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초등 사회과 학습내용의 학년군별 연계성 분석- 2015 개정 교육과정 성취기준을 중심으로 - = An Analysis of the Connectivity of Contents by Grade Clusters in Elementary Social Studies - Focusing on Curriculum Achievement Standards Revised in 2015 -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98877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connectivity of contents by grade clusters in elementary social studies. It focused only on achievement standards related to social studies in middle elementary grade social studies and the Intelligent Life curriculum revised in 2015. Learning contents of social studies are known to be organized based on the expanding environment and spiral curriculum. In this aspect, achievement standards were analyzed from vertical connections. That is to say, in a sequence, contents are gradually intensified and expanded, and in a continuance the contents are organized by repetition. Analysis of the results showed that the connectivity rate between grade clusters 1-2 and 3-4 was 48.6%, and between 3-4 and 5-6 was 69.2 percent.
      Therefore, the connectivity of 3-4 and 5-6 grade clusters was higher than that for grade clusters 1-2 and 3-4.
      In the area of social studies, the connectivity ratio of geography (76.9%) was the highest, general society (46.2%) was in the middle, and history (33.3%) was the lowest. Based on the results, the following measures were suggested to improve the connectivity of contents in elementary social studies: first, implementation of systematization of concepts by researching the organization of learning concepts in elementary social studies can be done; and next, joint research by researchers in elementary social studies and Intelligent Life curriculum can be undertaken. This researcher hopes that this study provides an opportunity to consider the connectivity of elementary social studies and provide a basis for further research. Hopefully, the process of elementary social studies education will be solidified in the future.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connectivity of contents by grade clusters in elementary social studies. It focused only on achievement standards related to social studies in middle elementary grade social studies and the Intelligent Lif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connectivity of contents by grade clusters in elementary social studies. It focused only on achievement standards related to social studies in middle elementary grade social studies and the Intelligent Life curriculum revised in 2015. Learning contents of social studies are known to be organized based on the expanding environment and spiral curriculum. In this aspect, achievement standards were analyzed from vertical connections. That is to say, in a sequence, contents are gradually intensified and expanded, and in a continuance the contents are organized by repetition. Analysis of the results showed that the connectivity rate between grade clusters 1-2 and 3-4 was 48.6%, and between 3-4 and 5-6 was 69.2 percent.
      Therefore, the connectivity of 3-4 and 5-6 grade clusters was higher than that for grade clusters 1-2 and 3-4.
      In the area of social studies, the connectivity ratio of geography (76.9%) was the highest, general society (46.2%) was in the middle, and history (33.3%) was the lowest. Based on the results, the following measures were suggested to improve the connectivity of contents in elementary social studies: first, implementation of systematization of concepts by researching the organization of learning concepts in elementary social studies can be done; and next, joint research by researchers in elementary social studies and Intelligent Life curriculum can be undertaken. This researcher hopes that this study provides an opportunity to consider the connectivity of elementary social studies and provide a basis for further research. Hopefully, the process of elementary social studies education will be solidified in the future.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2015 개정 초등 사회과 교육과정과 슬기로운 생활과의 교육과정 중 사회과와 관련된 성취기준을 대상으로 하여 초등 사회과 학습내용의 학년군별 연계성 분석을 목적으로 한다. 사회과 학습 내용은 환경확대법과 나선형 배열 원리를 중심으로 조직되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조직 원리에 근거하여 학습 내용이 점진적으로 심화 및 확대되어 조직되는 것을 의미하는 계열성과, 학습 내용이 반복되어 조직되는 것을 의미하는 계속성에 기초한 수직적 연계성을 분석의 관점으로 삼아 성취기준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1∼2학년군과 3∼4학년군의 연계율은 48.6%, 3∼4학년군과 5∼6학년군의 연계율은 69.2%로 3∼4학년군과 5∼6학년군의 연계율이 더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사회과 영역별로는 지리영역 76.9%, 일반사회영역 46.2%, 역사영역 33.3%로 지리영역의 연계율이 높고, 역사영역의 연계율이 낮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초등 사회과 학습내용의 연계성을 높이기 위한 방안으로 초등 사회과 학습 개념의 체계화 연구를 통한 개념의 계열화와 슬기로운 생활의 교육과정 연구자와 초등 사회과 교육과정 연구자들의 공동 연구를 제안하였다. 본 연구가 초등 사회과의 연계성에 대한 고민과 후속 연구의 단초를 제공하여 초등 사회과교육의 학습 과정이 더욱 견고해 지기를 기대해 본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2015 개정 초등 사회과 교육과정과 슬기로운 생활과의 교육과정 중 사회과와 관련된 성취기준을 대상으로 하여 초등 사회과 학습내용의 학년군별 연계성 분석을 목적으로 한다. 사...

