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Green Town 개발사업, I: 환경부분(연구)  :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Wastewater and Stormwater Recycling Technique for Water Environment Creation in the Residential Complex, I)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difinition of Green Town Development Project, and the purpose and significance of the elemental technology was defined. At the same time the elemental technology was divided and arranged, and conceptually regulated and suggested the model of Green Town in a view of water recycle and environmental preservation and the basic research to evaluate quality and quantity of domestic wastewater was conducted. Activated sludge and hollow fiber microfiltration membrane process (ASMF Process) is taken out small-scale, high-efficiency treatment process applied to residental complex by analysis of merits and demerits, efficiency, and application of weighting factor. For development of ASMF treatment process, directly suction type, air bubbling back-washing and intermittent suction, the examination of changing the permeate flux, the suction-idle time and the air flow rate for actual domestic wastewater was conducted.
      번역하기

      The difinition of Green Town Development Project, and the purpose and significance of the elemental technology was defined. At the same time the elemental technology was divided and arranged, and conceptually regulated and suggested the model of Green...

      The difinition of Green Town Development Project, and the purpose and significance of the elemental technology was defined. At the same time the elemental technology was divided and arranged, and conceptually regulated and suggested the model of Green Town in a view of water recycle and environmental preservation and the basic research to evaluate quality and quantity of domestic wastewater was conducted. Activated sludge and hollow fiber microfiltration membrane process (ASMF Process) is taken out small-scale, high-efficiency treatment process applied to residental complex by analysis of merits and demerits, efficiency, and application of weighting factor. For development of ASMF treatment process, directly suction type, air bubbling back-washing and intermittent suction, the examination of changing the permeate flux, the suction-idle time and the air flow rate for actual domestic wastewater was conducted.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Green Town 개발사업 1차년도 연구에서는 주거단지에서 발생하는 오수를 처리해서 생활용수 및 환경용수로 재이용하기 위한 기초작업으로서 주거단지에 대한 발생오수량 및 오염도에 대한 현장조사를 실시하였다. 또한 기존 처리공정의 장·단점을 분석하여 주거단지에 효과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소규모·고효율 처리공정을 도출함과 아울러 처리공정의 운전지표로 활용하기 위한 엄격한 수준의 수질기준(안)을 자체적으로 수립하여 제시하였다. 현장조사 과정에서 수립된 자료를 토대로 활성오니 및 분리막 일체형 처리공정(ASMF 프로세스)을 설계·제작하였고, 합리적인 운전인자를 도출하기 위해서 실제 하수를 대상으로 약 4개월간의 기초실험을 수행하였다. 실험결과, 본 연구에서 개발된 ASMF 처리공정은 기존 처리공정에 비해 탁월한 효과가 인정되었으며, 주거단지에 효과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번역하기

      Green Town 개발사업 1차년도 연구에서는 주거단지에서 발생하는 오수를 처리해서 생활용수 및 환경용수로 재이용하기 위한 기초작업으로서 주거단지에 대한 발생오수량 및 오염도에 대한 현...

