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김순양, "한국에서의 ‘사회적 합의(Social Consensus)’의 실험과 평가" 11 (11): 21-41, 2000
2 조주은, "통합적 협상모델에 기반한 사회적 합의 방법론의 적용" 21 (21): 1-71, 2018
3 교육부, "초등학교 교육과정 해설(Ⅰ)-총론․재량활동-" 교육부 1997
4 박창언, "국가교육위원회법 시행령 마련을 위한 권역별 토론회-영남권-"
5 법제처, "국가교육위원회 설치 및 운영에 관한 법률"
6 박남정, "국가교육과정 개발체제 개편 방안 모색- 국가교육위원회 출범 이후 -" 교육연구원 38 (38): 127-145, 2022
7 이돈희, "교육정의론" 교육과학사 1999
8 교육부, "과학과 교육과정"
9 申鉉直, "敎育基本權에 관한 연구" 서울大學校 大學院 1990
10 今村武俊, "學校敎育法解說: 初等中等敎育編" 第一法規出版株式會社 1970
1 김순양, "한국에서의 ‘사회적 합의(Social Consensus)’의 실험과 평가" 11 (11): 21-41, 2000
2 조주은, "통합적 협상모델에 기반한 사회적 합의 방법론의 적용" 21 (21): 1-71, 2018
3 교육부, "초등학교 교육과정 해설(Ⅰ)-총론․재량활동-" 교육부 1997
4 박창언, "국가교육위원회법 시행령 마련을 위한 권역별 토론회-영남권-"
5 법제처, "국가교육위원회 설치 및 운영에 관한 법률"
6 박남정, "국가교육과정 개발체제 개편 방안 모색- 국가교육위원회 출범 이후 -" 교육연구원 38 (38): 127-145, 2022
7 이돈희, "교육정의론" 교육과학사 1999
8 교육부, "과학과 교육과정"
9 申鉉直, "敎育基本權에 관한 연구" 서울大學校 大學院 1990
10 今村武俊, "學校敎育法解說: 初等中等敎育編" 第一法規出版株式會社 1970
11 김범주, "‘2022 개정 교육과정’ 논란 여전.… 교육부, 인권위 지적에 반박"
12 국가교육위원회, "2023년 국가교육과정 모니터링단 운영계획" 국가교육위원회 교육과정정책과 20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