      본 연구는 2015 개정 초등 사회과 교육과정과 슬기로운 생활과의 교육과정 중 사회과와 관련된 성취기준을 대상으로 하여 초등 사회과 학습내용의 학년군별 연계성 분석을 목적으로 한다. 사회과 학습 내용은 환경확대법과 나선형 배열 원리를 중심으로 조직되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조직 원리에 근거하여 학습 내용이 점진적으로 심화 및 확대되어 조직되는 것을 의미하는 계열성과, 학습 내용이 반복되어 조직되는 것을 의미하는 계속성에 기초한 수직적 연계성을 분석의 관점으로 삼아 성취기준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1∼2학년군과 3∼4학년군의 연계율은 48.6%, 3∼4학년군과 5∼6학년군의 연계율은 69.2%로 3∼4학년군과 5∼6학년군의 연계율이 더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사회과 영역별로는 지리영역 76.9%, 일반사회영역 46.2%, 역사영역 33.3%로 지리영역의 연계율이 높고, 역사영역의 연계율이 낮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초등 사회과 학습내용의 연계성을 높이기 위한 방안으로 초등 사회과 학습 개념의 체계화 연구를 통한 개념의 계열화와 슬기로운 생활의 교육과정 연구자와 초등 사회과 교육과정 연구자들의 공동 연구를 제안하였다. 본 연구가 초등 사회과의 연계성에 대한 고민과 후속 연구의 단초를 제공하여 초등 사회과교육의 학습 과정이 더욱 견고해 지기를 기대해 본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정우, "초등학생들의 사회 교과서 어휘에 대한 이해도:6학년 2학기 사회 교과서를 중심으로" 한국사회과교육학회 39 (39): 213-236, 2007

      2 박미림, "초등학교와 중학교 체육과 교육과정경쟁 활동영역의 연계성 탐색" 한국초등교육학회 27 (27): 29-55, 2014

      3 이환기, "초등학교 교과로서 통합교과의 성격 탐색" 한국통합교육과정학회 9 (9): 1-31, 2015

      4 이승미, "초등학교 1학년과 유치원의 교육과정 연계성 분석" 한국교육과정학회 28 (28): 59-90, 2010

      5 은지용, "초등 저학년 통합 교과 교육과정에 대한 비판적 고찰 -‘사회생활’ 영역을 중심으로-" 한국사회과교육학회 44 (44): 173-217, 2012

      6 박순경, "초등 저학년 교육과정에서의 교육 내용 중복과 교과 통합 방식 고찰" 한국교육과정학회 27 (27): 119-140, 2009

      7 김진숙, "초, 중등학교 교육과정 연계성에 대한 국제비교"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3

      8 이돈희, "제7차 교육과정개정에 따른 교과 교육과정 개발 체제에 관한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교육과정 개정연구위원회 1997

      9 장혜원, "유치원 교육과정과 초등수학 교육과정의 내용 연계성 분석 -누리과정과 2009 개정 수학과 교육과정을 대상으로-" 대한수학교육학회 25 (25): 207-223, 2015

      10 이영애, "슬기로운 생활과와 초등 사회과의 연계성에 관한 연구: 2009개정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경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2016

      1 이정우, "초등학생들의 사회 교과서 어휘에 대한 이해도:6학년 2학기 사회 교과서를 중심으로" 한국사회과교육학회 39 (39): 213-236, 2007

