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법학전문사서의 교육과 육성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Educating and Training Law Librarian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11956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Korea's legal education system has been changed dramatically, adapting U.S. style law school system, based on the “Act on Establish and Promote Law Schools”. The 25 law schools have been established and approved by Ministry of Education, according...

      Korea's legal education system has been changed dramatically, adapting U.S. style law school system, based on the “Act on Establish and Promote Law Schools”. The 25 law schools have been established and approved by Ministry of Education, according to the Act . However the Act has no provisions or clauses related to educating and training law librarians.
      As you know law, librarians are professional experts, who have usually taught ‘legal research’ and ‘legal writing’ in the U.S. law schools. They shall have competition in researching legal materials and provide reference services to students, lawyers and faculty members. To be professional experts, they shall study very hard in Library Science and Law. According to recent survey, more than 53% of U.S. law librarians have dual degree in Master of Library Science and Juris Doctor(JD). American Bar Association's guideline on law librarian has required chief law librarian shall have JD degree. Almost all law schools shall prefer the reference law librarian to have JD degree.
      However in Korea, the roles and responsibilities of law librarians have not identified. The librarians who work at law school were not educated or trained to be professional experts who can perform and support ‘legal research’ and ‘legal writing’ and who can provide well-researched reference services. Usually Korean law librarians, who had worked at same university libraries of law school, were just dispatched by the order of university authority.
      In recent years, there have been some articles arguing to educate and train law librarians. However these articles are with the viewpoint from librarian science, just comparing degrees that law librarians shall have to take. There was no legal article which focus on these issues.
      The purpose of Korean “Act on Establishing and Promoting Law Schools” is to educate qualified lawyers. As you know the education of qualified lawyers shall start with legal research, which shall be taught by well educated and trained law librarians. Therefore educating and training law librarians shall be a nationwide issued leading the success of law school in Korea. Ministry of Justice, Ministry of Education, Korea Bar Association, National Assembly Library shall cooperate to establish and fulfil their roles related to this project. Especially National Assembly Library, which has educated on ‘legal research’ to diverse governmental officers and provided reference services to members of National Assembly, shall establish an “law librarian education center” to train and educate law librarians.
      To support these activities, we shall propose following amendment clauses of laws and regulations related to law librarians: Paragraph 2 of Article 6 of “Library Act” shall be amended to inserting that the entitlement of law librarian shall be regulated in “Act on Establishing and Promoting Law Schools”. The classification and entitlement of law librarians shall be inserted in newly proposed Article 17-2 of “Act on Establishing and Promoting Law Schools”. This proposed article shall also contain a provision, the state shall be responsible to educate and train law librarians. Following the proposed article, the physical requirements of the law library, the number of law librarians working in the libraries, the certification of the law librarians and the certified education center of law librarians shall be described in the proposed Article 10-2 of Presidential Decree of the Act. Following the proposed Article 10-2 of Presidential Decree, National Assembly Regulation on the National Assembly Library shall be amended to adapting the clause of the certified “law librarian education center”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우리나라가 법학 교육 방법을 완전히 혁신하여 미국식 로스쿨 시스템을 도입하고, 법학전문대학원 교육을 실행한지도 5년이 되어가고 있다. 미국식 로스쿨 시스템의 가장 큰 특징 중의 하나...

      우리나라가 법학 교육 방법을 완전히 혁신하여 미국식 로스쿨 시스템을 도입하고, 법학전문대학원 교육을 실행한지도 5년이 되어가고 있다. 미국식 로스쿨 시스템의 가장 큰 특징 중의 하나는 법률정보조사와 법률문장론을 교육․지원하고, 회답 서비스를 제공하는 법학전문사서에 있다고 할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로스쿨 시스템을 도입하면서, 법학전문사서의 교육과 육성에 대해서는 심각하게 고민하지 않았던 것으로 보인다. 미국의 경우 법학전문사서에 대한 학위 기준은 없지만, 최근 들어 문헌정보학과 법학학위(Juris Doctor : JD) 모두를 취득한 법학전문사서가 전체의 50% 이상을 차지하고 있다. 특히 미국의 경우 법학도서관장이나 회답업무를 수행하는 법학전문사서에 대해서는 법학학위의 취득이 요구되고 있다. 그런데 법학 관련 전문지식을 습득하고 법률정보조사의 교육을 지원하며 회답업무를 처리할 수 있는 법학전문사서를 단기간에 양성하는 것은 쉽지 않다. 그러므로 공신력 있는 국가기관에서 관련 교육기관을 설립하여 운영함으로써 실무에 적합한 맞춤형 법학전문사서를 양성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서는 관련 법령의 개정이 우선적으로 필요한바, 다음과 같이 개정(안)을 제시한다.
      법학전문사서는 「도서관법」에 따른 사서가 아니라, 「법학전문대학원 설치․육성에 관한 법률」에 따른 사서라고 할 수 있으므로, 「도서관법」 제6조 제2항에 ‘다만, 법학전문사서의 자격요건 등에 대해서는 「법학전문대학원 설치․육성에 관한 법률」에 따른다.’는 단서를 추가할 필요가 있다.
      또한 「법학전문대학원 설치․육성에 관한 법률」 제17조의2(법학전문도서관 및 법학전문사서)를 신설하여, 법학전문도서관에 대하여 규정하고 법학전문사서에 대한 구분과 자격조건에 대한 근거 규정을 도입하며, 동법 시행령에서 법학전문사서의 교육과 육성을 위한 공인교육기관을 지정하도록 할 필요가 있다. 나아가 「국회도서관법」에 따른 국회도서관 직제를 개정하여 국회법률도서관(국회도서관 법률정보실)의 업무 가운데 하나로 법학전문사서의 육성을 위한 교육의 실시에 관한 사항을 삽입할 필요가 있다. 이를 바탕으로 법학을 전공한 국내외 박사 및 변호사 등 법률정보조사와 관련된 전문인력을 운용하고 있으며, 법률정보 회답업무를 수행하고 있고, 법률정보조사에 대한 강의를 지속적으로 수행하여 온, 국회법률도서관이 “(가칭)법학전문사서교육원”을 설립하여 법학전문사서를 육성함으로써 국가 법률문화의 발전에 기여하도록 하여야 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종만, "법학전문사서의 역할과 자격요건에 관한 연구" 청주대학교 대학원 2011

