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이정우, "초등학생들의 사회 교과서 어휘에 대한 이해도:6학년 2학기 사회 교과서를 중심으로" 한국사회과교육학회 39 (39): 213-236, 2007
2 박미림, "초등학교와 중학교 체육과 교육과정경쟁 활동영역의 연계성 탐색" 한국초등교육학회 27 (27): 29-55, 2014
3 이환기, "초등학교 교과로서 통합교과의 성격 탐색" 한국통합교육과정학회 9 (9): 1-31, 2015
4 이승미, "초등학교 1학년과 유치원의 교육과정 연계성 분석" 한국교육과정학회 28 (28): 59-90, 2010
5 은지용, "초등 저학년 통합 교과 교육과정에 대한 비판적 고찰 -‘사회생활’ 영역을 중심으로-" 한국사회과교육학회 44 (44): 173-217, 2012
6 박순경, "초등 저학년 교육과정에서의 교육 내용 중복과 교과 통합 방식 고찰" 한국교육과정학회 27 (27): 119-140, 2009
7 김진숙, "초, 중등학교 교육과정 연계성에 대한 국제비교"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3
8 이돈희, "제7차 교육과정개정에 따른 교과 교육과정 개발 체제에 관한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교육과정 개정연구위원회 1997
9 장혜원, "유치원 교육과정과 초등수학 교육과정의 내용 연계성 분석 -누리과정과 2009 개정 수학과 교육과정을 대상으로-" 대한수학교육학회 25 (25): 207-223, 2015
10 이영애, "슬기로운 생활과와 초등 사회과의 연계성에 관한 연구: 2009개정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경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2016
1 이정우, "초등학생들의 사회 교과서 어휘에 대한 이해도:6학년 2학기 사회 교과서를 중심으로" 한국사회과교육학회 39 (39): 213-236, 2007
2 박미림, "초등학교와 중학교 체육과 교육과정경쟁 활동영역의 연계성 탐색" 한국초등교육학회 27 (27): 29-55, 2014
3 이환기, "초등학교 교과로서 통합교과의 성격 탐색" 한국통합교육과정학회 9 (9): 1-31, 2015
4 이승미, "초등학교 1학년과 유치원의 교육과정 연계성 분석" 한국교육과정학회 28 (28): 59-90, 2010
5 은지용, "초등 저학년 통합 교과 교육과정에 대한 비판적 고찰 -‘사회생활’ 영역을 중심으로-" 한국사회과교육학회 44 (44): 173-217, 2012
6 박순경, "초등 저학년 교육과정에서의 교육 내용 중복과 교과 통합 방식 고찰" 한국교육과정학회 27 (27): 119-140, 2009
7 김진숙, "초, 중등학교 교육과정 연계성에 대한 국제비교"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3
8 이돈희, "제7차 교육과정개정에 따른 교과 교육과정 개발 체제에 관한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교육과정 개정연구위원회 1997
9 장혜원, "유치원 교육과정과 초등수학 교육과정의 내용 연계성 분석 -누리과정과 2009 개정 수학과 교육과정을 대상으로-" 대한수학교육학회 25 (25): 207-223, 2015
10 이영애, "슬기로운 생활과와 초등 사회과의 연계성에 관한 연구: 2009개정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경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2016
11 이광원, "사회과와의 연계성에 기초한 슬기로운 생활과 내용분석 및 재구성"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09
12 최용규, "사회과, 교육과정에서 수업까지" 교육과학사 2008
13 교육부, "사회과 교육과정. 교육부 고시 제2015-74호[별책 7]"
14 교육부, "바른생활, 슬기로운 생활, 즐거운 생활 교육과정, 교육부 고시 제 2015-74호 [별책 15]"
15 서울대학교 교육연구소, "교육학 용어사전" 하우 1994
16 홍후조, "교육과정의 이해와 개발" 문음사 2002
17 Tyler, R. W., "교육과정과 학습지도의 기본원리" 교육과학사 1987
18 남경희, "교육과정 논쟁으로 본 슬기로운 생활 교과의 정체성" 한국사회과교육연구학회 43 (43): 47-64, 2004
19 이일주, "5세 누리과정과 2009개정 초등학교 1-2학년군 교육과정의 생태교육 연계성 분석"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19 (19): 401-429, 2014
20 이지현, "3⋅4세 유치원교육과정, 5세 누리과정, 초등 1학년 교육과정 언어교육내용의 연계성 분석"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16 (16): 253-279, 2012
21 황은희, "2015 개정 초등 사회과(역사 영역) 교육과정 고찰: 주제 중심의 통합적 구성? 초등 역사교육에 대한 고민 부재!" 한국역사교육학회 (23) : 51-86, 2015
22 은지용, "2015 개정 초등 사회과 교육과정 시안의 기본 방향과 주요 특징 및 변화 양상" 한국사회과교육연구학회 54 (54): 65-83, 2015
23 신소연, "2015 개정 중학교 「역사」교육과정의 구성 체계 및 현장검토본의 내용 분석 - 고려 시대를 중심으로 -" 호남사학회 (65) : 99-137, 2017
24 이소연, "2015 개정 사회과 교육과정의 경제 영역 성취기준 진술 분석" 한국사회과교육학회 49 (49): 93-112, 2017
25 성경희, "2015 개정 사회과 교육과정 『사회』 과목의 내용 연계성 분석 - 초등학교와 중학교의 일반사회 영역을 대상으로 -" 교육문제연구소 70 : 59-82, 2017
26 모경환, "2015 개정 교과 교육과정 시안개발 연구 Ⅰ 사회과 교육과정"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5
27 모경환, "2015 개정 교과 교육과정 시안 개발연구 Ⅱ 사회과 교육과정"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5
28 배영호, "'생성구조적 관점'에 근거한 사회과교육의 재개념화"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