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청소년 문제와 더불어 학교체육의 가치와 중요성은 부각되고 있으나 입시위주의 교육환경과 개인의 시간 부족으로 청소년의 운동량이 매우 저하되어있다. 특히 고등학생의 경우 정규...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G3738189
-
2013년
Korean
한국연구재단(NRF)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최근 청소년 문제와 더불어 학교체육의 가치와 중요성은 부각되고 있으나 입시위주의 교육환경과 개인의 시간 부족으로 청소년의 운동량이 매우 저하되어있다. 특히 고등학생의 경우 정규...
최근 청소년 문제와 더불어 학교체육의 가치와 중요성은 부각되고 있으나 입시위주의 교육환경과 개인의 시간 부족으로 청소년의 운동량이 매우 저하되어있다. 특히 고등학생의 경우 정규수업 이후에 개인적 시간을 내어 운동을 하기란 역부족인 관계로 정규수업 시작 전 0교시를 활용한 체육활동 수업에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체육활동의 기회가 상대적으로 적은 고등학교에서의 0교시 체육활동 경험을 심층적으로 파악해보고, 0교시 체육활동을 보편적으로 운영하기 위한 운영방안을 제시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해 0교시 체육활동을 운영하고 있는 네 학교의 학교장 4명과 체육교사 4명, 학생 8명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고 심층면담과 비참여관찰, 문서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또한 귀납적범주분석을 통해 0교시 체육활동 현황과 경험을 분석한 후 운영방안을 도출하였다. 연구 결과는 첫째, '0교시 체육활동의 구조 및 특성'으로 연구 대상 네 학교는 각각 혼합지도형, 교내리그형, 개인자율형, 선택자율형의 형태로 0교시 체육활동을 운영하고 있었다. 둘째, '0교시 체육활동 참여 및 운영 경험'에서는 0교시 체육활동에 대한 확신과 믿음, 0교시 체육활동을 통한 가치 및 변화, 0교시 체육활동 경험 속 문제와 한계들을 알 수 있었다. 셋째, '0교시 체육활동 운영 방안'에서는 선택의 자율성, 목표의 명료화, 수업형태의 재구조화 및 체계화, 교내인력의 협력체계 구축, 인센티브를 통한 동기부여, 홍보자료의 개발 및 보급을 제안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 자료는 추후 체육에 대한 관심과 인식 전환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으며, 0교시 체육활동 운영에 대한 명확한 이해와 운영 방안을 모색하는데 활용될 수 있다. 또한 프로그램 및 운영 지침 개발, 향후 정책 개선을 위한 근거자료로도 활용될 수 있을 것이라 본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lthough the value and importance of school physical education have been underscored amid the recent adolescent problems, the amount of athletic activities of youths is very low due to college entrance exam-oriented education and lack of personal time...
Although the value and importance of school physical education have been underscored amid the recent adolescent problems, the amount of athletic activities of youths is very low due to college entrance exam-oriented education and lack of personal time. In particular, since high school students cannot find the time to engage in physical activities after school, there is growing interest in physical education during zero period prior to regular classes. This study is aimed at suggesting plans for universal operation of zero hour physical education by analyzing the experience of high schools with less athletic activities. As research target, four principals, four PE teachers, and eight students of schools with zero hour physical education were selected, and the data was collected through in-depth interviews, non-participatory observation and documents. In addition, the status of zero hour physical education was analyzed, in order to create appropriate operation plans through an inducive category analysis. The research findings are as follows, which are the three components of the study. First, as 'Structure and Characteristics of Zero Hour Physical Education', the study found the four schools were operating them in the form of 'mixed instruction type', intramural type', 'autonom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