      Green Town 개발사업 1차년도 연구에서는 주거단지에서 발생하는 오수를 처리해서 생활용수 및 환경용수로 재이용하기 위한 기초작업으로서 주거단지에 대한 발생오수량 및 오염도에 대한 현장조사를 실시하였다. 또한 기존 처리공정의 장·단점을 분석하여 주거단지에 효과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소규모·고효율 처리공정을 도출함과 아울러 처리공정의 운전지표로 활용하기 위한 엄격한 수준의 수질기준(안)을 자체적으로 수립하여 제시하였다. 현장조사 과정에서 수립된 자료를 토대로 활성오니 및 분리막 일체형 처리공정(ASMF 프로세스)을 설계·제작하였고, 합리적인 운전인자를 도출하기 위해서 실제 하수를 대상으로 약 4개월간의 기초실험을 수행하였다. 실험결과, 본 연구에서 개발된 ASMF 처리공정은 기존 처리공정에 비해 탁월한 효과가 인정되었으며, 주거단지에 효과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1. 서론
      • 1.1 연구의 필요성
      • 1.2 연구개발의 동향
      • 1.3 연구내용 및 목표
      • 1.4 장·단기 연구추진 전략
      • 1. 서론
      • 1.1 연구의 필요성
      • 1.2 연구개발의 동향
      • 1.3 연구내용 및 목표
      • 1.4 장·단기 연구추진 전략
      • 2. Green Town 계획기법 및 요소기술
      • 2.1 Green Town 계획기법
      • 2.1.1 Green Town의 정의
      • 2.1.2 Green Town의 기본요건 및 추진방향
      • 2.1.3 Green Town 개발시 고려사항
      • 2.2 Green Town 요소기술
      • 2.2.1 요소기술의 분류
      • 2.2.2 요소기술의 적용 및 기대효과
      • 2.3 수자원 순환체계 및 이용계획
      • 2.3.1 수자원 순환체계
      • 2.3.2 수자원 이용범위
      • 2.4 물순환 및 환경보전형 주거단지 모델의 설정
      • 3. 주거단지내 생활오수 발생량 및 오염도 조사
      • 3.1 현장조사의 개요
      • 3.1.1 조사목적
      • 3.1.2 표본지역 선정
      • 3.1.3 조사기간 및 주기
      • 3.1.4 조사방법
      • 3.2 표본지역의 하수발생량
      • 3.2.1 일별/시간별 하수발생량
      • 3.2.2 계절별 하수발생량
      • 3.3 표본지역의 수질조사
      • 3.3.1 일별, 시간별 수질변화
      • 3.3.2 계절별 수질변화
      • 3.4 표본지역의 수량 및 수질부하 원단위
      • 3.4.1 상수사용량 대비 하수발생량
      • 3.4.2 상수사용 및 하수발생 원단위
      • 3.4.3 오염부하 원단위
      • 3.4.4 문헌연구를 통한 원단위 비교
      • 3.4.5 결과의 비교분석
      • 3.5 물질수지 및 용수분배
      • 4. 수질기준 설정 및 대상 처리공정 선정
      • 4.1 고효율 처리 및 재활용의 필요성
      • 4.2 원수의 종류별 수질특성
      • 4.3 목표 수질기준 설정
      • 4.3.1 기존 방류수 수질기준 검토
      • 4.3.2 기존 중수도 수질기준
      • 4.3.3 수질요건 및 목표 수질기준 설정
      • 4.4 대상 처리공정 선정
      • 4.4.1 처리공정의 분류
      • 4.4.2 기존 처리공정의 검토
      • 4.4.3 처리공정의 평가
      • 4.4.4 처리공정 구성
      • 4.4.5 대상 처리공정 선정
      • 5. 분리막 및 막분리공정에 대한 이론적 고찰
      • 5.1 개요
      • 5.1.1 피분리물질의 상에 의한 분리공정의 비교
      • 5.1.2 막분리공정의 특징과 적용예
      • 5.1.3 분리막의 종류
      • 5.1.4 분리막의 분류
      • 5.1.5 막모듈
      • 5.2 분리막의 기본개념과 기초식
      • 5.2.1 막분리공정의 기본개념
      • 5.2.2 분리막의 기능
      • 5.2.3 분리막의 기초식
      • 5.2.4 분리막의 효율 개선방안
      • 5.2.5 분리막 성능의 평가지표
      • 5.3 분리막 및 막모듈의 선정과 평가
      • 5.3.1 최적 막분리공정 선정절차
      • 5.3.2 분리막 및 막분리공정 선정시 유의사항
      • 5.3.3 분리막의 선정
      • 5.3.4 평가시험
      • 5.4 막분리공정의 운전관리
      • 5.4.1 분리막의 성능열화와 Fouling
      • 5.4.2 성능열화와 Fouling의 평가
      • 5.4.3 Fouling 방지법과 막의 재생
      • 5.4.4 막성능의 물리적 세정방법
      • 5.4.5 분리막의 물리적 재생절차
      • 5.4.6 분리막의 화학적 세정방법
      • 5.5 막분리공정의 실용예
      • 5.6 분리형 및 일체형 막분리공정의 개발동향
      • 5.6.1 연구동향
      • 5.6.2 개발 및 적용사례
      • 6. ASMF 처리공정의 설계
      • 6.1 대상 분리막의 특성
      • 6.1.1 대상 분리막의 용도
      • 6.1.2 대상 분리막의 물성
      • 6.1.3 대상 분리막의 표면특성, Fouling 및 세정성
      • 6.1.4 평형 및 원관형 Module의 성능비교
      • 6.1.5 대상 분리막의 선정배경
      • 6.1.6 대상 분리막 모듈의 표준사양
      • 6.1.7 모듈 및 산기관 배치
      • 6.2 Semi-Pilot Scale ASMF 처리공정의 설계
      • 6.2.1 분리막 사양
      • 6.2.2 ASMF 처리공정의 흐름도
      • 6,2.3 ASMF 처리공정의 운전방법
      • 6.2.4 설계조건의 검토
      • 6.2.5 반응조 설계
      • 6.2.6 설비사양
      • 6.2.7 ASMF 처리공정 설계도 작성
      • 7. ASMF 운전(I)
      • 7.1 운전방법
      • 7.2 실험방법 및 범위
      • 7.2.1 실험계획 수립
      • 7.2.2 I단계 세부 실험방법
      • 7.3 실험결과
      • 7.3.1 수질 분석방법
      • 7.3.2 유입수 수질현황
      • 7.3.3 흡입유량의 영향(Step-1)
      • 7.3.4 Suction-Idle Time의 영향(Step-2)
      • 7.3.5 Aeration 강도의 영향(Step-3)
      • 8. 결론
      • 참고문헌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