      2 박미림, "초등학교와 중학교 체육과 교육과정경쟁 활동영역의 연계성 탐색" 한국초등교육학회 27 (27): 29-55, 2014

      3 이환기, "초등학교 교과로서 통합교과의 성격 탐색" 한국통합교육과정학회 9 (9): 1-31, 2015

      4 이승미, "초등학교 1학년과 유치원의 교육과정 연계성 분석" 한국교육과정학회 28 (28): 59-90, 2010

      5 은지용, "초등 저학년 통합 교과 교육과정에 대한 비판적 고찰 -‘사회생활’ 영역을 중심으로-" 한국사회과교육학회 44 (44): 173-217, 2012

      6 박순경, "초등 저학년 교육과정에서의 교육 내용 중복과 교과 통합 방식 고찰" 한국교육과정학회 27 (27): 119-140, 2009

      7 김진숙, "초, 중등학교 교육과정 연계성에 대한 국제비교"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3

      8 이돈희, "제7차 교육과정개정에 따른 교과 교육과정 개발 체제에 관한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교육과정 개정연구위원회 1997

      9 장혜원, "유치원 교육과정과 초등수학 교육과정의 내용 연계성 분석 -누리과정과 2009 개정 수학과 교육과정을 대상으로-" 대한수학교육학회 25 (25): 207-223, 2015

      10 이영애, "슬기로운 생활과와 초등 사회과의 연계성에 관한 연구: 2009개정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경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2016

      11 이광원, "사회과와의 연계성에 기초한 슬기로운 생활과 내용분석 및 재구성"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09

      12 최용규, "사회과, 교육과정에서 수업까지" 교육과학사 2008

      13 교육부, "사회과 교육과정. 교육부 고시 제2015-74호[별책 7]"

      14 교육부, "바른생활, 슬기로운 생활, 즐거운 생활 교육과정, 교육부 고시 제 2015-74호 [별책 15]"

      15 서울대학교 교육연구소, "교육학 용어사전" 하우 1994

      16 홍후조, "교육과정의 이해와 개발" 문음사 2002

      17 Tyler, R. W., "교육과정과 학습지도의 기본원리" 교육과학사 1987

      18 남경희, "교육과정 논쟁으로 본 슬기로운 생활 교과의 정체성" 한국사회과교육연구학회 43 (43): 47-64, 2004

      19 이일주, "5세 누리과정과 2009개정 초등학교 1-2학년군 교육과정의 생태교육 연계성 분석"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19 (19): 401-429, 2014

      20 이지현, "3⋅4세 유치원교육과정, 5세 누리과정, 초등 1학년 교육과정 언어교육내용의 연계성 분석"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16 (16): 253-279, 2012

      21 황은희, "2015 개정 초등 사회과(역사 영역) 교육과정 고찰: 주제 중심의 통합적 구성? 초등 역사교육에 대한 고민 부재!" 한국역사교육학회 (23) : 51-86, 2015

      22 은지용, "2015 개정 초등 사회과 교육과정 시안의 기본 방향과 주요 특징 및 변화 양상" 한국사회과교육연구학회 54 (54): 65-83, 2015

      23 신소연, "2015 개정 중학교 「역사」교육과정의 구성 체계 및 현장검토본의 내용 분석 - 고려 시대를 중심으로 -" 호남사학회 (65) : 99-137, 2017

      24 이소연, "2015 개정 사회과 교육과정의 경제 영역 성취기준 진술 분석" 한국사회과교육학회 49 (49): 93-112, 2017

      25 성경희, "2015 개정 사회과 교육과정 『사회』 과목의 내용 연계성 분석 - 초등학교와 중학교의 일반사회 영역을 대상으로 -" 교육문제연구소 70 : 59-82, 2017

      26 모경환, "2015 개정 교과 교육과정 시안개발 연구 Ⅰ 사회과 교육과정"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5

      27 모경환, "2015 개정 교과 교육과정 시안 개발연구 Ⅱ 사회과 교육과정"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5

      28 배영호, "'생성구조적 관점'에 근거한 사회과교육의 재개념화"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14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18 1.18 1.0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22 1.21 1.269 0.2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