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국가교육과정 수립․변경의 법적 구조와 과제 = Legal Structure and Problems of National Curriculum Establishment and Chang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72977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Purpose: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legal structure of the establishment and change of the national curriculum and to explore future tasks. Method: The research method used for this study was centered on literature research, and a method of supporting the contents of the interview was used for necessary matters. Results: In the establishment and change of the national curriculum, this study was requested to supplement the legal system, divide roles between committees and prepare a cooperative system, and specify models and methodologies for social consensus. Conclusion: In conclusion, this study suggested that it is necessary to find ways to improve tasks following the review of the legal structure of the establishment and change of the national curriculum, distinguish legal and policy judgments, and reorganize institutional regulations that can be curriculum-oriented.
      번역하기

      Purpose: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legal structure of the establishment and change of the national curriculum and to explore future tasks. Method: The research method used for this study was centered on literature research, and a method of suppor...

      Purpose: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legal structure of the establishment and change of the national curriculum and to explore future tasks. Method: The research method used for this study was centered on literature research, and a method of supporting the contents of the interview was used for necessary matters. Results: In the establishment and change of the national curriculum, this study was requested to supplement the legal system, divide roles between committees and prepare a cooperative system, and specify models and methodologies for social consensus. Conclusion: In conclusion, this study suggested that it is necessary to find ways to improve tasks following the review of the legal structure of the establishment and change of the national curriculum, distinguish legal and policy judgments, and reorganize institutional regulations that can be curriculum-oriented.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순양, "한국에서의 ‘사회적 합의(Social Consensus)’의 실험과 평가" 11 (11): 21-41, 2000

      2 조주은, "통합적 협상모델에 기반한 사회적 합의 방법론의 적용" 21 (21): 1-71, 2018

      3 교육부, "초등학교 교육과정 해설(Ⅰ)-총론․재량활동-" 교육부 1997

      4 박창언, "국가교육위원회법 시행령 마련을 위한 권역별 토론회-영남권-"

      5 법제처, "국가교육위원회 설치 및 운영에 관한 법률"

      6 박남정, "국가교육과정 개발체제 개편 방안 모색- 국가교육위원회 출범 이후 -" 교육연구원 38 (38): 127-145, 2022

      7 이돈희, "교육정의론" 교육과학사 1999

      8 교육부, "과학과 교육과정"

      9 申鉉直, "敎育基本權에 관한 연구" 서울大學校 大學院 1990

      10 今村武俊, "學校敎育法解說: 初等中等敎育編" 第一法規出版株式會社 1970

      1 김순양, "한국에서의 ‘사회적 합의(Social Consensus)’의 실험과 평가" 11 (11): 21-41, 2000

      2 조주은, "통합적 협상모델에 기반한 사회적 합의 방법론의 적용" 21 (21): 1-71, 2018

      3 교육부, "초등학교 교육과정 해설(Ⅰ)-총론․재량활동-" 교육부 1997

      4 박창언, "국가교육위원회법 시행령 마련을 위한 권역별 토론회-영남권-"

      5 법제처, "국가교육위원회 설치 및 운영에 관한 법률"

      6 박남정, "국가교육과정 개발체제 개편 방안 모색- 국가교육위원회 출범 이후 -" 교육연구원 38 (38): 127-145, 2022

      7 이돈희, "교육정의론" 교육과학사 1999

      8 교육부, "과학과 교육과정"

      9 申鉉直, "敎育基本權에 관한 연구" 서울大學校 大學院 1990

      10 今村武俊, "學校敎育法解說: 初等中等敎育編" 第一法規出版株式會社 1970

      11 김범주, "‘2022 개정 교육과정’ 논란 여전.… 교육부, 인권위 지적에 반박"

      12 국가교육위원회, "2023년 국가교육과정 모니터링단 운영계획" 국가교육위원회 교육과정정책과 2023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