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의 목적은 교육대학원 교원 양성과정에 재학 중인 전·현직 보육교사들의 유치원 교육실습 경험과 그 의미를 탐색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육대학�...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T14888158
서울 :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8
학위논문 (석사) --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 유아교육전공 , 2018.8
2018
한국어
372.21 판사항(22)
서울
A study on child care teachers' experiences of kindergarten teacher certificate course at a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v, 102 L. ; 26 cm
지도교수: 정선아
참고문헌: p. 92-99
I804:11043-000000067697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교육대학원 교원 양성과정에 재학 중인 전·현직 보육교사들의 유치원 교육실습 경험과 그 의미를 탐색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육대학�...
본 연구의 목적은 교육대학원 교원 양성과정에 재학 중인 전·현직 보육교사들의 유치원 교육실습 경험과 그 의미를 탐색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육대학원 교원 양성과정에 재학 중인 전·현직 보육교사의 유치원교육실습 경험은 어떠한가? 둘째, 교육대학원 교원 양성과정에 재학 중인 전·현직 보육교사의 유치원 교육실습 경험의 의미는 어떠한가?
이를 위해 교육대학원 교원 양성과정에 재학 중이며 유치원 교육실습 전 과정을 진행 중이거나 이수한 보육교사 6명을 연구 참여자로 선정하였다. 2018년 3월부터 5월까지 총 20회의 심층면담을 통하여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수집된 자료의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보육교사들의 유치원 교육실습 경험 이야기는 ‘낯선 유치원 환경과의 만남’과 ‘보조교사가 되어버린 보육교사 실습생’, ‘유아교사로서의 역할 혼란’으로, 교육실습 경험의 의미는 ‘반성적 사고의 기회가 된 유치원 교육실습’과 ‘온전히 아이들에게 집중할 수 있었던 소중한 시간’, ‘보육교사로서의 자부심을 찾다’로 나누어 볼 수 있었다.
첫째, 보육교사들은 유치원 현장에서 가장 먼저 체감할 수 있는 유치원 환경을 낯설게 바라보며 익숙한 어린이집의 종일보육 환경과 오후시간이 보장 된 유치원을 자연스럽게 비교하게 되었다. 그러나 유치원의 시간적 제한으로 급박하게 이루어지는 행사 준비 및 특별활동을 관찰하고 과도하다고 느꼈다. 둘째, 보육교사들은 유치원 현장에서 새로운 것을 배우는 기회보다는 자연스럽고 능숙한 유아교사로서의 역할 수행으로 지도교사를 보조하는 보조교사의 역할이 가장 강조되었다. 셋째, 전·현직 보육교사이자 유치원 교육실습생이 된 보육교사들은 어린이집에 비해 돌봄이 강조되지 않는 유치원을 경험하며 돌봄과 가르침이란 무엇인가에 대한 고민과 더불어 유치원 현장에서는 인정받지 못하는 보육교사 경력을 경험하며 유아교사 역할에 대한 혼란을 겪었다. 마지막으로 유치원 교육실습을 통하여 보육교사들은 유치원 현장에서 새로운 가치를 발견하며 반성적 사고를 하게 됨과 동시에 과중한 담임교사의 업무에서 벗어나 유아관찰과 상호작용자로서의 역할을 수행하면서 유아들에게 온전히 집중할 수 있는 소중한 시간을 갖게 되었다. 또한 외부에서 주는 인식으로 교육에 비해 약하다고 생각하였던 돌봄이 사실 유아교육에서 반드시 필요한 것이었음을 깨닫게 되면서 보육교사로서의 자부심을 찾게 되었다. 이는 보육교사들이 유치원 교육실습을 통해 유아교사로서 또 다른 성장을 하게 된 것을 의미한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xperiences of practice teaching at kindergartens and their meanings among former and incumbent child care teachers attending a training course at a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For this purpose, the 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xperiences of practice teaching at kindergartens and their meanings among former and incumbent child care teachers attending a training course at a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For this purpose, the study set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First, what experiences do former and incumbent child care teachers have with practice teaching at kindergartens in a teacher training course at a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Second, what meanings are there in their experiences with practice teaching at kindergartens?
The participants include six child care teachers that were attending a training course at a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and were participating or completed the entire process of practice teaching at a kindergarten. Data was collected from total 20 in-depth interviews from March to May, 2018. The analysis results of the data were as follows:
The child care teachers had experiences with practice teaching at kindergartens such as "encounter with a strange kindergarten environment," "trainee child care teachers that became teaching assistants," and "role confusion as early childhood teachers." There were several meanings in their experiences with practice teaching including "practice teaching at a kindergarten as a chance for reflective thinking," "precious time to fully focus on children," and "restoration of pride as child care teachers."
First, the child care teachers looked at the kindergarten environment, which they first felt in the field of kindergartens, unfamiliarly and naturally compared the familiar environment of daycare centers to provide child care all day long with the environment of kindergartens to guarantee the afternoon hours. Observing event preparations and special activities that were carried out rapidly due to time limits at the kindergartens, they felt they were excessive. Second, their practice teaching at kindergartens put an emphasis on their roles as teaching assistants to the guidance teachers by performing their roles as proficient early childhood teachers naturally rather than an opportunity to learn something new in the field of kindergartens. Third, the child care teachers, who became trainees in practice teaching at a kindergarten as well as former and incumbent child care teachers, experienced no emphasis on care at kindergartens compared with daycare centers and had a contemplation over what care and teachings were. In addition, they had their career as child care teachers not recognized in the field of kindergartens, being confused with their roles as early childhood teachers. Finally, the child care teachers were able to discover new values and do reflective thinking in the field of kindergartens through practice teaching at one of them. They, at the same time, observed young children and performed their roles through interactions with them by removing themselves from the excessive workload of homeroom teachers, having precious time of focusing on young children completely. They used to think that care was weaker than education based on its consciousness outside the institution but realized that care was essential to early childhood education, thus regaining pride as child care teachers. This means another growth for them as early childhood teachers through practice teaching at a kindergarten.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