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특집 1 : 의원발의 형사입법과 형사정책 ; 19대 국회 의원발의 형법개정안 검토 - 형법총칙과 각칙을 중심으로 - = CONFERENCE 1 Criminal Legislation Proposed by Legislators and Criminal Policy : An Analysis on the Penal Code Revision Bills Initiated by Legislators in the 19th National Assembl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050089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objective of this Article is to review the Penal Code Revision Bills initiated by legislators in the 19th National Assembly. Assemblymen submitted bills related with criminal issues that attracted the attention of the public mass. For instance, bills to revise criminal responsibility so as not to exempt the responsibility of the defendants who committed a crime under the influence of alcohol or drug, and bills to reconstruct the current monetary penalty system, which has been criticized for “inequality of penalty effect.” These bills are political efforts to reflect in the Penal Code requests by the public mass. However, the bills are found to adopt hard-line criminal policy that depends on heavy and harsh punishment, and disregard systematic coherence with other criminal acts. On the other hand, many bills were initiated to revise the Special Part of the Penal Code. They were to update the Special Part, revising corpus delicti or providing new defenses.
      번역하기

      The objective of this Article is to review the Penal Code Revision Bills initiated by legislators in the 19th National Assembly. Assemblymen submitted bills related with criminal issues that attracted the attention of the public mass. For instance, bi...

      The objective of this Article is to review the Penal Code Revision Bills initiated by legislators in the 19th National Assembly. Assemblymen submitted bills related with criminal issues that attracted the attention of the public mass. For instance, bills to revise criminal responsibility so as not to exempt the responsibility of the defendants who committed a crime under the influence of alcohol or drug, and bills to reconstruct the current monetary penalty system, which has been criticized for “inequality of penalty effect.” These bills are political efforts to reflect in the Penal Code requests by the public mass. However, the bills are found to adopt hard-line criminal policy that depends on heavy and harsh punishment, and disregard systematic coherence with other criminal acts. On the other hand, many bills were initiated to revise the Special Part of the Penal Code. They were to update the Special Part, revising corpus delicti or providing new defense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조국, "형사법의 성편향" 2004

      2 박혜진, "형법적 시각에서 본 피의사실공표죄의 제문제" 한국비교형사법학회 13 (13): 159-183, 2011

      3 이준일, "혐오표현과 차별적 표현에 대한 규제의 필요성과 방식" 법학연구원 (72) : 65-90, 2014

      4 김봉수, "피의사실공표죄(형법 제126조)의 규범적 한계에 관한 고찰 - 형법 제126조의 사문화 현상에 대한 원인분석과 해결방안을 중심으로-" 한국경찰법학회 9 (9): 55-78, 2011

      5 문성도, "피의사실공표의 형법적 한계: 피의사실공표죄를 중심으로" 경찰대학 치안정책연구소 (15) : 2001

      6 이준일, "차별금지법(안)에 대한 검토와 비교를 통한 대안의 제시" 안암법학회 통 (통): 157-181, 2007

      7 한지영, "차별금지법 제정을 둘러싼 쟁점의 비판적 검토: 차별의 개념 및 구제조치를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젠더법학연구소 3 (3): 2011

      8 조국, "절제의 형법학" 박영사 2014

      9 조국, "쟁의행위에 대한 업무방해죄 적용 비판 -대법원 판결 비판을 중심으로-" 한국비교형사법학회 12 (12): 103-128, 2010

      10 강동범, "재산형의 문제와 개선방향 - 벌금형을 중심으로 -" 한국형사정책학회 (5) : 1990

      1 조국, "형사법의 성편향" 2004

      2 박혜진, "형법적 시각에서 본 피의사실공표죄의 제문제" 한국비교형사법학회 13 (13): 159-183, 2011

      3 이준일, "혐오표현과 차별적 표현에 대한 규제의 필요성과 방식" 법학연구원 (72) : 65-90, 2014

      4 김봉수, "피의사실공표죄(형법 제126조)의 규범적 한계에 관한 고찰 - 형법 제126조의 사문화 현상에 대한 원인분석과 해결방안을 중심으로-" 한국경찰법학회 9 (9): 55-78, 2011

      5 문성도, "피의사실공표의 형법적 한계: 피의사실공표죄를 중심으로" 경찰대학 치안정책연구소 (15) : 2001

      6 이준일, "차별금지법(안)에 대한 검토와 비교를 통한 대안의 제시" 안암법학회 통 (통): 157-181, 2007

      7 한지영, "차별금지법 제정을 둘러싼 쟁점의 비판적 검토: 차별의 개념 및 구제조치를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젠더법학연구소 3 (3): 2011

      8 조국, "절제의 형법학" 박영사 2014

      9 조국, "쟁의행위에 대한 업무방해죄 적용 비판 -대법원 판결 비판을 중심으로-" 한국비교형사법학회 12 (12): 103-128, 2010

      10 강동범, "재산형의 문제와 개선방향 - 벌금형을 중심으로 -" 한국형사정책학회 (5) : 1990

      11 정봉휘, "일수벌금형의 비교 고찰" 한국형사법학회 (4) : 1991

      12 이진국, "일수벌금제의 도입에 관한 소고" 법학연구소 27 (27): 67-84, 2010

      13 최정학, "일수벌금제도의 도입에 관한 연구" 한국형사정책학회 25 (25): 75-97, 2013

      14 최호진, "일수벌금제도 도입을 위한 형사정책적 방향" 법학연구소 38 (38): 257-290, 2014

      15 김민정, "일베식 “욕”의 법적 규제에 대하여: 온라인상에서의 혐오 표현에 대한 개념적 고찰" (사)한국언론법학회 13 (13): 131-163, 2014

      16 조국, "소비자불매운동의 법적 지위와 형사처벌의 당부(當否)" 한국형사법학회 23 (23): 369-392, 2011

      17 조국, "사실적시 명예훼손죄 및 모욕죄의 재구성" 한국형사정책학회 25 (25): 9-46, 2013

      18 김종철, "법치주의와 민주주의: 공법의 시각에서" 한양대학교 지방자치연구소 (141) : 2003

      19 이승선, "범죄보도로 인한 인격권의 침해와 문제점" 사회과학연구소 19 (19): 65-94, 2008

      20 서보학, "벌금형제도 소고: 비판과 입법론적 대안" 한국형사정책학회 (10) : 1998

      21 김종덕, "벌금형 집행율의 제고방안" 한국비교형사법학회 9 (9): 307-336, 2007

      22 한영수, "벌금미납자에 대한 노역장유치-노역장에 유치된 “생계형 범죄자”의 석방(사면)조치에 대한 비판과 형사절차법적 측면에서 노역장유치집행의 대안모색-" 한국형사정책연구원 40 : 1999

      23 정영일, "간첩죄의 해석론과 개선방향" 한국형사정책학회 21 (21): 393-424, 2009

      24 박상기, "간첩죄에 관한 소고" 한국형사정책연구원 18 (18): 567-580, 2007

      25 박미숙, "간첩죄 개정방향에 대한 소고" 한국비교형사법학회 11 (11): 213-244, 2009

      26 김성돈, "犯罪體系論的 관점에서 본 “原因에 있어서 自由로운 行爲”" 한국법학원 75 : 101-123, 2003

      27 정희라, "2006년 영국의 인종 및 종교적 혐오 방지법: 무슬림과 종교적 소수자 보호를 위한 정책" EU연구소 (35) : 193-215, 2013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06 1.06 0.9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94 1.03 1.215 0.1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