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도화된 다양한 앱 서비스들이 등장하면서 사용자 경험 기반의 UI 연구가 활성화되고 있다. 더욱이 화면의 사용성을 결정하는 콤포넌트의 중요성이 부각되면서, 콤포넌트에 대한 가이드라...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국문 초록 (Abstract)
고도화된 다양한 앱 서비스들이 등장하면서 사용자 경험 기반의 UI 연구가 활성화되고 있다. 더욱이 화면의 사용성을 결정하는 콤포넌트의 중요성이 부각되면서, 콤포넌트에 대한 가이드라...
고도화된 다양한 앱 서비스들이 등장하면서 사용자 경험 기반의 UI 연구가 활성화되고 있다. 더욱이 화면의 사용성을 결정하는 콤포넌트의 중요성이 부각되면서, 콤포넌트에 대한 가이드라인 및 프로토타이핑 프로그램이 개발되고 있다. 하지만, 오프라인 환경에서 화면 구상을 위한 코-크리에이션 도구가 명확히 존재하지 않다는 문제를 인식하였고 본 연구를 통해 콤포넌트 기반의 코-크리에이션을 위한 가이드라인 툴킷을 개발하고자 한다. 이 툴킷은 화면 구상 단계를 제시하면서 기능 구현을 위해 콤포넌트를 맵핑하는 방식으로 활용되며, 정보구조 설계 이후, 와이어-프레임 제작 과정에 적용할 수 있다. 연구방법으로 앱 운영체제 및 UI 연구에서 제시하는 콤포넌트 요소들을 분석하여 동일 속성 기반의 콤포넌트 체계를 구축하고, 화면 설계 과정을 기반으로 가이드를 제시하는 콘텐츠를 구축한다. 이를 활용하여 단계를 제시하는 프로세스 카드, 콤포넌트 맵핑을 위한 콤포넌트 카드, 화면 스케치가 가능한 화면 시트지로 구성된 툴킷 형태로 디자인한다. 이 툴킷은 오프라인 미팅 환경에서 퍼실리테이터 없이도 화면 구상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지원하기 때문에 원활한 UI 개발 환경에 일조할 것으로 판단된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With the emergence of various advanced app services, UI research based on user experience is becoming active. Furthermore, as the importance of components that determine the usability of the screen is highlighted, guidelines and prototyping programs f...
With the emergence of various advanced app services, UI research based on user experience is becoming active. Furthermore, as the importance of components that determine the usability of the screen is highlighted, guidelines and prototyping programs for components are being developed. However, we recognized the problem that there is no clear co-creation tool for screen conception in an offline environment, and through this study, we aim to develop a guideline toolkit for component-based co-creation. This toolkit is utilized by presenting the screen conception stage and mapping components for function implementation, and can be applied to the wire-frame production process after the information structure design. As a research method, we analyze the component elements presented in the app operating system and UI research to build a component system based on the same properties, and build content that presents a guide based on the screen design process. Using this, we design it in the form of a toolkit consisting of process cards that present the stages, component cards for component mapping, and screen sheets that allow screen sketching. This toolkit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a smooth UI development environment as it supports screen conception work without a facilitator in an offline meeting environment.
숏폼 플랫폼 기반 디지털 밈의 생성 구조 연구 -틱톡의 챌린지 밈을 중심으로
중국 현대 추상화에서의 수묵 표현에 관한 연구 -1980년대 초부터 1990년대 후기까지
거주형태에 따른 고령친화식품 요구도 및 구매의사에 대한 단면연구: 독거노인과 가족동거노인을 중심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