precept that temples were investigated. Silla Dharmagupta Vinaya(四分律) based on 10 monks system had to fulfill. Gwandan Temple(官壇寺院) was Tongdosa, Umcheonsa, Janggoksa, Janguiesa, Bokcheonsa, Bowonsa, Hwaumsa, Youngsinsa, Beopcheonsa. Regional arrangement, each gwandan temple county(州) one or two were Tongdosa the pre-stage(中古期), Middle Ages(中代) Hwaeomsa representative temple.
      Fifth, since the process of being incorporated in the seungjeok's(僧籍;priesthood) upasampada(gujokgye) investigated. Se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