      2 김지현, "법학전문사서의 역할과 미래상"

      3 홍명자, "법학전문사서의 양성을 위한 우리의 과제"

      4 홍명자, "법학전문사서의 양성에 대한 연구" 32 (32): 2001

      5 김성은, "법학전문대학원에서의 정보활용능력 교육에 대한 고찰"

      6 한인섭, "법학전문대학원교육과정의 발전을 위한 연구 - 인가신청서 상의 모델사례의 발굴을 중심으로" 한국연구재단 2009

      7 홍명자, "법학전문대학원 법학전문도서관의 기준에 관한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 37 (37): 345-373, 2006

      8 법제처, "법령정보제공선진화방안 연구" 2012

      9 배대헌, "디지털 시대의 정보와 재산" 진원사 2009

      10 박유주, "국내 법학전문사서 기준 및 법률정보서비스 발전방안에 관한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2010

      1 이종만, "법학전문사서의 역할과 자격요건에 관한 연구" 청주대학교 대학원 2011

      2 김지현, "법학전문사서의 역할과 미래상"

      3 홍명자, "법학전문사서의 양성을 위한 우리의 과제"

      4 홍명자, "법학전문사서의 양성에 대한 연구" 32 (32): 2001

      5 김성은, "법학전문대학원에서의 정보활용능력 교육에 대한 고찰"

      6 한인섭, "법학전문대학원교육과정의 발전을 위한 연구 - 인가신청서 상의 모델사례의 발굴을 중심으로" 한국연구재단 2009

      7 홍명자, "법학전문대학원 법학전문도서관의 기준에 관한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 37 (37): 345-373, 2006

      8 법제처, "법령정보제공선진화방안 연구" 2012

      9 배대헌, "디지털 시대의 정보와 재산" 진원사 2009

      10 박유주, "국내 법학전문사서 기준 및 법률정보서비스 발전방안에 관한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2010

      11 Mason, Richard O., "What Is an Information Professional?" 1990

      12 Sears, Dennis S., "Vision: The Essence of Professionalism and Key to the Future of Law Librarianship as a Profession" 98 (98): 2006

      13 Levor, Ruth, "The Unique Role of Academic Law Libraries"

      14 Slinger, Michael J., "The Law Librarian's Role in the Scholarly Enterprise: Historical Development of the Librarian/Research Partnership in American Law Schools" 39 (39): 2010

      15 Bitner, Harry, "The Educational Background of the University's Law Librarian" 40 :

      16 Hazelton, Penny A., "The Education and Training of Law Librarians, The IALL Handbook of Legal Management" 2011

      17 "Social Science Research Network"

      18 Abbott, Andrew, "Professionalism and the Future of Librarianship" 46 : 1998

      19 "O'reilly Web 2.0"

      20 Germain, Clair M. Germain, "Legal Information Management in a Global and Digital Age: Revolution and Tradition"

      21 Butterfield, George, "Is a J.D. Necessary for Law Librarians?"

      22 Bintliff, Barbara, "From Creativity to Computerese: Thinking Like a Lawyer in the Computer Age" 88 (88): 1999

      23 Kauffman, Blair, "Fostering Legal Research as a Subject Specialty, Memb ers' Briffing-AALL Spectrum"

      24 Meredith, Sandra, "First year law students, legal research skills & electronic resources" 2006

      25 Brooks, Serena, "Educating Aspiring Law Libraries: A Student's Perspective" 97 : 2005

      26 King, "Dwight, Profiling Minority Law Librarians: A Report on the 1992-93 Survey" 87 : 1995

      27 "Duke Law Scholarship Respository"

      28 "American Association of Law Libraries"

      29 "American Association of Law Libraries"

      30 American Bar Association, "ABA Standards Chapter 6 Library and Infor mation Resources, Standards 603(c)"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4-10-08 학회명변경 한글명 : 법학연구소 -> 서울시립대학교 법학연구소
      영문명 : 미등록 -> Law Research Institute in University of Seoul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98 0.98 0.9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92 0.87 1.118 0.4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