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김의정, "흥의 정서적 측면에 대한 고찰" 중국어문학회 (10) : 169-193, 2001
2 尹天根, "화랑이 갖는 사상적 의미" 1990
3 최승락, "한국전통놀이문화를 활용한 멀티디자인 개발연구" 6 : 2001
4 주영하, "한국인의 문화유전자" 한국국학진흥원 2012
5 조동일, "한국의 탈춤(우리문화의 뿌리를 찾아서 10)" 이화여자대학교출판문화원 2005
6 김헌선, "한국예술의 미학적 범주 –멋, 흥취, 풍류, 신명-" 2001
7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8 문만기, "한국 전통 민속 놀이 놀이구조 연구 : 로제 카이오와(Roser Caillois) 놀이이론 (Man, Play and Games)" 영상예술학회 (11) : 135-156, 2007
9 신은경, "풍류(동아시아 미학의 근원)" 보고사 2014
10 심규섭, "포의풍류도(布衣風流圖)-올바른 정치를 위해 목숨을 걸다"
1 김의정, "흥의 정서적 측면에 대한 고찰" 중국어문학회 (10) : 169-193, 2001
2 尹天根, "화랑이 갖는 사상적 의미" 1990
3 최승락, "한국전통놀이문화를 활용한 멀티디자인 개발연구" 6 : 2001
4 주영하, "한국인의 문화유전자" 한국국학진흥원 2012
5 조동일, "한국의 탈춤(우리문화의 뿌리를 찾아서 10)" 이화여자대학교출판문화원 2005
6 김헌선, "한국예술의 미학적 범주 –멋, 흥취, 풍류, 신명-" 2001
7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8 문만기, "한국 전통 민속 놀이 놀이구조 연구 : 로제 카이오와(Roser Caillois) 놀이이론 (Man, Play and Games)" 영상예술학회 (11) : 135-156, 2007
9 신은경, "풍류(동아시아 미학의 근원)" 보고사 2014
10 심규섭, "포의풍류도(布衣風流圖)-올바른 정치를 위해 목숨을 걸다"
11 김용운, "카오스 현상에 대한 해답, 불교"
12 최광진, "찬란한 고독, 한의 미학 : 천경자 평전" 미술문화 2016
13 이광표, "조선후기 아회의 멋과 풍류" 7 : 2013
14 유광수, "전통문화의 세계" MJ미디어 2008
15 리처드 니스벳, "생각의 지도 : 동양과 서양, 세상을 바라보는 서로 다른 시선" 김영사 2004
16 김혜진, "상호 문화적 능력 향상을 위한 한국의 ‘흥’ 이해 교육 연구 - 고전 문학 제재를 중심으로 -" 국제한국언어문화학회 12 (12): 79-111, 2015
17 허용, "민속씨름에 내재된 민족정서 -‘興’을 중심으로-" 한국체육철학회 20 (20): 65-82, 2012
18 이상호, "민속놀이 풍물지: 전통놀이, 민속놀이의 개념과 시대구분"
19 최광진, "미술로 보는 한국의 미의식. 1-2" 미술문화 2018
20 성은현, "동서양의 창의성차이 고찰 : 창의적 문화와 환경, 성격, 사고, 산물을 중심으로" 한국영재교육학회 5 (5): 48-66, 2006
21 "대순 143년, 2013년 3월 142호"
22 요한 하위징아, "놀이하는 인간 호모루덴스" 연암서가 2019
23 김동식, "놀이문화 통해 문명사회 반성하기; 현대놀이는 공장 의존적...전래놀이 살려야"
24 김의정, "興과 결합된 단어를 통해 살펴본 杜甫의 방랑과 창작" 중국어문학회 (30) : 7-30, 2009
25 이상만, "[사자성어] 접화군생(接化群生)"